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터 - 뼈와 기계의 전쟁 본 트릴로지 Bone Trilogy 2
피아더르 오 길린 지음, 이원경 옮김 / 까멜레옹(비룡소)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은 전작인 인피리어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 두 작품은 같은 주인공이 활약하는 다른 이야기가 아니라 연속된 이야기란 뜻입니다. 전작인 인피리어를 읽지 않은 분들께는 아래 서평이 스포일러가 될 수 있습니다.)

 

전작인 인피리어가 먼 미래의 지상에서 벌어지는 인간과 괴물의 대결을 다뤘다면, ‘디저터는 그 지상을 지배하는 하늘위의 공간 루프에서 벌어지는 선악의 대결을 다룹니다. ‘루프는 미래에 관해 상상하는 모든 것이 이뤄지는 SF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언제든 무엇이든 완벽한 가상체험이 가능하고, 텔레파시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벽이든 가구든 자신의 의지에 의해 만들고 사라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곳입니다. 하지만 발달된 과학은 만인을 위한 봉사대신 특권층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고, 거기에 인간의 탐욕이 더해져 돌이킬 수 없는 위기를 초래한 것이 루프의 현실입니다.

 

여주인공인 인드라니는 원래 루프의 사람이었지만 지상으로 내쳐졌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루프는 인드라니만이 해결할 수 있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자 다시 그녀를 불러올렸고, 인드라니는 조금도 협조할 생각 없이 그들에게서 도망치기로 결심합니다. 지상의 인간이자 연인인 스톱마우스와 함께 도주하던 인드라니는 애초 루프가 자신을 소환할 수밖에 없었던 곤란한 상황이 무엇인지 알게 되곤 경악합니다. 인드라니와 스톱마우스는 모든 것을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해 루프의 사악한 지도자()과 목숨을 건 한 판 대결을 펼칩니다.

 

인피리어와 비교하면 이야기의 스케일은 훨씬 커졌고, 암울한 미래와 디스토피아에 관한 철학적 메시지 역시 좀더 구체적으로 그려졌습니다. 하지만 재미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아쉬운 점이 많이 남았습니다. 사건과 액션보다는 주제와 메시지에 좀더 주력했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인피리어디저터를 한 권의 작품으로 생각하면 이런 구성도 충분히 납득이 가긴 합니다. 디스토피아를 그리면서 그저 흥미 위주의 사건과 액션만으로 마무리 할 수는 없는 일이고, 그렇다면 이 작품만의 특징과 개성을 드러내는 주제와 메시지 역시 적잖은 분량과 서사를 통해 독자에게 전달돼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주일 사이에 지상과 하늘을 무대로 한 두 디스토피아 이야기를 읽고 보니, 새삼 주위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고맙게 느껴집니다. 다만, 아주 오래 전 황당하게만 보였던 스크린과 TV SF 설정들이 지금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실이자 일상이 돼버린 걸 생각해보면 두 디스토피아의 이야기 역시 머잖아 우리의 현실이 될 수도 있겠다는, 도무지 상상하고 싶지 않은 암울함이 문득 느껴진 것도 사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