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살고 싶은 집은 - 건축가 이일훈과 국어선생 송승훈이 e메일로 지은 집, 잔서완석루
이일훈.송승훈 지음, 신승은 그림, 진효숙 사진 / 서해문집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주 출판도시를 갔다 온 다음에 책을 읽었다.

의미상으로 멋지다. 를 외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들 성냥갑같은 네모일까

그렇게 생각했다. 가우디의 곡선형태를 좋아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기 나오는 집도 곡선보다는 직선형태에 가까운

겉에서 볼적에  기하학적인 모양새로 보인다.

책이 있는 곡선모양의 지붕이 그래서 오..멋진데 한다.

내가 갖고 있는 집에 대한 선입견이 아니라 어떤 형태에 대한 선입견이라고 해야할거 같았다.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면 조금은 낮게 보는 선입견이 있구나 했다.

 

집을 짓기 위해 책을 읽고 마음에 드는 건축가를 찾아간다.

그렇게 꼼꼼하게 집을 지는 마음을 갖고 시간을 갖고 돈을 값지게 쓰려한다.

아..이 대목에서부터 나는 옮기기 힘들구나. 털털함으로 방어하는 사람이라.^^

건축가가 외치는 '권유할 만한 의식의 불편함 말이에요'

편하게 편하게, 최선의 짧은 동선으로 , 자주 쓰는 것은 눈앞에. 등등

작은 집에서 어떻게 하면 넓게 살까 .하며 이리저리 가구도 옮겨보고 했다.

..공간이 거기서 거기인데. 그러다 보니 그냥 옆집처럼 흔한 집이었다.

내 집이 아니라. 어느집에 가도 비슷한 구조의 집.

 

의식의 불편함. 동선을 길게 잡으면서 살면서 바깥에서 돌아다니는 공간이 많도록

생각의 전환이 일어나도록 자극한다. 아..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구나

바람에 대해서. 빛에 대해서 .

창문에 대해서..여러가지 것들이

특히 집을 짓는 공간에서 내가 어떻게 살것인지 생각해보는 시간.

재료가 아닌 내 삶을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게 한 책이다.

 

덧붙임 : 두분의 글솜씨가 참 맑고 깨끗하다.

             읽으면서 내가 다른 이에게 보낸 문자가 달라진다

             그 동안 내가 쓰는 말이 많이 거칠어진거를 알았다.

             다음 책을 고르기가 잠시 어려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