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녀의 영화 레시피 - 10대의 고민, 영화가 답하다 ㅣ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9
김미나 지음 / 특별한서재 / 2025년 3월
평점 :


어릴 때는 대화도 많이 하고 시시콜콜한 것까지 공유를 하며 지내던 딸.
중학생이 되면서 점점 간극이 생기면서 소통보다는 불통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날이 많아졌다.
아이가 성장함에 있어 당연한 변화임에도 쉽사리 받아들이는 게 힘들었다.
10대가 되면서 자신의 고민을 말로 표현하지 못해 답답해하는 아이를 보면서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소통의 문을 열어봐야겠다 생각하던 중 만나게 된 <마녀의 영화 레시피>
부모가 직접적으로 하는 말들을 잔소리와 간섭이라 여기는 아이에게 또 다른 매체의 활용을 통한 메세지 전달을 하고 싶었다.
다행히 딸아이는 영화와 드라마를 좋아한다.
<마녀의 영화 레시피>는 그런 나에게 그리고 딸아이에게 좋은 연결고리가 되어 주었다.
그럴 땐, 이런 영화를 봐!
마녀가 추천하는 25편의 특별한 시네마 노트
책 속에 담겨 있는 25편의 영화 중 본 것도 있고 보지 않은 것도 있었다.
각 상황마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고민이 될 때 보면 도움이 되고 감동과 지혜를 주는 메세지를 담은 영화는 책읽기를 싫어하는 아이들에게 좋은 매체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같이 때론 혼자 영화를 보면서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영화 속 인물과 상황에 투영하여 보는 동안 나에게만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과 함께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10대 청소년이라면 미성년으로 모든 것이 성장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낮은 자존감과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자존감을 키우고 싶을 때, 용기가 필요할 때, 깨달음이 필요할 때, 친구 관계가 고민될 때, 위로가 필요할 때, 미래의 직업이 고민될 때 등 각 상황에 맞는 레시피 영화를 소개하고 있는 <마녀의 영화 레시피>를 아이에게 소개했을 때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책이라는 말을 듣고 내심 기뻤다.
사실 부모가 이럴 때 이렇게 하는 게 좋다거나 엄마때는 이랬다는 등의 꼰대같은 말이라는 생각하기 쉬울텐데 이 책 속의 소개된 영화와 저자의 생각이 담긴 메세지를 읽으면서 좀 더 영화를 재미있게 보면서 자기만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고민할 수 있을 것같다.
한 예로 <우아한 거짓말>이라는 영화를 소개하는 부분을 보면서 이사와서 친구 문제로 힘들어 했던 아이와의 일이 생각났다.
주인공 천징의 죽음을 통해 알게 된 딸아이의 학교 생활 속 교우 관계는 우리 딸아이이와 많이 닮아 있었다.
'왕따'와는 비슷하지만 다른 '은따'
아이들은 천지를 대놓고 왕따를 시킨 건 아니지만 항상 자기들은 '우리', 천지는 '애'
아이들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이 부분에서 아이가 처음 전학와서 당한 일들이 생각났다.
"말로 비수 푹 꽂아 놓고 "아니야? 그럼 말고" 그거 사람 잡는거야. 너는 취소했다고 하면 끝이겠지만 비수 꽂은 자리에 남은 상처는 어떻게 할래?" (p137)
때로는 영화보다 현실이 더 잔혹하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의 아이들의 경우 폭력과 장난의 구분이 없이 폭력이나 폭언을 하고도 장난이라 말하면서 죄의 무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그런 세계 속에서 우리의 아이도 살아가고 있기에 영화 속 이야기가 허무맹랑하다기 보다 더 잔인하고 분노로 다가왔다.
이 책 속에 소개되고 있는 25편의 영화는 아이들 뿐 만 아니라 부모님도 함께 보길 권장한다.
아이들의 고민과 그들의 세계에 대해 이해가 없이는 자녀와의 소통을 기대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우리 때도 그랬어. 뭘 새삼스럽게 라는 반응의 사람들도 있겠지만 상대를 이해하기에 앞서 필요한 것은 그 상대를 이해하려는 마음과 그의 이야기에 귀 기울리고 함께 고민하는 자세가 아닐까.
단순한 영화의 소개가 아닌 영화 속에 담긴 메세지를 캐치해서 상황에 필요한 레시피를 담고 있는 영화를 통한 답을 찾아나가길 기대하는 저자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마녀의 영화 레시피>
내가 아는 많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중 하나이다.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