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의 시크릿 - 세계를 움직이는 유태인.화교 부호들의 부와 성공의 조건!
마담 호 지음, 임수택 옮김 / 에이지21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고급스런 표지에 가득 신비로움을 내뿜고 있는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설레임이나 흥분보다는 어떻게 소화해야 하나 나는 심리적 압박이 강하게 다가왔었다. 거기에 서평을 어떻게 써야 할까 하는 불안감도 한몫 했다.
그런데 퇴근하고 돌아와 엄마가 조금 보시던 것을 구경하다가 그 자리에서 다 읽어버린 지금은, 편안한 마음뿐이다. 고급스러워 나 같은 범인은 손대보지도 못할 거라는 생각과는 달리 내용은 평범하다 못해, 우리가 알고는 있지만 실천하지 못한 것 중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많아서 받아들이기에 부담이 없었다.
크게 5가지 관점(태도관, 교육관, 학습관, 성공관, 연애관)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마지막 여섯 째는 독자에게 주는 특별한 당부가 있다. 여기에 일일히 다 소개할 만큼 적은 분량은 아니어서 다는 못하고 나에게 새롭게 다가왔던 것을 소개해 올리겠다
<태도관>
돈으로 호감을 사서는 안 된다
어릴 적, 아니 지금도 누군가에게 잘 보이고 싶을 때 돈을 쓰는 버릇이 있다. 그것이 남에게 베풀고 싶어하는 나의 순수한 마음이 아니라 호감을 사기 위함이었단 걸 지금에야 알게 되었다..왕 뜨끔!!
Give and Take의 골자는 Take가 아니다. Give이다. 먼저 베풀자의 관점에서 생각해야지, 받는 것에 목적을 주지 않는다
서양에서 흔히 말하는 Give and Take는 '받은 만큼 주다'로 알고 있었던 나에게 꽤나 충격이었다. 세계 대부호의 사고 방식은 오히려 동양의 관점이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계 대부호들은 돈과 사람에 대한 '양식과 분별'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 과 '돈으로 살 수 없는 것' 의 차이를 알고 있기 때문에 돈의 마력에도 이성을 잃지 않는다.
-집을 살 수 있지만 가정은 살 수 없다.
-시계는 살 수 있지만 시간을 살 수 없다.
-침대는 살 수 있지만 쾌적한 수면은 살 수 없다.
-책은 살 수 있지만 지식은 살 수 없다.
-명의는 살 수 있지만 건강을 살 수 없다.
-지위는 살 수 있지만 존경은 살 수 없다.
-피는 살 수 있지만 생명은 살 수 없다.
-섹스는 살 수 있지만 사랑은 살 수 없다. <중국 속담>
'이성은 잃는다!' 는 말이 새삼 와 닿는다. 나도 가끔은 돈 앞에서 이성을 잃어본적이 있기에 상당히 뜨끔했다.
<교육관>
세 가지 연령 벨런스(육체연령, 정신연령,돈연령)가 갖춰져 있으면 안정된 마음을 가질 수 있다.
돈연령이 육체연령과 22세 정도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나는 남들 보다는 금전감각이 없는데 ... 하여 안타까움을 금치 못했다. 돈이 있으면 이 세상을 다 내 것같이 생각되고 있는 족족 다 써 버리는데 나는 역시 범인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학습관>
성공할 멘토를 만나려면 질투하지 말고 스스로 좋은 파동을 발산해야 한다.
좋은 파동이란 말은 처음 들었지만 질투, 시기하지 말라는 이야기는 새롭다. 질투하면 험담까지 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여서 그럴까? 왜 그렇지? 나는 좋은 서평을 쓴 님들을 보면 너무 부럽고 샘이 난다. 하지만 내가 근접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기에 항상 거기에서 그친다. 그럼, 나는 질투를 하는 거야? 존경하는 거야? 거참, 모르겠다.
<성공관>
도산을 경험해도 윤리관을 잃지 않는 사람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지원을 받는다.
우리나라 경제인들이 이상한 걸까? 회사가 도산해도 자신은 버젓이 외제차를 끌고 다니는 사람이 있으니. 확실히 세계의 대부호라 불리는 사람은 다르긴 다르구나. 그런데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런 걸 모를까? 허참, 안타까울 뿐이다.
<연애관>
사랑이 있을 때 이혼의 위자료를 생각하는 것이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다.
나는 이것에 동의할 수 없다. 이혼을 하기 전에 미리 미리 잘 해야하는 것이 결혼인데, 이미 이혼을 생각하고 결혼하는 것은 결혼생활에 미리 장애물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기에 결혼생활에 균열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돈이 많은 사람들이라서 미리 권리를 찾아준다는 의미이겠지만 그래도 뭔가 찜찜하다.
마지막으로 나(독자)에게 해주는 말이다.
굳이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기 때문에 성공할 수 없다.
이 말이 정말 와닿는다.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 나는 과연 얼마나 많은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했던가. 하지만 하지말라는 것만 찾아다니면서 하는 게 아니라 하다보니 내가 하는 행동이 청개구리와 비슷해지는 걸 나도 어쩌겠는가. 이것 참, 난감할 일이네..
다 읽은 시점에서 보면 우리가 주위에서 많이 들어왔던 내용이 많다. 그럼에도 이 책이 새로운 건 동양적인 관점으로 쓰여졌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작가가 동양계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지금 세계의 대부호들이 동양의 고전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다니, 작가가 서문에 밝힌 것처럼 우리가 잃어버렸던 동양의 가르침을 다시 찾아서 "실천"한다면 우리에게도 세계적인 대부호가 될 길이 열리지는 않을지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