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의 바다에 빠져라 (특강DVD 포함) 인문의 바다 시리즈 2
최진기 지음 / 스마트북스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옛 성인들의 가르침은 항상 옳고 하나의 뿌리에서 태어난 사상들은 발전하며 진화해간다. 
 
다만 시대적 배경과 정치 상황에 따라
상대적인 이론이 발현되며 쓰임이 달라질뿐... 
 
한비자를 무덤에서 다시 불러내고 싶은 기업의 욕망과, 인본의 뿌리위에 애민사상의 정치가 그리운 곳에 공맹의 사상을 불러내 듯 
 
그들은 그렇게 그 자리에서 우리의 시대적 현실속의 쓰임을 기다린다.  
 
 
전국시대 말엽의 공자라면 어떠한 가르침을 주었을지.... 한비자의 후대에 태어났더라면 어떠한 이론적 기틀을 세웠을지 이것 또한 만약 클레오 파트라의 코가 조금 낮았더라면 이라는 역사의 우연과 가정을 하게 되는 바이다. 
 
서양철학에 가려진 동양철학적 사고를 이해하는 좋은 입문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진기의 끝내주는 전쟁사 특강 2 : 세계 편 최진기의 끝내주는 전쟁사 특강 2
최진기 지음 / 휴먼큐브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서양 역사의 퍼즐 조각을 전쟁으로 조금씩 맞춰가기 
 
전투와 전술을 통한 전쟁의 역사가 인류의 역사에 어떠한 변화와 획을 이끌었는지 보여줌 
 
기원전 그리스 페르시아 전쟁부터 1차세계 대전까지 방대한 역사를 책임지기엔 부족하여 시리즈로 기획되어야 할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후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편 (반양장)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 
 
강령과 선언의 모더니즘 이후 전후 현대미술의 흐름을 비평가들의 형식을 통해 구성한 책 
 
그린버그의 형식주의적 비평을 중심으로 포스트 모더니즘 소개한다. 
 
잭슨폴록의 유산을 기점으로 크게

추상표현주의란 형식적 측면과
액션페인팅이란 연극성의 측면으로 
 
발전해나가는 예술양식 
 
 
토할만큼 어렵다. 고전예술의 난이도보다 적어도 열배는 더 어렵다.  
 
리오타르, 드 기보르, 발터 벤야민, 보드리야르, 데리다, 들뢰즈 등 철학적 깊이없이는 절대 읽힐 수 없는 책 

레디메이드펼치기 : 예술작품화 된 일상용품에 붙여진 용어로, 프랑스의 미술가 마르셀 뒤샹이 처음 만들어낸 미적 개념이다. 그의 첫번째 작품인 〈자전거 바퀴 Bicycle Wheel〉(1913)는 나무의자 위에 바퀴를 올려놓은 것인데, 이로써 그는 예술 작품에 대한 과대한 의미부여에 항거했다. 그는 대량생산된 흔해빠진 물건을 선택함으로써 예술 대상은 독특해야 한다는 관념을 깨려고 했고, 이러한 반미학적 행위로 인해 당대의 주도적인 다다이스트가 되었다. 로버트 라우셴버그, 앤디 워홀, 재스퍼 존스 등이 이 표현기법을 받아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모더니즘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아방가르드 시대의 예술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미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시대중 하나였던  
 
20세기초반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역사 
 
저마다 선언과 강령을 발표하며 정당운동을 방불케하는 정치적 수사를 구사한 예술가들 
 
한수 제들마이어의 현대예술의 네가지 특징인
- 순수성의 추구 : 순수추상
- 근원을 향한 열망 : 표현주의적 경향
- 광기와 부조리에 대한 관심 : 초현실주의
- 기술적 구축의 의지 : 구축주의, 데스테일, 바우하우스 등 
 
위의 분류와 유사하게 기술되어진 책 
 
 
세잔에서 출발하여 
 
색체의 해방을 이끈 마티스의 야수주의
형태의 해방을 이끈 피카소와 브라크의
입체주의 
 
* 제유와 환유로서의 브라크와
  은유로서의 피카소를 시작으로... 
 
* 구상과 재현을 포기한 순수 회화의 길로 출발 
 
* 절대주의에 도달하여 재현의 종말을 선언 
 
* 공감각의 총체예술을 선언한 미래주의  
 
* 이성에 저항하는 우연의 예술의 다다이즘 
 
* 형식이 없던 다다에 현실과 몽상이 중첩된 앙드레 브루통의 초현실주의  
 
* 예술과 삶의 통합을 추구한 러시아 구축주의 
 
* 신조형주의의 데스테일 
 
* 산업디자인을 확립한 바우하우스까지 
 
시대속에 중첩되며 **주의라는 유파와 함께 어지러이 전개된다. 
 
올랭드 로그리드는 예술가의 힘이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개혁의 가장 직접적이고 신속헌 길이라며, 예술가는 대중에 앞서 미지의 땅에 들어가는 개척자이며 그 길을 따라 사회는 안전허게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기고했다.  
 
이에 동감하는 바이며, 시대정신과 철학적 소명위해 전진했던 예술가들의 업적을 찬탄하는 바이다.  
 
말레비치의 검은 사각형과 몬드리안의 추상작의 소더비 경매가격을 보며 "나도 예술이나 할껄"하며 비웃음을 흘리던 1년전의 나를 교정해 주는 책 
 
현대 예술은 철학이다. 그 철학으로 세계 지식인들에게 지적 충격을 던진 모더니즘의 세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미학의 눈으로 바라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플로티노스 : 중세 미학의 이론을 제공한 신
                 플라톤주의자
- 초감각적인 빛을 감각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
  색과 빛의 황홀경으로 신을 찬양하라!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 고대 그리스 취향으로 돌아간 르네상스의
  미감 
 
에르빈 파노프스키
- 객관적 비례와 제작적 비례의 비례론
- 상징형식으로서의 르네상스의 선원근법
- 러시아 성상의 역원근 투시도법을 읽는 방법
-도상학에서 도산해석학 즉 기호와 상징의
 코드로 구성된 회화 독해방법 
 
막스 드보르작 : 정신사로의 예술사
- 마니에리스모(매너리즘)의 거장 엘 그레코의
  정신적 분위기 묘사 
 
하인리히 뵐플린 : 시 형식으로서 예술사
- 친퀘첸토 르네상스 시대에서 세이첸토 바로크
  시대의 비교 
 
로제 드 필 : 예술사를 바꾼 비평가의 시대
- 프랑스의 바로크시대를 연 아마추어 비평가 
 
요아킴 빙켈만
- 신고전주의를 확립한 독일 비평가 
 
발터 프리들랜더
- 친퀘첸토의 르네상스와 세이첸토의 바로크 대
  신고전주의의 다비드와 낭만주의의
  들라크루아의 평행이론 
 
한스 제들마이어 : 자기파괴의 길
-  서구예술에 생명을 불어넣었던 중심을 잃고
  '해체'와 '퇴폐'로 향하는 현대예술 
 
 
* 진중권 교수는 확실한 천재며 역사라는 선형적 시간에 철학, 미학을 통섭하는 최고의 미학자임을 증명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