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물은 무엇인가? 그리고 무생물은 무엇인가?

 

나는 한 번도 이것에 대해 고민해본 적이 없었다. 생명체가 갖는 특징 - 예를 들어, 에너지를 섭취하고, 세포분열을 통해 증식과 성장을 하는 것, 신진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는 것 등 - 은 대충 알고 있었는데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아니라 생명 그 자체의 정의를 내리기엔 너무나 어렵다는 것만을 알 수 있었을 뿐이다. 후쿠오카 신이치 교수가 대학 신입생 시절에 자신에게 물었던 이 질문, "생명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 책이라 할 수 있다. 신이치 교수의 일기를 엿보는 것 같이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 생명이 어떤 것인지, DNA는 어떤 식으로 발견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발견 과정에서 숨겨진 영웅들은 누구인지를 천천히 풀어내주어 부담없이 읽어내려갈 수 있었다. (그렇다고 이 책이 마냥 쉬웠던 것은 아니다 ^^;)

 

조금 다양한 종류의 책을 읽고 싶었다. 내가 머무르고 있던 독서의 세계가 너무 조그맣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 한 가지 생긴 소망이었다. 그래서 읽어 본 책의 새로운 세계는 심리학에서부터 한 작가의 연대기까지, 칙릿소설에서부터 스릴러소설까지 정말 다양했다. 그 중 또 한 분야를 개척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과학서이다. 신문에서 이 책을 소개받았을 때, 과학서이면서도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쉽고 재미있다는 내용과, 작가의 인터뷰 내용 중 생명은 기계처럼 부속품을 끼웠다 뺐다 하면서 만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겸허하게 인정하는 모습이 정말 신선했다. 과학자라고 하면 자신의 분야에서만큼은 오만하게 권위를 내세울 것이라는 내 편견이 여지없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책에는 후쿠오카 신이치 교수의 사진이 나와있지 않지만 신문에서 보았던 그의 모습은 정말 순진하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과학도 같지 않은 모습이었다. 그래서 아마 이런 사람이라면 믿어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 책을 선택했다.

 

과학자가 어떤 식으로 실험을 하고 가설을 세우고 예상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때 어떻게 가설을 바꾸는지를 찬찬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준 이 책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과학자로서 할 수 있는 '실수'였다. 매독, 소아마비, 광견병, 황열의 병원체를 밝히고 배양한 것으로 미국에서 세계적인 의학자가 된 위인전 속의 인물인 노구치 히데요에 대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제 일본에서는 지폐의 주인공으로까지 추앙받고 있는 그 인물이 사실은 허상을 쫓고 있었다는 것을 담담하게 서술해주었다. 그 당시에 그가 사용했던 현미경은 1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인 세균보다 10배나 작은 바이러스를 볼 수 있는 전자현미경이 아니였기에 찾아낼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뭔가 움직이는 것을 병원체로 속단하고 그것으로 논문을 발표했던 것이었다. 그가 한 일이 모두 받아들여질 수 있었던 것은 미국 근대 기초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사이먼 플렉스너의 제자라는 사실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지금은,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 그가 발표한 논문은 아무런 가치를 지니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밝혀졌다. 그럼에도 아직도 일본에선 그를 추앙하고 있고 록펠러 대학 도서관에 있는 그의 흉상을 보고 싶어하는 일본인 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니 이런 망신이 또 있겠는가. 정말 제대로 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 처음 알게 된 것은 바이러스가 생물이라고 말하기엔 뭔가 미진한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다. 바이러스도 증식을 하는 자기 복제 기능을 가지고는 있으나 영양을 섭취하지도, 호흡도 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도 않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일도 없단다. 또한 순수한 상태로까지 정제시킨 후, 특수한 조건에서 농축하면 '결정(結晶)'으로 만들 수 있다니 그것을 가지고 생명체라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서 신이치 교수가 말하길, 바이러스는 기계들의 세계에서 온 미세한 조립식 장난감 같은 것이란다. 아직까지도 논의가 끝나지 않은 바이러스의 생물 / 무생물 논쟁에서 신이치 교수는 무생물이라고 정의했는데 그것은 생명이 단순히 자기 복제 능력만 가지고는 설명할 수 없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가 생각한 생명이란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여기면서, 동적 평형 상태에 있는 흐름이란 말로 설명했다. 우리 몸안에 들어온 단백질이 우리의 몸을 구성하고 예전에 구성했던 단백질은 계속 빠져나가버리기 때문에 우리는 매순간 같은 사람이면서 다른 원자로 이루어진 생명체이다. 그렇기에 우리의 몸은 유기적으로 - 뭔가 하나가 고장이 나면 그것을 자연스럽게 메우는 - 이루어진 것이며 단순히 텔레비전의 한 소자를 빼놓았을 때처럼 고장이 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의 이러한 견해는 내 동의를 이끌어냈다. 이 책이 신문에 소개되었을 때도 녹아웃마우스 실험에 대해 나왔는데 어떤 부분을 인공적으로 없앤 후에 생기는 문제점을 보면 그 부분의 역할이 어떤 것인지를 알 수 있다는 원리에서 시행되는 실험이었다. 그런데 녹아웃마우스에 아무런 이상이 생기지 않는 것을 보면서 무엇이 문제였는지 점검하면서 드러난 결론은, 생명은 기계가 아니다 였다. 우리 몸은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채워가며 만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생명은 정말 신비로운 것, 지금처럼 게놈 지도가 완성되고 유전자를 가지고 자유자재로 뭔가를 만들어내려고 하는 이 시점에서, 갖다가 막 쪼개고 집어넣어서 결과를 보는 등 기계로만 여기지 않길 바라는 내 생각과 비슷했다. 인간은 좋은 쪽으로 뭔가를 만들어내지만 그것이 인간의 의도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얼마나 허다한지 생각해보면 잘 알 것이다. 얼마 전에 보았던 영화 <나는 전설이다> 에서처럼 인간의 어리석은, 또는 오만한 행동 때문에 생명의 위대함을 소홀히 여기는 일이 벌어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