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우커 천만 시대, 당신은 무엇을 보았는가
전종규.김보람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이번 설 연휴에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의 숫자는 사상 최대 규모인 13만 명에 달했다고 한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내수 불황에 연말정산 이슈까지 겹쳐, 명절 특수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연휴였지만 이들의 방문으로 유통업계의 매출은 최대 70%까지 증가하는 등 활기를 띠었다고 하니, 요우커의 발길이 한 나라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가 가늠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렇듯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파워로 경제지형이 달라지고 있는 요즘,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관광정책과 비즈니스가 생겨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이들의 소비 물결이 계속 지속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한국을 찾는 요우커의 성장세와 함께 부상하는 비즈니스는 무엇일지 궁금했다.


중국통 전문가인 현직 애널리스트와 기자가 쓴 책, '요우커 천만시대, 당신은 무엇을 보았는가'는 요우커의 탄생배경을 시작으로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 신한류에 따른 한국여행 붐, 그리고 요우커 유입에 따른 경제 지도의 변화, 그리고 요우커 붐의 부작용과 개선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중국의 해외여행 붐은 마치 거대한 파도와 같아서 이미 멈출 수 없는 대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이 책에 따르면, 2008년 이래 중국인의 해외여행은 폭발적으로 성장해 왔지만 현재 중국의 1인당 평균소득이 6,800달러임을 감안할 때, 아직도 중국은 본격적인 관광시대에 도달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1인당 평균소득이 1만 달러에 달해야 해외여행이 일반화된다고 볼 때, 2018년이 되어야 1만 달러에 도달,  요우커는 현재보다 70% 증가한 1.7억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요우커의 구매력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인 16.7조 달러로 미국을 앞서고 있다. 이러한 높은 구매력은 중국 정부의 달러 소비에 대한 관대한 정책에 기인하며 외환위기가 오지 않는 한 정책이 바뀔 우려가 없다.


한국을 방문하는 요우커는 주로 2-30대 여성으로  대부분의 돈은 쇼핑에 소비한다. 이 책에서 중국 소비자들을 분석한 파트에 따르면, 주로 여성, 아동, 노인이 소비의 주체로 중국 소황제 세대의 여성의 경우, 소득수준 대비 소비성향이 높고 여가 문화 콘텐츠에 대한 소비성향이 강하다. 또한 중국에서 아이는 불가침의 성역으로 독생자를 위한 소비영향이기 때문에 유아용품의 경우, 소비가 뜨겁게 집중되는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고령화에 따른 실버세대의 부상으로 헬스케어와 레저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을 찾는 요유커의 붐은 지속될 전망이다. 신한류의 열품과 지리적인 근접성, 그리고 유교라는 문화적 유대감에 더해 최근 홍콩의 정국의 변화와 일본과의 불편한 관계로 인해 한국은 매력적인 관광지로 수혜를 보고 있다. 홍콩을 찾던 요우커의 발길이 한국을 향하면서 요우커의 입국은 매년 20% 증가, 소비는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따라서 내수시장에서 새로운 창업 기회를 노리는 이들에겐 향후 5년간 이들 요우커를 겨냥한 비스니스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을 듯 하다.


중국인들의 여행은 주로 쇼핑이나 관광명소에 집중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문화와 레저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부상하고 있으며 패키지 관광보다는 개인, 소규모로 자유여행을 즐기는 여행객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 패션, 화장품, 먹거리에 소비를 아끼지 않는다.


이렇듯 중국인 여행객이 미치는 경제효과는 운송, 교통, 숙박과 유통 그리고 상품 및 서비스로 구분된다. 대체로 인프라로 꼽히는 숙박은 저렴하게, 상품과 서비스는 과도하게 소비하는 경향을 띤다. 그렇지만 유행에 민감한 요우커의 소비패턴은 변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향후 3-4년 내 내수시장의 10%를 차지하게 될 요우커의 소비는 패션, 화장품, 액세서리, 가정용품, 유아용품, 그리고식품을 빼놓을 수 없을 전망이다.


이 책을 통해 중국인의 해외여행이 본격적으로 개화하지 않는 신시장이라는점 그리고 요우커의 유입으로 수혜를 보는 산업군과 아이템은 무엇인지 되짚어 볼 수 있어 좋았다. 특히, 창업을 준비하거나 주식에 관심 있는 분들에겐 향후 어떤 종목이 소비가 몰릴 지를 검토해 볼 수 있는 기회랄까.  요우커 소비패턴에 대한 통계자료와 데이터를 보면서 향후 국내 경제의 한 축으로 성장을 주도해 나갈 요우커 소비집단을 어떻게 준비하고 공략해야 할 지 생각을 넓힐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