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소설만 써서 먹고 살 수 있는 복받은 작가중의 한명인 저자가 소설가가 되고자 하는 아마추어 작가들에게
지난 20여년간 글을 쓰며 깨달은 소설 작법에 관해 참으로 친절하게, 상세히 알려주는 책.
그리 두껍지 않은 책의 분량에 비해 너무나 많은 이야기들이 마치 입구를 찾기 어려울만큼 울창한 나무들로 가득한 숲처럼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작정하고 나온 지인이 태풍처럼 몰아치는 수다에 정신 없이 휩쓸렸다 깨어난 기분이랄까..
(쓰고보니 그와 만나 수다를 떨면 밤도 가뿐히 새울 수 있을 것같은 느낌적인 느낌^^)

개인적으로 그의 장편소설보다는 단편이 좋고, 단편보다는 산문이 월등히 더 좋다.(고 생각한다)
곳곳에서 지뢰처럼 불쑥 나타나는 그의 유머가 좋고, 걸리는 곳 없이 줄줄 읽히며 공감되는 내용의 흐름도 좋고,
무엇보다 맛깔나게 수다 떨 줄 아는 재주를 가진 지인과의 만남처럼 힘들이지 않아도 시간이 훌쩍 가는 매끄러운 문장을 읽는 즐거움이 좋다.
(장편소설로 가면 신기하게도 이런 산문의 장점들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나에겐 그렇다)
특히 이 책은 그런 그의 산문적 장점들이 가장 집약적으로 뭉쳐져 만들어진 작품같은 느낌.

다 읽고난 첫 느낌은 소설이라는 건 아무나 쓸 수도 없고 써서는 안되는 거구나, 라는 새삼스런 깨달음이다.
(소설을 잘 쓰고싶은 이들을 위한 소설작법 안내 책의 감상이 이런 비관적인 결론이라니. ㅜㅜ)
책 속에 펼쳐진 그의 모든 주장에 고개가 끄덕여지고 동의가 되지만 머리로 안다고 해서 반드시 할 수 있는건 아닌데다가,
일단 올바른 인간이 된 후에 ‘왜‘와 ‘어떻게‘를 비롯해 많은 것을 치열하게 고민해서, 성실하게 제대로 된 문장을, 그것도 지칠만큼 여러번 써야만 하는 것이 소설이라니..
‘내 인생 소설로 쓰면 대하소설이야‘라는 자신감 넘치는 고백들을 여기 저기서 수없이 들으며 사는동안 소설을 내심 우습게 알게 되었나보다 하는 자각과 함께 반성이 밀려오고, 언젠간 나도 한번.. 이라는 막연한 계획으로 꼽아오던 소설에 대한 섣부른 로망을 그만 접어야하나 라는, 지극히 자연스럽지만 쓸쓸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런 엄청난 부작용(?) 외엔 그간 내가 읽은 김연수 작가의 책들 중 베스트3 안에 넣을 수 있겠다 싶을만큼 좋은 내용과 문장으로 가득한 훌륭한 산문집.
여러번 수정했다는 고백을 하긴 하지만, 감탄이 나오는 문장들과 마음에 새기고픈 글들이 정말 많아서 책에 메모를 절대 하지않는 원칙을 깨지않기 위해 포스트잇으로 책장이 빽빽해져버렸다.
다작 하는 작가이고 그의 책을 많이 읽은 독자임에도
이 책을 읽고서야 폴 오스터가 한 말에 그도 해당되는 작가라는 데 동의하게 됐다.
‘작가는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되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직업중 단명하는 직업 1위라지만
선택된 자들에게만 허락된 재능 없인 결코 얻을 수 없는 작가라는 이름.
그런 면에서 작가들에게 재능은 천형일까 축복일까..
한동안은 산문을 읽는 것을 자제해야겠다.
그의 현란한 문장과 비교되어 어떤 산문도 한동안 밍밍하게만 느껴질것 같으니.
독자에게 이런 감상을 느끼게 만드는 그의 작가적 재능이 그저 부럽고 부럽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07-19 11: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이랑 작가 단편 딱 한 권 읽어봤는데, 단편보다는 산문이 월등히 더 좋다.(고 생각한다)에 동의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