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제인 마플이 죽었다
수잔 캔들 지음, 이문희 옮김 / 지식의숲(넥서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나는 열렬한 추리소설 애독자가 아니다. 그저 추리하는 것을 좋아할 뿐. 내가 마지막으로 추리소설을 읽었던 것은 중학교 2학년 때로 기억한다. 셜록 홈즈가 등장하는 <얼룩 끈>이란 소설은 정말 내 흥미를 끌었지만 내가 추리소설을 읽지 않게 된 이유이기도 했다. 너무 유능한 홈즈의 능력 앞에서 내 추리능력은 너무나 보잘 것 없었고 미리 범인을 예상해보고자 머리를 굴리는 나에게는 좌절감에 빠지는 경험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 바보 같은 시간을 보내고 싶지 않아서 내가 선택한 것은 책을 “보지 않는 것” 이었다. 그 때는 지금처럼 책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기에 그 선택은 충분히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이제 성인이 되어 추리소설을 갓 잡은 나는 주인공보다 먼저 범인을 잡아야겠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지는 않는다. 그저 행간 사이에서 느낄 수 있는 ‘복선’을 찾아보고자 애썼을 뿐이다. 그러나 역시 이번에도 범인을 먼저 추리하긴 어려웠다. 셜록 홈즈 때와는 달리 모든 실마리가 중간에 다 나왔는데도 말이다. 그래도 이번에는 우리의 탐정 쎄쎄가 자신의 아픔을 딛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만으로도 행복할 수 있었다.

 


이제 막 추리소설에 입문한 나로서는 ‘애거서 크리스티’ 라는 여류 추리소설가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그녀에게 일어난 11일간의 실종사건은 전혀 몰랐다. 이 소설에는 그 이야기를 모티브로 해서 진행되는데 애거서의 남편인 아처가 이혼을 제시한 순간, 그녀는 사라지고 11일 이후에 발견된 그녀는 그 동안의 기억을 상실해 버렸다. 그 이야기의 실마리를 상상력으로 풀어가면서 또 하나의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이 소설의 제목은 애거서의 유명한 소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라는 제목을 따와서 <그리고 제인 마플이 죽었다> 로 지어졌다. 추리소설에는 아무 것도 모르는 나조차도 너무 흥미가 이는 제목이 아닌가.

 


그런데 처음에 이해하기에는 정말 어려웠다. 산만한 소설을 읽어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좀 산만해서 처음에는 집중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다 줄거리의 가닥을 잡아가는 중반부에 이르니 어느 정도 주인공에게 애착을 가지게 되어 그녀의 활약이 기대되었다. 일이 일어나는 장소는 ‘크리스티타운’ 이라는 애거서 크리스티의 먼 조카뻘 되는 이안이라고 하는 사람이 만든 테마도시였다. 이 도시에서 추리소설가 쎄씨는 이벤트 기획자로 고용되어 애거서의 소설의 한 장면을 연기하기로 했는데 여기에서 문제가 생겼다. ‘제인 마플’ 역을 맡은 리즈가 독살당한 것!!! 그런데 그녀의 남편 루는 그녀를 끔찍하게도 사랑했기에 더 큰 비극이었다. 그런데 루와 내연관계에 있었던 린이 용의자가 되어 감옥에 가게 된 것이었다.

 


이 살인사건과 애거서 크리스티의 11일간 실종사건이 같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퍼즐이 맞춰질 수 있는 실마리를 나에게 던져주었는데 그것은 범인을 잡으려고 사방팔방 쑤시고 다니는 쎄씨와 그녀의 전남편과의 관계에서 숨겨진 비밀이 드러나자 그 퍼즐의 마지막 조각이 맞춰질 수 있었다. 기억이라고 하는 것은 정말 신비롭고 오묘해서 자기 스스로 기억을 조작할 수도 있는 것이라는 것을 나는 왜 눈치채지 못했지? 쎄씨가 스스로 묻어버렸던 기억, 애거서가 스스로 자신을 묻어버렸을 거라 추정되는 사건,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즈가 자신이 계획했던 각본을 본다면 아마 어떤 이는 이 소설의 결말을 아주 쉽게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