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부모의 오답백과
앨리사 쿼트 지음, 박지웅 외 옮김 / 알마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영재로 키워진 저자의 입에서 나온 생생한 증언이다. 요즘 워낙에 조기 교육이 열풍인 세상에서 살다보니 자녀를 영재로 키우고 싶어하는 부모들이 많아졌다. 그 이유는 바로 영재인 자녀에게 노후를 기대하기 위해서라는데, 궁금하면서도 이래도 되는 걸까 싶다. 실은 내가 영재가 아니여서, 적절한 교육을 받았다면 영재까지는 아니여도 상당한 재능을 보였을 거라 생각하는 나로서도 영재에 대해 관심이 생기지만, 이 책을 보고 이렇게까지 심각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들을 생각하니 역시 과도한 욕심은 금물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아지까지도 영재가 만들어진다는 말을 믿는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에서 말하는 신생아를 위한 분유에서부터 신생아 DVD까지 효험이 있다고는 절대 생각하지 않지만, 예전에 봤던 『칼 비테의 공부의 즐거움』을 보고는 영재를 만들 수 있을거란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거기서 가장 중요하게 느꼈던 것은 아이에게 제대로 가르치려면 절대적인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것은 갖추지도 않은 부모들이 그저 많은 기술적인 능력을 습득하게만 하는 요즘 영재 아이들은 너무 불쌍할 따름이다.

 

내가 있는 학원에도 영재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그와 유사한 아이들이 간혹 보였다. 요즘 아이들이야 누구나 한결같이 미래에 대한 생각이 없이 현재의 시간에서만 영위하는 모습을 보여도 가끔씩이라도 얼굴 표정은 살아있다. 그런데 취학 전에부터 저녁 9시 이전에 집에 들어가보지 못한 특별한 아이들은 초등학교 3학년만 되어도 얼굴에 표정 하나를 찾아볼 수가 없었던 것을 기억한다. 정말 안타깝고 불쌍하고 인생의 재미란 재미는 전혀 느껴보지 못한 그 아이를 보면서, "이러면 안 되는데, 다 행복하게 살자고 하는 짓인데, 왜 이렇게 자기 자식에게 몹쓸 짓을 하나~" 란 생각이 들었다. 아마 그런 부모들은 그 방법이 아이가 앞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셨을 것이다. 제 자식을 불행하게 만들려고 그렇게 용 쓰는 부모는 없을 테니까. 하지만 그 방법이 자신의 한을 풀어주기 위한 모습이여야 했을까. 정말? 꼭 그렇게밖에 생각하지 못하나? 어떤 엄마는 아이의 기사노릇을 해주면서 점심 먹을 시간이 없어서 도시락을 싸와 차 안에서 먹게 하고 이 학원에서 저 학원으로 이동시키는데, 정말 그것은 아니다 싶다. 아직 초저인데, 물론 조기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 나도 백번 알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다. 아이의 흥미를 이끌어내면서도 얼마든지 교육 시킬 수 있는데 왜들 그렇게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를까.

 

그런 부모들이 아마 한둘이 아닐 것이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음에도 자신은 그런 부모가 아닐 거라고 내심 자위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어디 아이들이 제 부모에게 싫은 소리 맘껏 해볼 수나 있었을까. 자신에게 가장 큰 존재에게 싫은 소리 해서 혼나기라도 한다면, 혹은 그들의 사랑을 잃어버린다면 어떻게 하라고, 감히 대들어볼 수나 있었을까. 그래서 부모와 자식은 같은 곳에 있으면서도 다른 생각을 할 수밖에 없나보다. 그러나 찾아보면 그렇지도 않은 부모-자식 관계도 많을 텐데 이상하게 내 눈에는 보이지가 않는다. 그런 아이들이 중3 정도 되면 성질 팍팍 부려가면서 아무의 말도 듣지 않는 반항아가 되어 버린다. 어릴 때 너무 윽박질러서, 너무 조여서, 너무 강압적으로 대해서 아이가 이제는 터트리는 경우도 봤다. 그런데 그럴 경우 정말 되돌아오기가 힘들다. 자신에게 신뢰를 주지 않은 사람의 말을 들을 이유가 없으니까~

 

저자는 자신이 다른 아이들보다 조금 머리가 좋았던 것 때문에 아동기가 너무 힘들었다고 고백한다. 어릴 적부터 글을 써서 최연소로 상도 받고 했던 기억 때문에 평범하게 살아가는 것도 어색하고,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심했다고 한다. 그래서 어릴 적의 모습은 절대 떠올리지도 않는다고. 그런데 조사해보니, 실제로 영재였던 사람들의 대부분이 결혼을 안 하거나 결혼을 해도 아이를 갖기를 주저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자신의 끔찍했던 아동기를 물려주기 싫어서라고. 참으로 의미심장하지 않는가. 실제로 영재교육이 잘 되어 있는 미국에서 먼저 불행한 영재들의 조사가 이루어져 있으니 미국이라고 하면 깜빡 죽는 부모님들이 귀좀 열어서 들었으면 싶다. 그러나 실제로 행복한 영재들도 있다. 내가 보니 행복한 영재와 불행한 영재가 갈리는 기준은 자신이 하고 싶어서 했는지, 아니면 남이 강요해서 혹은 아빠/엄마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 했는지인 것 같다. 자신이 노력하고 공부하는 것이 재미있어서 했던 영재들은 부모가 그리 극성스럽지도 않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조력해주었던 경우였다. 그러니 아이가 행복해지거나 불행해지는 것은 다 부모가 하기 나름이다. 우리나라 엄마들이 제발 좀 이 책을 봤음 좋겠다. 뭔가 깨닫는 게 있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