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모처럼 한국소설을 읽었다. 한국소설이라고는 <무진기행>, <꺼삐딴 리> 같은 몇 십년 전의 소설말고는 모르는 터라, 그렇다고 그 책을 다 읽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유쾌한 한국소설이 있다는 걸 믿어지지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러니까 요즘에 나오는 한국소설에 내가 많이 무지한 것이 틀림없군. 아~ 이걸 따라잡으려면 부지런히 읽어야겠는데?

 

타워 '빈스토크'는 하나의 독립국이면서 국가가 아니다. 높이 2,408m의 674층으로 된 지상 최대의 건물인 '빈스토크'는 현존하는 법체계상 건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를 침략할 수도, 영주권을 내줄 수도 없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가상 공간이다. 그러나 '빈스토크'라는 가상의 겉껍질만 살짝 벗기고 들어가면 그 안에는 있는 것은 우리가 살아 숨쉬고 있는 "대한민국" 바로 그곳이었다. 가상공간이기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수평운송노조/수직운송조합, 권력장, 개인 영화배우 P씨, 저소공포증 등을 놓고 마음대로 머무려놓은 이야기가 어쩜 그렇게 우리의 현실과 일치한지 정말 낄낄거리며 읽지 않을 수 없었다. '빈스토크' 사람들의 입을 통해 무대뽀 정신과 능청스런 말투로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은근슬쩍 끼워놓고 우리의 모습을 피식거리며 조롱하는 작가는 정말 대단한 필력을 가졌음에 틀림없다.

 

이 작품은 '빈스토크'라는 같은 장소에서 벌어지는 여섯 편의 소설이 묶여있는 연작소설이다. 앞에 등장한 인물이 뒤에서도 연결되고 그래서 이야기가 사방팔방으로 엮여있는 그런 소설인데, 참으로 재미나다. 첫째 권인 [동원박사 세 사람_개를 포함한 경우]을 읽으면 <잭과 콩나무>에 나오는 하늘까지 솟은 콩줄기의 이름인 '빈스토크'의 규모가 대략 나온다. 높이 674층에 인구가 50만 명이나 되는 건물을 상상하기란 어렵지만, 상상해보면, '빈스토크' 사람들이 지나다니는 '거리'인 복도는 아마도 10미터는 넘고 사람들도 많이 다니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크리스마스 같은 휴일엔 더욱 붐빌 것이란 예상을 할 수 있는데, 마치 길거리에 인산인해를 이룬 지상의 풍경과도 다를 바 없었다. 완전히 그 상황이 쉽게 상상이 된다는 것도 너무나 우스꽝스러울 정도다.

 

권력장을 연구하는 미세권력연구소에서는 정교수의 명령대로 세 사람의 동원박사들이 연구를 하다가 끝내 사람들이 알면 큰 이슈가 될 만한 어떤 사실을 알고 부랴부랴 크리스마스 이브날, 병원으로 간다. 바로 정교수의 아내가 아이를 낳은 병원으로말이다. 오로지 그녀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그 전까지는  '빈스토크'가 얼마나 큰 건물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27층에서 649층까지가 얼마만한 거리인지 가늠이 안 되었었는데 그 거리를 가려면 엘리베이터를 6번이나 갈아타야하고 정액권이 없어서 비싸게 돈을 내야 한다니~ 정말 상상력이 풍부한 작가이지 않나.

 

둘째 권은 정치권을 풍자했단 느낌이 바로 들 정도로 직설적으로 이야기한다. 농성하고 있는 무리 중 어떤 사람이 떨어져 죽은 사건을 이야기할 때는 마치 용산의 참사를 이야기하는 것 같아 내가 다 뜨끔했다. 내가 뜨끔한 이유는 그들에 대해 내가 특별히 나쁘게 한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아픔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저 멀리 강 건너 일을 구경이라도 하듯이 손 놓고 있었던 내 모습이 참으로 낯뜨거웠다. 작가 K의 입을 빌려 말한 내용도 참으로 나를 부끄럽게 했다.

 


 스물여덟 살에 쓴 글을 꺼내 보았다. 나는 불만에 찬 젊은이였다. (...) 열정을 가지고 부딪치고 도전하라는 말에, 열정을 바쳐 일한 만큼 돌려줄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두었냐고 반문했다. (...) 그런데 이제는 내가 바로 그 세대가 되었다. 그렇게 이십 년이나 지났는데도 여전히 세상이 아름답지 않다면 이제는 다른 누구를 비난할 처지가 아니었다. 내 잘못이었다. (...)                                                                 - p. 71-72


 

둘째 권 끝부분의 이야기를 보면 작가가 정확히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입바른 소리를 해서 먼지가 털린 작가 K의 안타까운 사연으로 씁쓸하게 끝나지 않았던 만은 마음에 들었다. 오히려 마지막 부분에서 희망을 느껴도 될 만큼 마음이 편해져서 좋았다. 그런데 그게 희망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셋째 권인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는 정말 가슴 뭉클해지는 이야기이자 21세기의 현대인을 너무나 잘 표현한 작품이다. 마지막에 읽을 때는 가슴이 뜨거워지기도 했는데, 작가의 한 마디가 나를 피식 웃게 만들어버렸다.

 


 신이 보낸 헬리콥터가 머리 위를 맴돌았다. 헷갈렸다. 장르가 이상했다. 궁금해서 도저히 열반에 들 수가 없었다.                          - p. 112


 

치명상을 입은데다 적군이 언제 나타날지 모르는 상황이라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사람이 저렇게 유머로 구사하니 도저히 진지하게 감정을 잡을 수가 없잖아~ 정말 유머 하난 끝내주는 작가이다. 감동도 적당히 버무려있고~ 진짜 이 부분만큼은 봐야 한다. 진짜~

 

박민규 소설가가 이 작품에 찬사를 보내길, 100년 후에 한국 문단이 작가 배명훈이 이 땅에 있었다는 사실에 뒤늦은 감사를 표해야 할 거라고까지 했다. 대단한 찬사가 아닌지.. 만약 박민규의 소설을 즐겨 읽었다면 바로 이 책도 주저없이 빼들기 바란다. 나는 이제 박민규의 소설을 빼들러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