쓰리
나카무라 후미노리 지음, 양윤옥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같은 표지가 왠지 나를 휘몰아치는 무언가를 안겨줄 거라 기대하게 했던 소설이었다. 뭔가 묵직하지만 아주 맘에 드는 감동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고. 하지만 다 읽고 나서 느낀 결론은 어이가 없었다고 해야 할까 아님 어처구니가 없었다고나 할까.... 아니다, 화장실에 가서 볼 일을 보고 나서 뒷마무리를 하지 않고 나온 듯한 느낌이라고 하면 딱 알맞겠다. 이 소설은 흔히 기대할 수 있는 결말이 없다. 그저 이야기가 독자의 상상 속에서 계속 진행가지 않을까 하고 기대할 수 있는 결말이라고 여겨질 뿐. 솔직히 말해서 절대 악이라 군림하는 남자와 천재라 부를 수 있을지도 잘 모르는 소매치기의 대결은 그 결말이 뻔하지 않은가. 하지만 인간은 미련하게도 희망을 버리지 못하는 동물인지라 범죄자이지만 왠지 약자처럼 보이는 소매치기 니시무라의 승리를 기대하고 끝까지 보게 만든다, 이 소설은. 아마도 일말의 기대감을 버리지 못해 끝까지 보게 만드는 것이 나카무라 후미노리 작가의 매력이 아닐런지...

 

또한 소설 서두에서 밝혀지는 동료의 마지막 진실... 그것도 모두 니시무라를 살아있게 하는 요소가 아니였을까. 찌질한 범죄나 저지르는 소매치기나 되는 녀석들이 인간에게 기대하는 것이 일말의 애정이란 사실은 정말 아이러니하다. 혹시 걸리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을 알면서도 도쿄로 와야만 했던 니시무라와, 니시무라가 죽을까 걱정되어 자신을 희생한 그의 동료 이시카와는 확실히 동료애 때문에 죽음에 가까이 다가갔다. 그리고 당연히 절대 악이라 불리는 그 남자는 그들의 그런 찌질한 우정을 이용해서 자기 멋대로 규칙을 세워 이용하곤 가차없이 제거해버리곤 만다. 그것이 이 세계의 규칙이니까~. 이 땅에 태어나 그렇게 누군가의 이용물로 살다가 버려지는 것이 정말 멍청해보인다. 그 까짓 우정이 뭐 대수라고 그것을 위해 목숨까지 날리냐 말이다. 애초부터 도덕심이란 없는 인간에게, 밥 먹듯이 아니 밥 먹기 위해 남의 지갑이나 터는 주제에 가당치 않은 사치가 아닌가, 우정은.

 

그런데 그런 말 같지도 않은 상태에서 말 같지도 않은 것을 추구하는 것이 바로 인간이 아니던가. 사막 한가운데에서 물이 나오길 기대하고, 전쟁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경제 개발이 될 것을 기대하고, 아르헨티나 축구팀에게서 우리나라 축구팀이 이기길 기대하는 것 모두 우리가 인간이기에 가능한 것이지 않던가. 분명 인간은 자신을 보호할 능력도, 자신을 드러낼 능력도, 다른 이들을 구해줄 능력도 없지만 다른 어떤 생물보다도 가장 우수한 능력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희망하는 것이 아닐런지. 지금 당장은 이루어질 수 없다손 치더라도 끝끝내 이뤄내고야 말 것임을 다짐하는 그 어떤 희망이나 꿈이 없는 인간은 하나도 없지 않을까. 법을 제대로 지키고 사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니시무라의 소매치기가 상상을 초월한 정도의 남에게 피해주는 행위이겠지만 이미 그런 정상적인 감정은 거세된 그에겐 생존수단이자 다른 사람과 나를 구별해주는 하나의 지표일 게다. 이 말은 절대 범죄자를 옹호해주려는 것도, 더더군다나 범죄자를 찬양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단지 그가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이 보통 사람을 뛰어넘는 어떤 특별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는 것, 그들도 우리랑 똑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그렇기에 사람을 좀체 믿지 않는 니시무라도, 소매치기의 천재성을 드러내는 이시카와도 모두 우정을 위해 자신을 던질 수 있었던 것이 아닐런지...

과거의 자신을 보게 만들어준 한 아이의 존재도 그에게 감춰진 인간애를 드러내게 했을 것이다.

그렇기에 끝이 없어 황당한 소설이지만 한편으론 참으로 묵직한 무언가를 준 소설이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