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ㅣ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판소리는 조선의 오페라 말할 수 있다.
단순한 음악이 아닌 한이 담긴 우리네 소리이다.
소리와 북, 장구, 꽹과리 등의 악기가 어울어져 신명나기도 하고 때론 구슬프기도 하여 관객을 울고 웃게 하는 매력이 있다.
판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닙니다. 그것은 누군가의 이야기를, 그리고 나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살아 숨쉬는 서사입니다.
저자는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 책의 출간 이유를 통해 판소리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밝히고 있다.
고전적으로 전해져 오는 하나의 서사같은 판소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방구석 판소리》에는 타령, 향가, 고전시가, 고전 소설 등 다양한 내용의 판소리가 소개되고 있다.
국악이라는 이름으로 내가 처음 접한 건 오래 전 한 프로그램에서 였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고 북을 치는 사람의 옆에서 아줌마, 아저씨 그리고 어린 친구들이 나와서 긴 시간을 창을 하는데 그 모습을 보고 있자니 숨이 차는 듯했다.
한 마당 한 마당을 정성과 한을 담아 국민적 정서를 자극하는 판소리는 득음을 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서는 그들이 내는 소리가 예사롭지 않음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판소리의 내용을 이해하기란 여간 어려운게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학창 시절 가야금을 하는 친구 덕분에 국악 분야을 조금은 알 수 있었지만 그래도 막상 소리로 풀어내는 서사인 판소리 속 내용이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로 그저 리듬감과 시시가각으로 달라지는 상황에 따른 목소리의 변화만을 느끼며 들었던 것 같다.
이번 《방구석 판소리》를 통해 춘향가, 심청가, 옹고집, 그리고 여러 타령과 향가, 고전시가, 고전 소설들의 원문과 그에 따른 설명을 통해 어렵고 때론 지루하기까지 했던 이야기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이 좋았다.
얼마 전 가족 여행으로 남원을 갔었다.
남원하면 유명한 것이 '춘향전'
그 춘향전의 역사가 담긴 광한루원을 방문하면서 그 동안 이야기로만 알고 있었던 춘향과 이몽룡의 배경이 된 곳을 돌아보면서 춘향전의 서사를 몸소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방구석 판소리》에 담긴 이야기들은 시대상의 이해와 한과 해학의 선율이 주는 묘미를 느끼면서 한 편 한 편 본다면 한국의 오페라를 머릿 속에 그리고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방구석판소리#리텍 코리아#이서희#판소리#오페라#힐링에세이#소리#고전#도서협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