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가 책을 읽는다
박영숙 지음 / 알마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오랫만이다.
전에 읽고 참 좋았다라고 생각했었다. 무엇이 좋았는지는 전혀 감도 오지 않는데도 주위 사람들한테 자주 권했던 책이다.
두번째 읽으면서..
난 두번 읽은 책이 거의 없다. 할수없이 읽을 일이 있어서..읽었다.
그리고 그 할수 없이 읽어야 했던 일이 반갑다.
이런 내용이었나?
제목과는 별로 무관한 내용들이었던 감이 있긴 했지만..
제목에 낚인다라는 말이 딱 맞다.
얼핏 보면 내 아이가 책을 잘 읽을수 있는 미끼들이 깔려있는 책처럼 보인다. 그래서 그 책으로 인해 아이가 얼마나 똑똑이가 되어가는지의 과정을 보여줄지 모른다는 그런 기대감.
깬다. 기대감을 깨고 내 아이만이 아니라 다른 아이들의 모습들을 내 가슴 한 구석에 얹어주고 있다.
그리고 묵직한 목소리로 한번 불러보고 싶다.
" 아짐마..도대체 어디서 떨어진 사람이오? "
화성과 금성에 복성이 있다면 그 안에 있는 복은 다 받을 사람같다.
너무 욕심인가? 그럼 절반이라두..^^
도서관에서 시작해서 공부방까지의 활약이 숨넘어가게 걸어다닌다.
무섭다는 건 내가 그것을 모르는 것이라는 말이다.
상황 무지 열악한 공부방에서 아이가 " 아이 짜증나네" 했었다.
두번째 수업시간에. 그날 잠도 안왔다. 어떻게 그럴수가..
지금은? " 짜증나냐. 너가 그렇게 말하니까 나도 짜증난다. 어쩌까"
라고 대꾸한다. 그 사이 나 많이 컸다
그러나 그 사이 아이들 더 많이 컸다.
늘상 고만고만하게 보지 말고 새롭고 보라고 한다
힘들고 어려운 아이들 보듬어주자고 한다.
교육은 뒤에서 이루어진다고 한다.
도서관은 살아있는 유기체라고 한다.
겁이 나지만 용감하게 한발자국씩 나아가는 이들이다.
진짜 어떻게 이렇게까지 용감할수 있을까?
그 많은 에너지는 어디서 나올까?
태어날때부터 에너자이저심장과 근육과 실핏줄들을 달고 나온걸까
대단하다라는 말밖에 떠오르지를 않는다.
그리고 잊어버리고 있던 눈물과 에너지를 얻어간다.
대단한 대한민국의 아짐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