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
아이사카 토마 지음, 이소담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소(獨蘇)전쟁은 2차 대전 중이던 1941~1945년에 벌어진 독일과 소련의 전쟁으로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전쟁이자 가장 참혹한 전쟁으로 기록돼있습니다. 4년 가까운 전쟁 기간 동안 독일은 900만 명, 소련은 2,00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는 이 독소전쟁을 배경으로 소련의 여성 저격수 세라피마와 그녀의 동료들이 겪은 지옥도와도 같은 참상을 그린 반전소설이자 여성소설입니다.

 

주민 40여 명의 작은 마을 이바노프스카야가 독일군에 의해 몰살당합니다. 눈앞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목도한 18살 소녀 세라피마는 저격병 훈련교관 이리나에 의해 구조된 뒤 저격병 훈련을 받게 됩니다. 세라피마는 침략자인 독일에 대한 복수는 물론 어머니를 죽인 독일 저격수 한스 예거, 자신을 구해줬지만 어머니의 시신을 모욕하고 마을을 불태운 교관 이리나를 죽이겠다는 일념으로 훈련에 몰두합니다. 고된 훈련 끝에 저격병여단 제39독립소대가 된 세라피마와 동료들은 스탈린그라드 탈환 작전을 시작으로 죽음이 지천에 널린 전쟁에 투입됩니다.

 

나는 이리나를 따라 살인자가 되었다. 나는 살아남기 위해 싸우는 길을 선택했다. 나는 살아가는 의미를 얻기 위해 복수를 갈망했다. 전부 틀렸다. 죽이기를 거절하고 살아가는 삶, 그쪽을 선택하는 길이 눈앞에 있었다.” (p509)

 

외교관을 꿈꿨지만 저격병이자 살인자가 되고만 세라피마의 이야기는 전쟁의 비극을 다룬 그 어떤 픽션보다도 묵직하고 가슴 아프게 읽힙니다. 눈앞에서 어머니를 잃은 뒤 동료를 지키고 여성을 지키고 복수를 완수하기 위해 피도 눈물도 없는 저격병이 된 세라피마는 숱한 위기를 겪으면서도 혁혁한 전과를 올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감당하기 어려운 혼란을 겪습니다. 인간을 악마로 만드는 전쟁의 화마 속에서 언제부터인가 웃으면서 적병을 쏘고, 죽인 적의 숫자를 자랑하듯 떠벌리며 살인을 즐기는 괴물이 돼버렸음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괴물이 아니면 이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에 세라피마의 혼란은 더욱 더 극심해집니다.

 

또한 저격 말고는 어떠한 능력도 없는데다 전쟁이 끝나도 돌아갈 마을도 없고, 무엇을 해야 할지도 모르겠는 세라피마는 애초 자신이 왜 저격병이 됐는지에 대한 깊은 회의와 절망에 빠진 채 허우적댑니다. 세라피마의 혼란과 회의와 절망은 너무나도 생생한 전쟁 장면 묘사 덕분에 마치 독자 자신이 겪는 것처럼 절절하게 피부에 와닿습니다. 새삼 전쟁의 비극이란 것이 얼마나 깊고 지독한 것인지 깨닫게 되면서 말입니다.

 

전쟁의 화마에 휘말려 삶이 붕괴된 한 저격병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는 여성소설로서의 미덕도 갖추고 있습니다. 작가 스스로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2015년 노벨문학상 수상)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500명 이상의 여성 병사들의 증언을 읽고 그것을 모티브로 삼았다.”라고 밝힌 것처럼, 이 작품에는 여성만이 감내해야 하는 전쟁의 참극이 다양하게 묘사돼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여성을 약탈과 무시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전쟁의 악마성은 80여 년 전에는 훨씬 더 날것 같은 잔인함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저항 한 번 못해보고 짓밟히는 사람부터 살아남기 위해 적군의 연인이 된 사람에 이르기까지 작가는 세라피마의 눈을 통해 전쟁이 여성에게 가한 갖가지 비극을 상세하게 묘사합니다. 물론 마녀부대로 불릴 정도로 무시무시한 활약을 펼친 세라피마와 동료들 역시 여성이기에 겪을 수밖에 없는 참혹한 상황에 수시로 내몰리곤 합니다. 그래선지 여성은 약자가 아니라 스스로 싸울 수 있는 자임을 증명하기 위해 저격병이 됐다.”고 당당하게 밝힌 세라피마의 동료 샤를로타의 일성은 지금도 깊은 여운으로 남아있습니다.

 

인간을 악마로 만드는 전쟁의 참상, 그 안에서 똑같이 적군을 죽이고도 유독 살인자소리를 들어야만 하는 저격수의 운명, 그리고 여성으로서 지옥과도 같은 전쟁의 한복판을 가로질러야만 했던 한 소녀의 비극. ‘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는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전쟁의 또 다른 민낯을 소름 끼칠 정도로 생생하게 그린 작품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과거의 일만은 절대 아닙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크고 작은 전쟁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에 그려진 비극은 그 전쟁들 속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작은 메아리에 불과하겠지만 소녀 동지여 적을 쏴라가 전하는 반전과 평화의 메시지가 조금이라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기를 바랄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