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0 그리고 30 1
강모림 지음 / 시공사(만화) / 1998년 10월
평점 :
절판


플롯의 개연성, 캐릭터의 연속성, 서로 다른 사건들의 분할 배치 등.. 시다들 시켜서 공장 식으로 찍어내는 대본소 만화보다 더 엉터리인 걸 보게 될 줄이야. 부러 초현실을 노린 것처럼 착각하면서 볼 수도 없다. 연재를 진행할수록 그림체가 좋아지는 건 보인다. 다른 별점들은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줘 2023-07-09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권 전질을 헌책으로 샀는데 양심 상 되팔 수도 없다. 이런 물건은 폐지로 내놓는 게 옳다. 1998년 세기말에 출판된 만화. 82년생이 10대 꼬마로 나온다.
 
전원 옥쇄하라!
미즈키 시게루 지음, 김진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쳐 돌아가는 도가니탕 속에서 혼자 멀쩡하게 익어갈 수는 없다. 불가에서는 그걸 ‘공업‘(共業)이라고 한다. 젊은 시절 동남아시아 전선에서 왼팔을 잃고 호구지책으로 만화일을 시작한 작가는 팔십이 넘어서도 어제일처럼 생생한가 보다. 광기 앞에서 차단된, 군더더기 없고 냉정한 유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브리나
닉 드르나소 지음, 박산호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적이지만 작은 차이에서 많은 걸 드러내는 예민한 걸작. 타인의 혹독한 불행이 미디어와 소문을 통해 어떻게 스캔들이 되고 확대재생산되는지, 불행의 당사자조차 다른 불행한 이를 오해한다. 고통은 기본값, 근원적인 검은구멍으로부터 솟아나온 굴레같은 감정에 눈앞이 가려 가상의 적을 증오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줘 2023-06-18 1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설작품에서 수상자를 뽑는 전통의 맨부커 상 후보에 오른 최초의 만화책이라는데 그정도의 값어치를 한다.
 
환괴지대
이토 준지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토 준지는 확실히 감을 잃었다. 그래도 클래식 반열에 오를만한 작품들은 그전에 다 만들어놨으니까.. 작화 수준은 더 정치해지긴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켄슈타인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4
메리 셸리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갓 스무 살 애기가 쓴, 이야기 얼개도 엉성하고 픽션 속에서 저자 인생의 날것 건더기까지 대강 붙잡히는, 과학소설이라기 보다는 18세기풍 '도플갱어 고딕 판타지'였다. (19세기 초 소설임.)


저자가 공감을 좋아하고 페이지의 어느 구석을 펼쳐도 온통 자기 감정이라는 내적 만화경의 다채로운 변화에만 집중해 있는데, 냉탕/온탕처럼 억울감과 해방 사이를 주기적으로 오고가며 '심정sentiment'을 과장하는 루쏘주의의 사상적 홍위병 같았다. 운명을 개척하는 모험가 타입의 남자 주인공이 상냥한 배려와, 상심과, 우려의 마음 따위를 편지글을 통해 시종일관 어찌나 조잘대던지.. 

후기 낭만주의가 '인간성 humanity'의 중심에 주인공인 자기soi를 단호하게 세워놓고, 그런 자기와 대항하는, 의식적으로는 눈치 못채지만 또 다른 자기일 뿐인 '그림자'와 싸우고 있는 게 보였다. 가령 페르소나인 배트맨에게 감정 이입하지만 다른 한편 그이의 또 다른 자아인 조커를 반대편에 세워놓은 다음, 공개적인 장소에서 도덕적 응징으로 지워버리기 전까지 분탕 짓거리를 다 하게 두면서 지나가는 축제처럼 난장을 즐기듯이 말이다.

이 소설은 자기 위치를 자각한 의식체의 작품이라기보다는 바다 미역 같은 혼몽 속을 헤매며 주변 기운을 흡수하는 개인과 시대의 '증상'으로 더 읽혔다. 글체에서 엿보이는 작가가 착하게는 보인다. 막연한 공부 욕심이 많고, 남자로 태어났으면 이런 저런 공부를 다 해봤을 텐데.. 따위의 상상도 꽤 해봤던 거 같다. 윌리엄 고드윈이라는 살롱 아나키스트가 구체적으론 누군지 모르겠지만 작자는 서재에 있던 지 아빠를 정말 좋아했던 것으로 보여, 이게 작가 전기가 아닌 가공된 작품에서 감지가 될 만큼 적나라한 부분이 있다. 


셸리가 후일에 작품 개정을 하는데 이 번역본은 초판을 토대로 옮겼다. 번역 문장도 깔끔하고 잘 읽힌다. 과대평가된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