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버린 날 버티고 시리즈
하비에르 카스티요 지음, 김유경 옮김 / 오픈하우스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리스마스이브 한낮, 보스턴 시내에 젊은 여자의 잘린 머리를 든 벌거벗은 남자가 나타납니다. 체포된 이후 경찰은 물론 정신의학센터 원장 젠킨스에게도 단 한마디도 입을 열지 않던 그는 조사관으로 투입된 FBI 프로파일러 스텔라 하이든이 나타나자 오직 그녀와만 이야기하겠다며 입을 엽니다. 그런데 같은 시간, 또 한 개의 젊은 여자의 잘린 머리가 발견되면서 젠킨스 원장과 스텔라는 큰 충격에 빠집니다. 두 사람의 추궁에도 불구하고 남자는 미소만 지으며 스텔라와의 1:1 면담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그는 스텔라에게 자신의 이름이 제이컵이며, 이 사건은 17년 전 솔트레이크에서 벌어진 기괴한 사건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제목이나 간략한 줄거리만 봐도 평범한 미스터리나 스릴러가 아니라는 걸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세 개의 시간적 배경 17년 전인 1996년의 솔트레이크, 2013년 크리스마스이브 직전과 직후 속에 여러 명의 화자가 등장하는데다 사건 역시 꽤 복잡하게 꼬여 있고, 사방팔방에 스포일러 지뢰가 묻혀있어서 큰 얼개를 소개하는 것조차 난감한 일입니다.

 

17년 전 솔트레이크에서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일들이 연이어 벌어졌습니다. 가족휴가를 왔다가 자기 이름과 기괴한 별이 그려진 쪽지를 발견한 뒤 치명적인 위기에 빠진 소녀, 그 소녀와 서로 한눈에 반했지만 예상치 못한 사건에 휘말리고 만 소년, 딸에게 닥친 비극 때문에 자책을 거듭하다가 붕괴하고만 소녀의 가족, 그리고 출산 이틀 만에 흔적도 없이 아내가 사라지자 패닉에 빠졌던 한 남자.

이들은 17년이 지난 2013, 다시금 과거의 악몽과 정면으로 마주치게 됩니다. 그중에는 그 긴 시간을 오로지 가느다란 희망 하나만으로 버티며 폐인이 되다시피 한 사람도 있고, 가까스로 그 악몽에서 벗어난 듯 했지만 더더욱 큰 참극에 휘말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을 한 자리에 모이게 만든 건 바로 보스턴 시내에 젊은 여자의 잘린 머리를 들고 나타난 의문의 남자 제이컵입니다.

 

사건 자체도 기괴한데다 체포된 남자 제이컵은 시종 정상인과는 거리가 먼 기이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서 이야기의 흐름이 단순한 범인 찾기가 아니라는 것은 금세 눈치 챌 수 있습니다. 뭔가 형이상학적이거나 정신적 문제, 혹은 호러나 오컬트의 냄새가 폴폴 풍기긴 하지만 어쨌든 초반에는 끔찍한 살인사건의 미스터리를 푸는 쪽으로 독자의 눈길을 끕니다.

그러다가 중반부쯤 이 작품을 특징짓는 화두인 운명이 본격적으로 거론되면서 비로소 장르적 특징이 확연히 드러납니다. ‘운명이란 건 팩트 중심의 살인미스터리와는 거리가 한참 멀고, 공포와 불안감을 앞세운 심리스릴러와는 그나마 좀 겹치는 부분이 있긴 해도 역시 잘 어울리는 화두는 아닙니다. 물론 이 작품 곳곳에 살인미스터리와 심리스릴러가 뒤섞여있긴 하지만 운명이 주된 화두인 탓에 아무래도 서스펜스, 그것도 특정 영역의 서스펜스로 읽히기 시작했는데, 바로 이 대목에서 독자에 따라 호불호가 꽤 갈릴 거란 생각입니다.

 

제 경우엔, 사건 자체도 흥미롭고 캐릭터도 매력적이지만, 중반부쯤 진실의 일부 누가, 왜 젊은 여자의 머리를 잘랐는가? - 가 공개될 무렵 한 인물이 내뱉은 그런 말도 안 되는 소리라는 대사가 100% 공감이 될 정도로 개인적으론 그 지점부터 이야기에 몰입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뭐랄까, 어느 정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 작품의 장르가 확연해지자 마음의 벽 같은 게 생겼다고 할까요? 그런 탓에 그 이후 작가가 조금씩 풀어놓는 진실의 조각들이나 등장인물들의 언행들이 낯설거나 억지처럼 여겨질 수밖에 없었고, 그 불편함은 다 읽은 뒤에도 좀처럼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라서 이런 스타일의 이야기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적잖이 열광할 여지가 충분한 것 역시 사실이기도 합니다.

 

출판사 소개글을 보면 이 작품이 꽤 큰 성공을 거뒀고 후속작도 나왔다고 하는데, 막판 에필로그에서 작가가 던진 떡밥이 후속작을 위한 설정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저와는 궁합이 잘 안 맞는 작가라서 찾아 읽을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심리스릴러나 서스펜스를 좋아하는 독자에겐 신선하고 특별한 재미를 줄 수도 있는 작품이니 다른 독자들의 서평도 꼭 참고해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