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변의 창 - 피의 노래
박성신 지음 / 북오션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성신은 현대와 1960~70년대를 배경으로 가족의 비극과 시대의 문제를 정교한 미스터리로 풀어낸 3의 남자’(2017)로 처음 알게 됐는데, 재미와 완성도를 모두 갖춘 작품이라 후속작 소식을 기다렸지만 두 권의 앤솔로지 외엔 신작이 나오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았던 작가입니다. 5년 만에 나온 새 작품이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이라 다소 의외였지만, “실존인물 추남 남학을 소재로 한 충격적인 성형살인사건이라는 카피와 함께 피해자들의 얼굴을 잔혹하게 난도질한 연쇄살인사건을 다룬다고 해서 나름 기대감을 갖게 됐습니다.

기록에 따르면 남학은 난쟁이의 몸, 사자의 코, 늙은 양의 수염, 미친개의 눈, 닭발 같은 손을 지닌남자입니다. 하지만 그의 노래는 아름답고 영롱했으며, 여자 목소리까지 잘 내는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고 합니다. 작가는 이 남학이란 인물의 추한 외모와 아름다운 목소리에 착안하여 우정과 광기, 그리고 잔혹한 복수극의 주인공을 창조해냈습니다.

 

근친상간의 결과로 태어난 아기의 외모는 인간이라 할 수 없을 만큼 끔찍했습니다. 그저 괴물아이라 불리며 노파와 사냥꾼에게 이용당하다가 동굴에 버려진 아이는 11살 때 세상의 빛을 얻습니다. 또래인 양반 이수가 손을 내밀었고, 자신의 집에 살게 하며 황선이란 이름까지 지어주곤 사람에겐 귀천이 없으며, 우린 벗이다.”란 말과 함께 세상을 가르쳐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몇 년 후 이수는 한양으로 떠났고, 이후 황선은 또다시 괴물의 처지로 돌아가고 맙니다. 우여곡절 끝에 외모를 바꾸고 이름까지 남학으로 바꾼 황선은 한양에 도착해 이수를 만나지만 그는 자신을 못 알아보는 것은 물론 황선에 대해 아무 것도 기억하지 못합니다. 그날부터 남학은 자신의 특별한 능력을 이용하여 이수의 모든 것을 파멸시키기로 결심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3의 남자때문에 생긴 기대감이 너무 컸던 탓인지 300여 페이지에 불과한 분량을 읽는 동안 여러 번 한숨이 나올 정도로 실망스러운 작품이었습니다. 이야기 자체부터 질릴 만큼 봐온 퓨전 역사물의 플롯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문장은 소설다운 깊이나 진중함은 찾아볼 수 없었으며 시나리오의 지문마냥 불면 휙 날아갈 듯 한없이 가벼웠습니다. , 경어와 평어가 한 문장에 뒤섞이거나 줄 바꿈이 제대로 안 이뤄지기도 하고, 한참 전 날아간 비둘기가 갑자기 되돌아와 눈앞에서 피를 토하기도 하고, 능동태 자리에 수동태가 들어오는 등 여기저기서 디테일의 문제가 목격됐는데, 수두룩한 오타를 비롯한 무성의한 편집까지 가세한 탓에 실은 중간에 포기할 마음이 들었던 게 사실입니다. 다른 건 이해한다 쳐도 두 주인공의 캐릭터목표3의 남자에서 맛봤던 박성신의 필력과는 너무나도 거리가 멀었습니다.

 

우선 이야기의 핵심인 남학의 복수 자체가 전혀 공감을 얻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이수의 모든 걸 빼앗고 파멸시키겠다는 남학의 심정이 공감을 얻으려면 그만큼 이수에게 얻은 상처가 깊고 커야 되는데 실제론 별 일 아니듯 대수롭지 않게 그려질 뿐입니다. 뒤늦게 남학을 갖고 놀았던어린 시절 이수의 본심이 설명되긴 하지만 그 설명이 초반에 나왔더라도 남학의 복수심을 이해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을 거란 생각입니다.

또 하나는 과하게 설정된 남학의 초능력입니다. 그는 세상의 모든 소리를 흉내 낼 수 있는 것은 물론 목소리만으로 타인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는데다 아주 먼 곳의 소리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사냥꾼과 노승에게 배운 해체술과 의학지식 덕분에 뛰어난 외과의사의 능력까지 갖췄습니다. 판타지라고 해도 좀처럼 이입하기 어려울 정도로 과했다는 생각입니다.

마지막으로 이수를 향한 남학의 복수극이 뜬금없이 반역도당과 연결되는 설정인데, 안 그래도 설득력이 전혀 없던 그의 복수심이 반역으로까지 확장되는 대목은 결국 반역 외엔 달리 해법이 없는 퓨전사극의 폐해를 그대로 모방한 듯 보였습니다. 그나마 반역 시퀀스가 재미있었다면 몰라도, 막판 관군과 반역군의 대결 장면은 좀 심하게 말하면 거의 메모 수준이었습니다.

 

기대가 컸던 탓에 실망이 컸던 것도 사실이지만, 최대한 객관적으로 봐도 살변의 창은 주인공의 성격과 목표, 사건의 전개, 클라이맥스와 엔딩, 문장력과 편집 모두 부족함이 많아 보인 작품입니다. 부디 다음 작품에서는 3의 남자에서 만끽했던 박성신의 매력을 다시 한 번 맛볼 수 있기를 기대할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