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대의 차가운 손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1월
평점 :

처음 한강 작가의 『그대의 차가운 손』을 읽었을 때는 단순히 '손'에 대한 이미지에 관한 내용일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나는 『그대의 차가운 손』에서 중요한 건 '손'이 아니었다. 바로 '차가움' 이었다.
『그대의 차가운 손』은 작가인 '나'가 반신마비로 입원한 큰이모를 방문한 곳에서 우연히 한 전시회를 보게 된다. 그 전시회에서는 사람의 실제 육체를 딴 '라이프캐스팅' 석고 작품이 전시되어 있었다.
'라이프캐스팅' 또는 '데드마스크'로 살아 있는 사람에게 석고를 부어 데드마스크를 떠내는 이 작업에 신기해하던 '나'는 초대받은 연극에서 같은 작가의 라이프캐스팅 제품을 보게 된다. 뒷풀이에서 그 작가를 만나 묻는다.
왜 사람을 떠서 작품을 만들죠? 하지만 그는 대답 대신 나에게 모델이 되어 줄 수 있느냐는 요청 뿐이다. 그렇게 작은 해프닝으로 잊혀질 무렵 그 작가의 여동생이 뜬금없이 '나'에게 연락을 한다. 오빠가 실종되었어요. 오빠의 일기장을 줄 테니 오빠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구한다며 무작정 보내온 작가의 일기장. 호기심에 펼쳐본 일기장을 보며 또 다른 이야기가 시작된다.
먼저 손이라는 정의를 살펴봐야 한다. 『그대의 차가운 손』 에서 '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독자적으로 살아 있는 존재. '인체의 축소판' 생명의 대표적인 존재로 '손'이 대표된다.
그렇다면 다시 제목을 다시 봐야 한다.
손이 차갑다는 건 무엇을 뜻하는가?
'차가운 손'을 말하기 위해 장원형의 '손'의 모델 'L'의 이야기가 그려진다.
사람들은 L을 보면 고개를 젓는다. 100kg에 육박하는 거대한 체중에 작은 두상과 가녀린 팔의 부조화가 그녀를 더 기괴하게 만든다. 모든 남성들 그녀를 피한다. 심지어 그녀를 몰래 성폭행했던 엄마의 애인까지도.
남의 배척과 무시에 익숙해있던 L은 모델이 되어 달라는 장원형의 작품에 응한다. 이유는 하나다. 자신의 모습을 아름답다고 생각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그 이유 하나에서다. 자신의 손과 신체를 떠서 만든 껍집을 사랑하는 L. 하지만 이 사랑은 오래가지 못한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겨 다이어트를 하게 되고 끝없이 자신의 모습을 유지하고자 그녀는 점점 자신을 파괴해간다.
끊임없이 먹고 토하고 상처를 낸다. 그런 L 의 상태를 보며 장원형은 말한다.
"손이 너무 차구나."
차가워진다는 것. 그건 죽어간다는 의미였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생각하면서 떠오르는 질문은 한 가지였다.
무엇이 손을 차갑게 만드는가?
결국 무엇이 생명을 죽게 만드는가?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장원형이 또 다른 여자 E를 만나면서 알게 된다. 공간 인테리어이자 어여쁜 얼굴과 화려한 매너.
깔끔한 고층 아파트에 살고 있는 E의 외향은 화려하다. 모든 남성의 주목을 받는다. 하지만 그녀는 남성과 관계를 하면서도 음부가 강간당하는 여자처럼 메말라 있는 여자였다.
'메마른 여자'
'남의 취향에 사는 여자'
'성관계에서조차 기본적인 성욕의 욕구를 마음껏 누리지 못하는 여자'
그런 E를 보며 장원형은 유령같다고 느낀다. 화려하지만 기괴한 얼굴. 생명이 느껴지지 않는 얼굴이라고 느낀다.
왜 그녀는 껍데기는 화려하지만 메말라 있는 그녀. 자신만의 영역에 단단한 껍데기를 둘러싸고 있는 그녀는 자신의 상처가 드러나며 E의 본모습이 드러난다. 화려한 외모 속에, 깔끔한 매너 속에 숨겨져 있는 E의 본모습.
생사를 넘나드는 다이어트를 하며 자신을 상처 내는 L,
단단한 껍데기 속에서 자신을 꽁꽁 감추는 E.
두 여자의 모습은 영원하지 못한다. 아무리 실제 사람의 모습을 본뜬 들 실제 인물이 될 수 없다.
말 그대로 '껍데기'이자 '데드 마스크'일 뿐이다. 단 한 번 살짝 내리쳐도 산산조각나버리는 것.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자신을 죽이고 껍데기를 택한다. '데드 마스크'와 같은 가면을 씀으로 점점 손이 차가워지며 자신은 잠식된다.
E는 장원형에게 '껍데기'와 '껍질'의 차이를 아느냐고 묻는다.
단단하게 둘러싸고 있는 껍데기는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껍질은 완전히 엉겨 있어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껍데기를 분리하기보다 자신의 안에 완전히 엉겨 있는 껍질만을 제거하려고만 한다.
사과 껍질을 자꾸 벗기면 사과가 작아지듯, 자신의 본질인 껍질만을 벗겨 자신을 사라지게 하는 편을 택한다.
껍데기는 조개나 게, 거북이처럼 단단한 걸 말해요. 하지만 껍질은 내용물에 완전히 엉겨 있죠. 사과나 배, 고양이와 개, 그리고 사람처럼. 그녀의 은밀한 시선이 탁자에 놓인 희 석고 얼굴에 머물러 있었다. 그때 나는 어렴풋이 깨달았다. 저 딱딱한 물건은 껍데기였으며, 껍질은 그녀의 얼굴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는 것을.
안타깝게도 소설 속에는 L과 E 외에도 많은 이들의 껍데기에 둘러싸여 있다.
불행하지만 하회탈을 부착한 듯한 미소를 품고 있는 장원형의 어머니, 군대 시절 절단된 왼쪽 손가락을 가진 외삼촌.
자신의 껍질을 자꾸 상하게 한 L 의 손은 차가워진다. 그리고 예전의 아름다운 손으로는 완전히 돌아가지 못한다.
반면 E가 자신의 껍질을 장원형에게 드러내며 그 상처를 장원형이 감싸주며 그들이 다시 관계를 가질 때 장원형은 말한다.
"따뜻해. 따뜻한 손이야."
따뜻한 손.
다시 생명을 되찾는 손이다. 자신의 껍질을 받아들임으로 그녀의 생명은 온기를 되찾는다.
그리고 이 소설은 묻는다.
당신의 껍데기는 무엇입니까?
혹시 당신의 본질인 껍질은 자꾸 벗겨 당신을 해치고 있지 않나요?
마지막으로 소설의 말미 두 사람의 실종으로 마무리되며 또 하나의 미스터리를 남긴다.
하지만 나는 한강 작가의 또 다른 소설 <바람이 분다, 가라>에서처럼 이 실종이 죽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두 사람이 껍데기 없이 진짜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한 결단이라고 믿는다.
따뜻한 손을 지키기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