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안 쫌 아는 10대 - 프로이트 vs 니체 : 내 안의 불안은 어디에서 왔을까? ㅣ 철학 쫌 아는 십대 2
이재환 지음, 신병근 그림 / 풀빛 / 2023년 4월
평점 :
요즘 들어 TV나 유튜브에서 '불안 장애'나 '공황 장애', '우울증'에 대해 꽤 많이 다루고 있다. 우울하거나 불안하면 마치 내가 정상이 아닌 것 같고, 내게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라는 생각에 상담을 원하는 청소년들 역시 늘고 있다. 특히 과도한 학업과 급격한 감정의 기복, 대인관계에서 오는 고민에 시달리는 십 대에게 불안은 어쩌면 당연한 감정일지 모른다.
<불안 쫌 아는 10대>는 '불안하다는 감정에 불안을 느끼는' 십 대에게 필요한 '불안에 대처하는 자세'를 두 철학자들의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풀어낸 책이다. 인간의 무의식을 탐구하면서 우리의 마음을 해부해서 불안한 이유를 설명해 주는 프로이트와, 삶이 내 마음대로 되지 않아서 불안할 때 이를 극복하고 긍정하는 태도를 들려주는 니체의 철학 이야기가 담겨 있다. 선생님과 아이들의 흥미진진한 대화를 통해 두 철학자들의 이야기뿐 아니라, 우리가 느끼는 불안의 이유와 의미, 대처법까지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이 책은 '1장 우리는 모두 불안한 인간, 2장 당신의 욕망을 변신시켜 드립니다, 무의식, 3장 내 안의 욕망 덩어리를 다스리는 법, 4장 love yourself, 불안을 막는 주문, 5장 나만의 가치를 가진 초인이 되라고?, 6장 다시 '나'로 태어나더라도 후회 없게 살아 보기, 7장 어린아이처럼 살라고?, 8장 나만의 가치를 찾아 건강한 몸 만들기'라는 8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프로이트에게 의식은 정말 작은 부분에 불과하고 우리 정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의식이니까 '나'는 사실 무의식, 즉 생각하지 않는 곳에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프로이트가 말하려고 한 것은 우리가 무의식이 있는 건 알지만 정확하게 무의식이 어떤 건지는 잘 모른다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불안을 이해하려면 무의식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저자는 무의식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인데, 이것을 통제하려고 하는 게 의식이고, 그래서 우리에게 불안이 생긴다고 이야기한다.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는 생각, 이걸 '의식'이라고 해. 빙산에서 물 밖으로 나온 부분이 의식이야. 그런데 프로이트는 이 의식이 인간의 정신 중에서 빙산의 끝부분, 방금 한 말로 하면 '빙산의 일각'일 뿐이라고 말했어. 그러니까 의식은 빙산에서 정말 작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지? 바닷물 밑에 잠겨 있는 어마어마하게 큰 부분, 엄청난 크기의 빙산이 바로 프로이트가 말한 무의식이야. 그러니까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의식은 사실 우리 정신에서 얼마 되지 않고 나머지 대부분은 무의식이라고 할 수 있어."
"한편으로는 불안이 우리가 잘 살고 있다는 표식이라고도 할 수 있어. 통제되지 않은 에너지가 어느 정도는 관리되고 있다는 거니까. 또 이렇게도 이야기할 수 있어. 무의식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거니까, 불안도 인간이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거야. 지난번에 선생님이 불안한 걸 불안해하지 말라고 했던 거 기억나니? 누구나 무의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불안할 수밖에 없으니까 나만 불안하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겠지."
저자는 특히 어릴 때 경험한 충격적인 기억은 우리가 감당하기 힘드니까 보통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경험을 했을 때의 장면은 보통 무의식에 억압되어 있는데, 그 장면과 연결된 감정은 억압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감정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저자는 예를 들어, 거미나 개에 대한 공포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 어릴 때 뭔지는 모르지만 극심한 공포를 경험했는데 그 경험의 장면이나 기억은 무의식 속으로 사라지고, 공포의 감정은 계속 남아 있으니까 이 감정이 거미나 개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초자아는 우리를 지나치게 억압하고 몰아붙이는 힘이라고 말한다. 이드가 통제할 수 없는 욕망이라면 이 욕망을 통제하는 것이 자아고, 자아보다 더 큰 통제를 하는 것이 초자아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자아 이상은 자신의 현재 모습, 있는 그대로의 모습이라기보다 자신이 되고 싶은 이상적인 나의 모습을 의미한다고 이야기한다.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거나 인정받으려면 스스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나의 모습', 아니면 남들에게 보이고 싶은 이상적인 나의 모습이 자아 이상이다. 저자는 초자아는 우리가 그런 모습을 갖추도록 몰아붙이는 역하을 하고, 높은 기준에 못 미치는 것 같으니 내가 형편없는 사람이나느 생각이 들어 자존감도 낮아지고, 자신감이 떨어지니까 항상 주눅이 들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저자는 그런 이상적인 모습에 못 미친다고 생각하는 더 초조하고 불안해지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우리 정신의 에너지, 리비도가 다른 사람이나 사물 등 바깥에 있는 대상으로 향하지 않고 자기 자신에게 오면 나르시시즘이 된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사랑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다른 대상이나 사람도 사랑하고 나도 사랑하는 건 우리 정신의 에너지를 균형있게 투자하는 것이니 좋은 일이지만, 나만 사랑하는 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리비도가 나한테 집중되면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투자해야 할 에너지가 줄어들 테고 그러면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시큰둥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사람이면 누구나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인간이면 누구나 조금씩 불안을 갖는다고 말한다. 저자는 그런 불안을 '실존적 불안'이라고 하며, 말 그대로 인간으로 존재하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불안으로, 이러한 불안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이니까 불안한 것을 불안해하지 않아도 된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저자는 지금은 아주 유명한 철학자 대접을 받고 있지만 니체가 살아 있을 때만 해도 힘든 삶을 살았다고 말한다. 니체는 5살에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뿐만 아니라 30대에는 병 때문에 직업을 잃고 요양을 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돌아다녀야 했다. 게다가 자기가 쓴 책이 잘 안 팔려서 자기 돈으로 책을 내기도 했고, 45세 때에는 사람들이 미쳤다고 하는 상태가 되었고, 죽을 때까지 그렇게 살아야 했다.
저자는 니체는 자신의 삶을 극복한 사람, 운명애를 실천한 사람을 '초인'이라고 불렀다고 말한다. 초인은 말 그대로 초월하는 인간이라는 뜻이다. 저자는 초인이 된다는 것과 자기에게 주어진 운명을 극복한다는 것이 만화 속에 나오는 영웅처럼 멋진 사람, 완벽한 사람이 되라는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오히려 운명애를 실천한다는 것은 남들보다 부족하더라도 그걸 인정하고 자기 자신과 자신의 운명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것이다. 자신의 결점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결점을 그대로 인정하고 가능하면 더 개선하려고 애쓰는 것이다. 저자는 초인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고 열등감을 느끼고 불안감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냥 자신을 사랑하면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중2병이 보통 센 척하는 거잖아? 이것도 어떻게 보면 불안해서 그런 것일 수 있어. 내가 약하다는 걸 알면 친구들이 나를 안 좋아하는 건 아닐가 불안해서 센 척하는 거지. 또 주위에 보면, 다른 사람 칭찬하는 걸 못 견뎌하는 사람도 있잖아. 그것도 어떻게 보면 비슷한 경우야. 다른 사람이 칭찬받으면 왠지 자기가 상대적으로 평가절하 받는 느낌을 받으니까 다른 사람을 칭찬하지 못하는 거야. 또 다른 예로, 내가 공부를 잘하거나 외모를 잘 꾸미면 다른 사람들이 나를 좋아할 것 같아서 열심히 공부하고 외모를 가꾸는 것도 어떻게 보면 다른 방식으로 센 척하는 것일 수 있어. 근데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다른 사람과 비교할 이유도 없거든. 니체는 이런 게 다 운명애가 없어서 그런 거라고 할 거야."
저자는 니체는 가장 위대한 예술가는 자신의 삶을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했다고 전한다. 자기 삶을 예술 작품으로 만든다는 것은 곧 삶에서 내가 드러내고 싶은 가치가 드러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삶을 살아갈 때 우리는 예술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니체가 이야기한 운명애를 실천한 초인이 되려면 자신의 운명을 극복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한 지향점이 바로 가치라고 이야기한다. 우리 삶이 망망대해를 항해하는 배와 같다면 가치는 멀리서 보이는 등대, 혹은 반짝이는 별과 같다. 저자는 초인은 자신만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며, 이것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게 아니라 예술가처럼 자기가 만들어내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우리는 실패한 삶을 살까 봐 불안해하잖아? 그런데 니체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우리에게 이야기하는 거야. 아까 다빈이가 말한 것처럼,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하면서 주눅들거나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하거나 내가 잘 나지 않으면 다른 사람에게 사랑받지 못할 거야, 이런 생각을 할 필요가 없어. 결국 나는 나만의 가치를 가진 예술 작품으로 살면 되니까."
저자는 니체의 영원 회귀 개념이 우리가 삶의 가치를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신은 죽었다'라는 니체의 말은 우리가 잘못한 것도 없는데 잘못했다고 비난하는 그런 신은 죽었으니까 죄책감 가지지 말고 하고 싶은 대로 살아가라고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니체는 우리에게 다른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비교하거나 곁눈질하지 말고 '너 자신이 되어라'라고 이야기한다. 내 인생의 가치를 찾는 것도, 이렇게 살면 이번 생은 망하는 것도 아닐까 걱정하지 말고,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도 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우리가 죄책감을 가지고 불안함을느끼는 것이 특별히 잘못된 것은 아니고 누구나 인간은 조금씩 죄책감, 불안감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말해. 그렇지만 프로이트와 니체 두 사람 모두 공통적으로 죄책감이나 불안감은 우리가 잘못했거나 잘못되었기 때문에 갖는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거지."
"니체는 우리에게 너무 높은 기준을 제시하면서 거기에 미치지 못하면 죄책감을 주고 불안하게 만드는 그런 존재는 이제 사라졌으니까, 내 삶의 기준은 나 자신이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했단다. 요즘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라"라는 말도 많이 하잖아. 그 말이 사실은 니체가 하고 싶었던 말이야."
저자는 니체가 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낙타는 자기가 왜 짐을 짊어지고 가야 하는지도 모르면서 그저 묵묵히 무거운 짐의 존재를 견디는 존재라고 말한다. 인간 정신의 가장 낮은 단계인 낙타는 자기가 왜 짐을 지는지도 모르면서 주인이 시키니까 지는 것이다. 저자는 왜 그런 규범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모르면서 그저 그 규범대로 살아가는 상태를 니체가 비유한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또한 저자는 인간정신의 두 번째 단계인 사자는 용기 있게 그 짐을 벗어 던지긴 했는데 그 다음에 뭘 해야 하는지 모른다고 말한다. 다른 사람이 나한테 강요하는 가치대로 살지 말아야겠다고 용기는 냈지만 나의 가치가 뭔지는 아직 못 찾은 상태이다. 외부에서 강요한 가치를 받아들일 생각은 없지만 그렇다고 내가 하고 싶은 것, 내가 삶에서 이루고 싶은 나만의 가치는 없는 상태가 사자다. 그리고 인간정신의 마지막 단계는 어린아이다. 어린아이는 자신에게 주어진 조건을 긍정할 뿐만 아니라 놀이로 만든다. 내 삶을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다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 불안해하지도 않고 자기에게 주어진 조건을 긍정하면서 즐겁게 논다. 어린아이는 바로 운명애를 실천하는 사람인 것이다.
저자는 니체가 "너는 너 자신이 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던 것처럼, 니체도 '나'는 존재한다고 생각하며, 이때 나 자신은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흥미로운 점은 니체는 '나'는 먼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 안에 있는 힘들이 어떻게 배치되고 결정되느냐에 따라서 나중에 만들어지는 거라고 생각했다고 이야기한다.
"프로이트는 우리 정신 안에 무의식, 전의식, 의식이 있고, 또 이드, 자아, 초자아로 나눌 수 있다고 했잖아. 그리고 무의식이나 이드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그런 욕망이기도 하고. 또 프로이트가 '리비도'라고 부르는 우리 정신의 마그마도 있었잖아. 그러니까 우리 안에는 다양한 힘들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겠지. 마찬가지로 니체도 그렇게 생각하는 거야. 니체는 내 안에 엄청나게 많은 '충동'이 있다고 이야기했어. 그리고 이 충동이라는 것은 우리가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거라고도 했고. 쉽게 이야기하면 우리 안에는 많은 힘들이 있는 거야."
"예를 들어 보자. 어떤 날은 왠지 혼자 영화를 보고 싶을 때도 있고, 어떤 날은 친구들하고 신나게 놀고 싶을 때도 있잖아? 니체는 그게 사실은 내 안에 있는 충동 혹은 힘들이 하고 싶은 것들이 매번 각자 달리서 그렇다는 거야. 그리고 '감수성이 넘칠 때의 나'와 '친구들하고 신나게 놀 때의 나'가 다르다는 의미야. 재영이 안에는 이렇게 다양한 힘들이 존재하고, '나'라는 것은 이러한 힘들의 배치에 따라서 끊임없이 바뀐다고 할 수 있겠지."
저자는 모두 다 자신의 모습인데, 스스로를 규정짓는 고정관념이 있으니까 나에게 다른 모습이나 평소에 원하지 않던 것을 바라면 "이건 진정한 내 모습이 아니야"라고 생각하거나 뭔가 잘못됐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고 말한다. 그것 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거나 내가 뭔가 잘못 되어 가고 있나, 잘못된 길로 가고 있나 불안하기도 하다. 하지만 저자는 니체는 우리에게 다양한 모습이 있고, 그 다양한 모습 중에서 어떤 모습이 나타나느냐에 따라 '나'가 다르게 결정된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한다.
<불안 쫌 아는 10대>의 마지막 부분에서 인간이면 누구나 불안할 수 있다는 프로이트의 말도 잘 생각해보고, 자신의 가치를 가지고 사는 사람은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니체의 말도 곱씹어 보면서 즐겁게, 가치 있게 생활하기를 희망한다는 저자의 글이 인상적이다. 이 책은 선생님과 학생이 대화하는 장면들로 친절하게 구성되어 있어 청소년들이 불안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청소년 도서로 흥미롭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