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 - 유럽에서 아시아 바이킹에서 소말리아 해적까지
피터 레어 지음, 홍우정 옮김 / 레드리버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적’. 바다의 무법자. 법외 집단이자 범죄 집단입니다. 이 해적의 역사는 동서를 막론하고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아마 항해가 처음 시작되었을 시기와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서양에는 바이킹이 있었고, 동양에는 왜구가 있었지요. 바이킹 시대 이전에도 고대 그리스나 로마 시절 해적에 대한 기록이 있었고, 동양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근대에는 해적을 활용한 해상권 장악을 시도한 국가마저 있었을 정도로 역사 속에 깊이 자리잡고 있기도 합니다. 

“해적 (피터 레어 著, 홍우정 譯, 레드리버, 원제 : Pirates: A New History, from Vikings to Somali Raiders)”는 해적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입니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해적에 대한 로망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해적’, 즉 바다의 도적이 되자는 제안에 그다지 흥미를 느끼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근대 이전만 해도 이야기는 다릅니다. 책에서 서술한 해군과 해적의 보수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습니다. 16세기말 영국 해군에 복무하는 숙달된 선원의 3개월 급여가 1파운드 10실링 정도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을 사략선에서 근무하게 되면 무려 15파운드. 13배가 넘는 급여 조건입니다. 당연하게도 사략선이나 해적들이 모집하는 선원 자리는 언제나 경쟁률이 높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해적 열풍은 굳이 하층민에게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대항해 시대 이후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해적 사업은 신사나 귀족들도 뛰어들 만큼 매력적이었던 것이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해적 행위 (piracy)와 사략 행위 (privateer)를 구분하지는 않지만 이 책에서는 합법적 권한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그 경계는 매우 모호하고 실제적인 구분은 어렵습니다. 실제 책에서도 합법적(?) 사략선임에도 해적 행위를 한 사례들이 많이 나옵니다. 

이러한 해적의 이야기는 비단 근대 이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닙니다. 국가 간의 경계가 명확해지고, 해상 지배권이 명확해진 현대에 와서 국제법(유엔해양법협약)에 의거하여 해적을 ‘공적’으로 규정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 소말리아 해적이 가장 유명하긴 하지만 남중국해나 말라카 해협의 해적들도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한국 선적을 가진 화물선이나 어선들도 해적의 피해를 당하는 것을 뉴스를 통해 접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인류의 공적으로 규정된 범죄 집단이긴 하지만 거친 바다에서의 모험이라는 ‘낭만’이 곁들여지면서  ‘원피스’나 ‘캐러비안의 해적’ 시리즈와 같이 대중 문화에서 주요 소재로 활용되기도 하고, 많은 사랑을 받기도 하는 존재들입니다. 이러한 해적의 역사와 더불어 현대에도 해적이 소탕되지 않고 끊임없이 발호하는 원인과 국제 협력에 대한 이야기까지 들려주는 이 책, “해적”은 해적에 대한 역사적 맥락과 경과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 책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해적 #피터레어 #홍우정 #레드리버 #컬처블룸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위 게임 - ‘좋아요’와 마녀사냥, 혐오와 폭력 이면의 절대적인 본능에 대하여
윌 스토 지음, 문희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관점. 지위의 관점에서 보는 인간 행동의 메커니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미스의 국부론 - 인간 노동이 부를 낳는다 EBS 오늘 읽는 클래식
이재유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미스의 국부론 : 인간 노동이 부를 낳는다 (이재유 著, 한국철학사상연구회 企, EBS Books)”를 읽었습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현대 문명에 영향을 준 많은 철학자들의 사상에 대해 일반인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하고 EBS Books에서 시리즈로 출간하는 ‘오늘 읽는 클래식’ 시리즈 중 한 권입니다.


애덤 스미스(Adam Smith, 1723-1790)가 집필한 ‘국부론 (The Wealth of Nations)’는 지금 우리가 자본주의 경제라고 불리우는 고전 부르주아 경제학의 이론을 확립한 최초의 저작이라 볼 수 있습니다. 고전 부르주아 경제학은 정부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하고 모든 것을 시장의 원리에 맡겨야 한다는 이론으로 시장 만능주의에 가까운 사상이지요. 대공황 등 자본주의의 모순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을 수정하기 위해 케인즈 (John Maynard Keynes) 등이 노력했지만 1970년 대 이후 다시 자본의 세계화 흐름을 타고 다시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가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다시 대세가 되기도 했습니다.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자본에 대한 무한 방임을 주장하다 보니 부의 불평등, 비정규직 확대 등 자본주의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고, 지속 가능성에 대한 많은 의문 부호가 달려있습니다. 


저자인 이재유 박사는 신자유주의 자본주의가 가진 문제를 해결할 실마리를 오히려 그 근원이라 할 수 있는 ‘국부론’에서 찾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인간은 상호 공감을 할 수 있는 존재이고, 타인과의 공감을 통해 인간은 함께 즐겁고 행복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적 인간관을 기반으로 자유방임주의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때의 자유방임주의는 결코 시장방임주의나 시장만능주의가 아니어야 하며 인간이 공감을 끊임없이 확대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라고도 이야기합니다. 분업이나 부의 사회적 배분 역시 이기적, 적대적, 경쟁적 관계가 아닌 상호 공감의 관계에서 진행되어야 한다고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근대적 인간관은 개별적이고 원자화된 존재로 인간을 인식하여 사회 역시 기계적 결합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는 인간의 공감에 대한 스미스의 믿음 그리고 철학적 관점이 녹아 있다고 저자는 주장합니다. 


그렇기에 애덤 스미스는 자본이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그 근원에 노동이 있음을 통찰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자본이라 하면 원료, 기계, 땅을 의미합니다. 흔히들 자본이 스스로 이윤을 만들어낼 수 있다 생각하지만 이러한 자본 요소들은 가만히 내버려두어도 무엇을 생산해 판매하여 이윤을 생산할 수 있지 않습니다. 바로 자본 요소를 다른 가치로 전환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가하는 작업이 필요한데 바로 그것이 노동입니다. 노동이 없이는 자본은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이윤을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그렇기엔 노동은 이윤 창출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고 부를 낳는 근원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국부론’은 단순히 고전일 뿐이며 자유주의적 경제 이론을 정립한 저작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재유 박사의 해설을 통해 그 이면에는 애덤 스미스가 가진 인간관과 사회 관계적 통찰이 녹아들어 있고 단순히 자본의 입장에서만 경제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습니다.





#국부론 #인간노동이부를낳는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이재유 #EBSBOOK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염병의 역사 - 흑사병부터 코로나까지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리처드 건더맨 지음, 조정연 옮김, 김명주 감수 / 참돌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염병의 역사 (리처드 건더맨 著, 조정연 譯, 김명주 監, 참돌, 원제 : Contagion: The Amazing Story of History's Deadliest Diseases )”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고대부터 COVID-19까지 인류를 괴롭힌 감염병에 대해 읽기 쉽도록 사진과 그림을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존 스노(John Snow, 1813~1858) 이전까지는 역학(preventive medicine)이라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에 대해서도 제대로 알지 못했기에 대증 요법 (symptomatic therapy)으로나 대응했지, 병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해결을 시도조차 못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콜레라의 원인과 질병의 확산에 대한 그의 연구는 감염병 대응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류의 삶에 그리고 인류사에 큰 영향을 미친 감염병의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지금은 절멸되었다고 생각되는 천연두의 경우 한 문명권을 절멸시킬 만큼 강력했으며, 한반도에서도 마마님이라 부르며 ‘경외’할 정도로 삶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던 감염병이었습니다.



서구의 역사를 보면 흑사병이 또한 매우 강력한 감염병이었습니다. 페스트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이 병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면서 큰 영향을 미쳤는데 기록상 중국에서 가장 먼저 발생한 후 실크로드를 거쳐 유럽에 상륙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항상 감염병의 대유행에는 근거 없는 소문과 미신에 의한 사회적 혼란이 유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OVID-19를 통해 우리 역시 경험한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과 이성에 의한 반론으로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흑사병이 유행하던 당시에는 병의 원인을 몰랐고, 그 파괴력은 상상 이상이었기에 이러한 비이성은 엄청난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였다고 합니다. 유대인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소문은 이후 수 백 년 간 이어지기도 했고, 단순한 피부병을 앓던 사람 역시 죽임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COVID-19 이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감염병이나 전염병은 더 이상 인류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20세기초 스페인 독감이 위세를 떨쳤지만 사스(SARS) 유행(2002), 신종 플루 유행 (2009년), 메르스 (MERS) 유행 (2015) 같이 범 세계적인 유행이 아닌 국소적 단기 유행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앞서 이야기한 감염병의 유행 사태는 지나고 보니 COVID-19 팬데믹의 전조에 불과했던 것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제 인류는 처절하게 깨달았습니다. 바이러스는 막는다고 막아지는 것이 아니고 없앨 수 있는 것도 아님을. 과학과 정책, 정치와 사회가 총동원되어야 확산을 그나마 억제하고 사망자를 줄여나갈 수 있다는 것 역시 깨달았습니다. 



#감염병의역사 #리처드건더맨 #김명주 #조정연 #책좋사 #참돌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쁜 씨앗들 - 우리를 매혹시킨 치명적인 식물들
카티아 아스타피에프 지음, 권지현 옮김 / 돌배나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쁜 씨앗들 (카티아 아스타피에프 著, 권지현 譯, 돌배나무, 원제 : Mauvaises graines: La surprenante histoire des plantes qui piquent, qui brûlent et qui tuent ! )”을 읽었습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많은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들이 흥미롭습니다. 그런데 그 식물들은 우리가 흔히 보는 온순한(?) 그런 식물들이 아닙니다. 담배, 미치광이 풀, 죽음의 나무 등 다양한 치명적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뉴질랜드에는 ‘옹가옹가’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이 있다고 합니다. 쐐기풀과에 속하는 식물인데 초본으로 자라는 일반적인 쐐기풀과는 다르게 이 식물은 목본으로 자란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5미터까지 자라는데 5mm 길이의 털로 뒤덮여 있다고 하는군요. 

그런데 이 털이 문제입니다. 강력한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사냥꾼은 이 나무의 털을 만졌다가 마비되었고, 5시간 후 사망했다는 사례가 있었다고 하네요. 인간이 사고를 당한 경우는 드물지만 개나 말 같은 동물의 경우 그 사례를 찾아보기는 어렵지 않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이 털에 있는 성분을 추출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약으로 만들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다른 쐐기풀들에 비하면 이 정도는 귀여운 정도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호주에 있는 쐐기풀속에 속하는 한 나무는 엄청난 통증을 안기기로 유명한데, 그에 속하는 종 중 3-40미터까지 자라는 덴드로크니데 엑스켈사는 엄청난 독성으로 악명 높다고 합니다. 

더욱 끔찍한 경우는 ‘짐피짐피’라고도 불리우는 덴트로크니데 모로이데스라는 식물인데 이 식물을 잘못 만졌다가는 몇 개월 동안 참을 수 없는 고통에 시달린다고 합니다. 이 나무가 있는 곳의 삼림관리원은 마치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다가가는 간호사처럼 완벽한 방호복을 입은 상태로 접근해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그렇게 장갑과 마스크, 방호복을 입고도 병원에 실려가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는군요.)

이 나무의 독성 성분은 모로이딘이라는 성분인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성분이라고 합니다. 그 말은 곧 분해가 어렵다는 말인데, 결국 해독도 쉽지 않다는 이야기입니다. 결국 이 독에 중독된 경우 대부분 치료가 어렵고 몇 달 동안 고통에 시달려야 한다는 말이겠지요, 


얼핏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제목이기도 하지만 자세히 보면 독특한 제목입니다. ‘나쁜’이라는 의미가 무엇일지 책을 읽기 전에 매우 궁금했습니다. 사실 원제를 보면 그 의미는 보다 명확해집니다. 살아남기 위해 환각을 일으키고, 다른 동물이나 식물을 공격하는 능력을 가진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인 것이지요. 

원제까지 확인한 후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저자가 들려주는 식물들의 이야기는 상상 이상의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식물을 생태계의 조역이나 엑스트라 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매우 정적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식물 역시 매우 역동적인 삶을 살아가고, 충분히 적을 공격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 생명체임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나쁜씨앗들 #우리를매혹시킨치명적인식물들 #카티아아스타피에프 #권지현 #돌배나무 #책과콩나무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주관에 따라 서평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