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벗겨줘 - 빨간 미니스커트와 뱀피 부츠 그리고 노팬티 속에 숨은 당신의 욕망
까뜨린느 쥬베르 외 지음, 이승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가족 중에서는 내가 옷이 제일 많을 정도로 난 참 옷을 좋아한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옷을 사는 것이 ‘일’이 되어버렸을 정도로 너무나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었다. 또 요즘 얼마나 예쁜 옷들이 많이 나오는지. 사고 또 사도 끝이 없지 않은가. 옷은 단순하게 몸을 보호하는 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같은 옷이라도 어떤 사람이 입느냐에 따라 멋져 보일 수가 있고 아닐 수도 있는 것처럼 그 사람의 개성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것이 바로 옷일 것이다. 그래서 나는 다른 사람에게 보여지는 모습은 나의 가장 최고의 모습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그만큼 엄청 옷에 대해 신경을 쓴다. 어떤 장소에 어떤 옷을 입고 가는지를 일일이 생각하고 고민해서 맞춘 옷들로 입고 나갔다. 항상 내 최대의 관심사와 딜레마는 있는 옷들과 새 옷들을 어떻게 잘 매치할 것인가 였다.


그런데 어떤 날은 이렇게 외면만 중요시하는 가식 덩어리같은 내가 너무 싫어서 그냥 아무거나 손에 걸리는 대로 입고 나가기도 했다. 그런 날은 내 머릿속에 있던 하드가 빠져나가버린 것처럼 색깔 매치까지도 쉽게 되지 않기 때문에 매치, 조화, 어울림이라는 단어는 나랑 아무런 상관없어진다. 어쨌든 이렇게 극단적으로 갔다왔다하는 내 신경이 어디 끊어지기라도 했는지 몰라도 요즘은 옷에 대한 관심이 너무나 줄어버렸다.


여기 <나를 벗겨줘>의 셀린도 어쩌면 나와 비슷한 증상을 가지고 있는지 모른다. 거품이 빠진 듯한 나의 모습이 아니라 그 전에 옷이라고 하면 사족을 못 썼던 그 때의 내 모습과. 셀린은 물건을 고를 때 자신이 모든 것을 통제하는 것처럼 느끼듯 아주 신중하게 고르지만 결국 사는 것은 검정 스웨터같은 기본 아이템류다. 물건을 들고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자마자 후회를 하지만 다시 다른 상점에 가서 다른 아이템을 공략하기 시작한다. 자동인형처럼 손에 잡히는 대로 사게 되니까 점점 더 큰돈을 쓰게 되었다. 하지만 거리를 사냥하는 것처럼 이 상점 저 상점을 섭렵해도 자신에게 만족을 주기 않기 때문에 셀린은 점점 쇼핑에서 헤어 나오지 못해서 저녁이 되어 모든 상점이 문을 닫을 때까지 그렇게 허무함과 후회로 동동대기만 했다.


나는 이제는 충동구매에서 많이 벗어났지만 (현금이나 카드를 가지고 다니지 않으면 충동적으로 물건을 살 수가 없다 - 내가 찾은 원시적인 충동구매 제어방법^^;) 셀린의 극에 달한 충동구매는 종종 나와 너무나 흡사해보여서 가슴을 덜컥 내려앉았다. 이곳 저곳을 다니면서 예쁘다고 생각하는 것은 거의 골라서 골치아프게 생각하지 않으려고 더럭 계산해버리는 것. 카드가 있다면 더욱 속전속결!! 점점 씀씀이가 커져도 나중에는 결제금액이 높아져도 아무런 경각심이 없는 것!!! 아무리 물건을 사도 만족을 못 느끼는 것!!!! 내 생활의 곳곳에서 셀린의 모습이 드러나서 조금은 아찔했다. 내가 그런 충동구매의 늪에 빠졌던 것은 스트레스 를 풀어보려고 했던 것이었지만 셀린의 경우는 왜 그렇게 되었을까.


이 책은 여러 군상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심리학자들이 그것의 원인에 대해서 분석해놓았다. 셀린의 경우는 정확한 정보가 없기에 잘은 모르지만 아직 독립적인 개체라는 인식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엄마와 가진 첫 관계의 경험이 잘못되었을 거라 이야기한다. 엄마와의 좋았던 기억이 있다면 안정감을 가지고 홀로 설 수 있겠지만 안정감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엄마와의 친근감을 옷을 통해서 갈구하고 있는 것이란다. 엄마와의 소중한 감정 교환을 기억 속에 보존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녀는 끊임없이 강박관념을 가지고 계속해서 쇼핑을 해댈 것이라는데 사실 잘은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 만약 그 말이 사실이라면 많은 중독증이 엄마와의 깨어진 관계에서 오는 것이란 말인가.


여기에는 쇼핑중독인 셀린만 있는 것이 아니고 항상 검은 옷만 입는 피에르, 속옷에 탐닉하게 되는 여성, 서로 취향이 다르다고 친구 관계도 싹둑 잘라버리는 사춘기 소녀 클로에, 언니의 옷이 부러워 빌려입는 여동생, 새로운 옷차림을 통해 활력을 얻는 세실, 전통적인 옷차림을 이어가는 빅토르, 빨간색 뱀피 부츠를 신음으로 팜므 파탈이 되는 여성 등 여러 인물들이 등장한다. 이런 인물들은 내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습들이지만 그것을 심리학적으로 분석해놓은 내용은 사실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어떤 느낌이냐면 괜히 어려운 말로 나같은 범인을 현혹하여 뭔가를 얻어내려는 속셈이 느껴진다고나 할까. 머리 쥐어뜯느라 힘들었지만 어찌되었던 새로운 분야를 휑~하니 둘러볼 수 있어서 그나마 괜찮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