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본 이름에 속하는 저자여서 집어 온 책이다. 책은 4장으로 구성돼 있다. 언어와 국가를 다루는 1장, 2장 일본정신분석, 3창 투표와 제비뽑기-기쿠치 간의 [투표], 4장 시민통화와 작은 왕국-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작은 왕국]. 그리고 부록으로 책에서 언급되었던 작품을 제공한다.
4개의 장은 유기적으로 이어진다. 첫장은 네이션=스테이트=캐피탈리즘의 '교환'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랑그'를 '국어'로 착각하게 되는 배경이 설명되고, 가상과 초월론적 가상에 대한 '사상된 공동체'가 논의된다. (비록 인용구는 2장이지만)
"문자언어는 역사적인 문제다. 문자언어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어느 민족이 제국의 문자(문화)를 도입한 뒤 어떻게 자기를 확립했는가, 어떻게 자신들의 사상이나 감정을 나타내려고 했는가 하는 역사적인 사정을 생각하는 일이다."
이를 부연하고 펼치기 위해 2장 "일본의 정신분석", "일본정신의 분석"으로 이어진다. 주변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일본의 지위를 은폐하고 초현실적으로 점잖게 서술되는 '일본적인 것'을 분석한다.
3장은 민주주의 문제를 다룬다.
"물어야 할 것은 중앙집권적인가 반중아집권적인가 하는 것이 아니다. 마르크스주의인가 아나키즘인가 하는 것도 아니다. 어떻게 하면 중앙집권주의를 막을 수 있을까, 관료적인 지배를 막을 수 있을까를 물어보아야 한다. 필요한 것은 그렇게 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행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대의 투표제와 현행 민주주의가 불구화한 제비뽑기를 통해 민주주의의 정신을 생각해 본다.
4장은 다니자키 준이치로가 쓴 [작은 왕국]이라는 단편소설을 고찰하면서 1장에서 다룬 네이션=스테이트=캐피탈리즘의 다시 집중하고, 무한한 자본의 축적운동을 지양하기 위해 시민통화를 고민해 본다. "윤리적이며 경제적인 어소시에이션"이라는 1장에서의 언급처럼, 이 구상은 "따라서 여기서는 '화폐가 있어서는 안 된다'와 동시에 '화폐가 없어서는 안 된다'라는 이율배반이 (...) '시장이 있어서는 안 된다'와 '시장이 없어서는 안 된다'라는 이율배반"이 함께 다뤄진다.
칸트는 "타자를 수단으로서만 아니라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는 것을 도덕법치깅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 법칙이 실현되는 세계를 '목적의 왕국'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 경우 우리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미래의 인간을 '타자'로 간주해야 한다. 실제로 지구 온난화나 환경오염의 피해를 입는 것은 미래의 인간들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현재의 생활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타자를 수단으로만 대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해도 괜찮은 것일까? 물론 그렇다고 말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순환형 경제로 이행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그런 이행이 개개인의 도덕적 억제나 국가의 규제가 되어버려서는 '윤리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 경우에도 시민통화가 열쇠가 된다. 시민통화에 기초할 경우, 미래의 인간을 희생시키는 경제는 있을 수 없다. 그것은 윤리적-경제적인 것이다.
우리는 흔히 타산적일 때 윤리적 행동과의 불일치를 느끼곤 한다. 그렇다면 이 '타산'에는 그 어떠한 이유에도 불변하는 진짜가 존재한다는 것일까? 나는 여기서 이 책의 문제가 출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그 질문에 대해 어떠한 조건과 결과 속에서 그렇다고 할 수도, 아니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