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나지 않은 사이드



 미국의 이라크와의 전쟁?은 과연 승리였다. -무엇이? 미국을 향한 적개의 감정은 배신이라는 윤리적 테제, 그러니까 "미국인 아닌 미국"(배반자라 일컬어지는) 보복의 대상으로 배치되었다. 즉 미국인에 대한 직접적인 문제들은 '미국'이 소화한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미국"인들은 "미국인"이 아니다. 그들에게 응징이라는 미명하에 가해지는 가공할 수준의 폭력은, '미국인'의 수고를 피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본질적으로 동등해질 수 없는 차이, 바로 '미국'인과 '미국인'의 격차가 좁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양단으로부터 섞일 수 없는 배출구 같은 뭉개진 삶들. 그들은 선택받은 적도, 버림받은 적도 없기에 그 중층에서 갈로에 서게 된다. 미국이라는 존재 하지 않는 유령(이라크에서 일어나는 테러로 인한 민간 피해를 일일이 집계하는 것조차 넌더리가 나며[왜냐하면 그건 당연한 일상이다], 그것을 '역사적'이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그건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그건 그곳에서의 당연한 일상이기 때문이다.. 그건 토막 뉴스다.])은 '미국'인이라는 배신의 적별(敵別)을 떠돌게 하고, 그것은 어김없이 근본의 더 없는 사실성을 부여해 주었다. 적을 밝혀주는 가장 '원시적인 열정', 바로 그 영혼을 불어넣어 준 것이다. (빈 라덴의 '드높았던 열정'을 높이 샀던 나라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필요 없으리라.) "정의가 실현됐다."



 물론 이 문제는 그리 녹록하지 않다. 집요한 "무고"에 대한 언급과 그를 둘러싼 생산의 양식들 속에서 언제나 실은 득을 압도하고 득은 언제나 실에 연관돼 있으며 그것은 다시 무고를 양산한다. 망자는 내맡겨져 있기에 '무고한 희생'을 언급하는 빈 라덴이나 무고함을 선점하려는 당파적인 이해에 귀속된다. 9.11이 있고 3년 뒤에야 했던 빈 라덴의 시인은 무엇인가? 그 뒤에서도 보인 행태들은 애매한 둘 사이의 시위를 보여준다. 아니라고도 했다가 시인하고, 또 달리 아니라고도 했다가 다시 시인하고.. 그렇게 희생을 대리했다. 9.11은 개인적인 이해관계가 전적으로 아닌 (순수한? 근본적인?.. 이를 근본적으로 순수한이라고도 하는데) 미국에 대한 미국인을 향한 공격이었고, 그 근본적인 종족성은 더 없는 완벽한 유형성을 가져다 주었다. (희생자는 미국인이라는 이름으로 희생되었으며, 그것은 우리와 그들의 이해를 뜻한다.) 포로에 대한 인도적인 반응은 그래도 미국의 정신과 부합했다. (약 270명의 여학생 납치도 불사하는 나이지리아 반군을 보라.) 포로가 겪었을 '수치심'을 언급하며 인권을 말하고, 이 전쟁의 의미를 일깨우는 정합성을 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거기서 9.11의 무고한 희생이 중요하다고 해서 그것이 중심인 것은 아니다. 그 배경에는 언제나 물결치며 거세게 요동치는...




 그렇다. 진실의 무게는 불변한다. 그리고 진실은 기만당한다. 

 그렇다. 진실은 기만당한다. 그러나 진실의 무게는 불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므로 미래의 ㅇㅇㅇ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거의 ㅇㅇ학자가 쥐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ㅇㅇㅇ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고, 또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163) 우리는, 우리조차 믿지 않는 것을 그저 지시할 뿐이고, 나는, 나 역시 믿지 않는 것을 넌지시 할 뿐이다. 우리는 이것을 과학의 과학성이라 할 수 있으며, 차라리 철학의 비철학성만을 이야기할 수 있다.































"만일 열핵반응가정을 제어할 수 있다면 1분당 150갤론씩의 물로부터 미국 전역에서 생산하는 양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미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거의 물리학자가 쥐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에너지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고, 또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을 인간이 되게 하자! 인간은 스스로에게 최상으로 여겨지는 것에 맞추어 자신을 형성한다."(22) 인간을 인간이 되게 하는 것. 이 수수께끼 같은 전언이 바로 역사성이며, 즉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즉 인간 스스로 최상에 여기지는 형성, 바로 "인간은 인간성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23) 그러나 숙명적으로 "(...) 인간은 서글픈 운명을 지녔다. 우리는 노력해야 하지만, 노력의 결실을 보지 못한 채, 혹은 역사의 전 과정에서 인간의 노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알지 못한 채 죽어야만 한다." (17) 바로 역사의 질문은 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영화는 몇몇 흥미로운 자백(?)에 대한 장면들을 제공한다. 처음 의식을 깨닫고 뛰쳐나가는 형사가 지나가는 장면이나 '자산'을 다루는 흥미로운 방식들을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영화가 주는 흥미로움 중 가장 큰 것은 자신을 (좀 더 정확히 말해 자신의 위치를) 깨달은 형사 머피가 내뱉는 고백이다. "이 악몽을 끝내줘요." 현실을 보라던 박사에 의해 '꿈으로부터 쫓겨난' 머피가 조우해야 했던 것은 정작 현실이야말로 꿈이라는 것, (박사의 말처럼) "자유 의지에 대한 환상"인 것이다. 나, 너, 우리...와 같은 규정성들은 그야말로 오점을 지시하는 오해와 편견들이 아닌가? 나? 너? 우리? 그들? 저들? ... 그렇다면 고민은 그것인데, 대체 나, 너, 우리, 그들... 이 자리할 정당하고 올바른 곳은 어디인가? 라는 보충이다. 물론 그 답은 언제나 이미 주어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의 평가를 점수로 매기는 건 어딘가 찜찜한 일이어서 이쪽 공간을 할애한다.


 금형 설계와 관련해 공부하고 싶어서 (충동적인 중고로) 구매한 책인데, 그게 좀 화근이었던 거 같다. 기능적인 활용이야 하고 있는 수업만으로도 충분히 드로잉을 익히는 데에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거기다 command 활용은 당시에도 그렇고 그래픽스인 autocad의 접근성을 필요 없이 높이는 단락이다. (필요한 기능을 불러오는 축약이 아니라 정말 구구절절하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독학하는 이들에게 도면예제가 왕왕 있다는 것은 다양한 오토캐드의 기능적 활용과 응용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확실히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