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Q & A
비카스 스와루프 지음, 강주헌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난 보통 책을 한번에 쭉 읽어야 직성이 풀리고 한 권의 이야기가 다 끝나야 쉽게 잠을 이룰 수 있다. 그래서 한 번 잡으면 시간이 3, 4시가 넘어가도, 다음날 일찍 약속이 있어도 그냥 읽는 것이 보통이다. 그랬던 내가 방학이라 출근 시간이 오전으로 바뀌다보니 도저히 새벽까지 책을 볼 수가 없어서 끊어서 읽었던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 <Q&A>. 비록 각 장이 다른 줄거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읽는데는 불편이 없었지만 사실 이 소설의 순서가 뒤죽박죽이 된 것이라 다 읽고 생각해보니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것처럼 찜찜하게 느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정말 대단한 흡입력과 탄탄한 구성력을 가지고 있다!!!
인도라고 하면 사실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그저 덥고 더럽고 가난한 나라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말도 안되는 종교 분쟁 때문에 위대한 사상가 '간디'도 사살해버리는 무지한 나라정도?? 나도 종교를 가지고 있지만 종교라는 이름으로 일으키는 모든 폭력적인 행위들, 예를 들면 암살, 살인, 테러, 전쟁 등은 일어나서도, 있어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 소설을 보면서 인도라는 나라를 조금은 알게 되었다고나 할까. 경찰은 뇌물을 주는 사람의 입장에서만 일을 하고, 살인청부업자가 버젓이 설치고, 아버지는 아내를 때리거나 딸을 강간하고, 불량배 집단은 고아원에서 어린 아이를 불구로 만들어 돈을 벌어오게 하고, 고아원 원장은 폭력배에게 어린 아이를 팔아버리는 등 요지경 세상 속이라고 생각하면 상상하기가 쉬울 것이다. 주인공이 워낙 가진 것없는 인물이다보니 하층민의 세계가 어떤 것인지 확실하게 보여준다.
그런 사회에서 고아인 어린아이가 혼자 어떻게 살아갈 수 있었을까. 가진 것이라고는 몸뚱이 하나뿐인 그가. 그럼에도 그는 강인한 생명력으로 끝까지 살아남은 최후의 승자였다. 힌두교와 이슬람교, 가톨릭의 영향을 모두 받은 '람 모하마드 토마스'란 이름도 그의 끈질긴 생명력을 말해주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는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도 못했지만 가톨릭 성당에서, 고아원에서, 불량배 집단 수용소에서 눈치껏 살아가는 지혜를 터득하고는 그것으로 열 여덟 살이 된 지금까지 살아올 수 있었다.
그가 거쳐온 직업은 하인, 주물공장 직원, 관광안내인, 바텐더인데 그가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퀴즈쇼에 나가기로 했을 때 그 직업과 그의 환경은 그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 정규 교육도 받지도 않고 책 한자도 읽지 않았던 사람이 퀴즈쇼에서 열두 문제를 맞춰 십억 루피를 받는다는 것이 과연 상상이나 할 수 있는 것일까. 그러나 그는 그것을 해냈던 것이다. 바로 그의 인생 속에서 체험한 정보를 활용해서. 이 소설을 보면 인생공부라는 말이 바로 여기에 쓸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실제 인생에서 이런 영화같은 일이 생기기란 어렵겠지만 인생에서 얻은 정보나 지식야말로 절대 잊지않는 참된 앎이기 때문에.
사실 인생수업도 수업나름이지 누구나 그런 수업을 받을 수는 없을 것이다. 어려서부터 키워주셨던 신부님을 잃고 나서 자신이 정말 외톨이라는 것을 자각한 '람'이 스스로 살기위해 아둥바둥거리기는 해도 그 험한 인생을 살아오면서도 인간성을 버리지 않고 자신보다 어리고 약한 자를 보호하려고 했기에, 끝까지 삶을 포기하려고 하지 않았기에,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고 무조건 충성하고 권력에 붙으려고 하지 않았기에, 자신도 절망적이지만 남에게 베풀어주고자 하는 마음을 잃지 않았기에 아마 이런 기적이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정말 '람'의 인생역정을 따라가보면 추악한 사람은 안 만난 사람이 없고 인생의 추악한 면은 못본 것이 없이 다 보았다. 그럼에도 그는 인생 밑바닥까지 내려가지않고 스스로 인간임을 포기하지 않는 정말 강인한 인간이었던 것이다. 그는 배운 것없고 천한 바텐더이지만 실은 어느 누구보다도 위대한 인간임에 틀림없다.
사실 인간은 환경에 지배를 받지 않을 수 없다. 만약 내가 '람'처럼 이런 하층민 세계에서 살았다면 적당히 대충대충 살지 않았을까. 도덕심이나 양심은 적당히 잊어버리고 될 수 있는대로 그때 그때만 모면하면 될 거란 생각으로. 혹은 우리에게 주어진 소중한 생명을 저버리고 모든 것을 포기해버리지는 않았을까. 나는 그렇게 살아본 적이 없기에 그럴지 아닐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아무튼 '람'처럼 모든 것을 성실하게 살아가지는 못했을 거란 생각이 든다. 정말 대단해! 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