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관들
조완선 지음 / 다산책방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화로운 말년을 보내던 일제강점기 고등계 고문 경찰이 그가 과거 애용하던 고문 방법에 의해 참혹하게 살해된다. 이어 부정부패와 비리를 일삼고도 교묘하게 법의 심판을 피해가며 호의호식하던 정치인, 기업인, 공직자들이 연이어 심판과 집행의 대상이 된다. 분노할 뿐 행동으로 옮길 수 없었던 악인 처단이라는 과제를 국민의 대리인으로서 집행해 나가는 집행관들이 등장한 것이다. 그들의 다음 집행일지에는 과연 누구의 이름이 오르게 될 것인가.

(출판사의 소개글을 일부 수정, 인용했습니다.)

 

조선시대의 암행어사가 탐관오리를 응징하는 장면의 쾌감은 오늘날에도 크게 다르지 않아서 부정부패한 권력자들이 법의 심판을 받는 뉴스 화면은 몇 번을 봐도 사이다 같은 느낌을 주곤 합니다. 하지만 역시 예나 지금이나 심판대에 서는 죄인들은 실제 벌을 받아야 하는 자들 가운데 새 발의 피 만큼밖에 안 되는 것 역시 사실입니다. 더구나 그렇게 걸리더라도 무혐의, 집행유예, 특별사면 등 그들에겐 빠져나갈 수 있는 온갖 방법이 남아 있고, 그런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일반인들은 그저 탄식 외엔 할 일이 없기 마련이며, 그마저도 시간이 흐르거나 더 큰 뉴스가 터지면 금세 잊게 되는 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집행관들에 등장하는 10여 명의 집행관들은 그런 부정부패한 권력자들을 직접 심판하고 응징하는 역할을 자처한 인물들입니다. 그들은 각각 정보, 역사, 법률, 수사, 언론 분야의 전문가들인데, 하나 같이 부당하고 부패한 권력에게 극렬한 고통과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받았거나 그들에게 맞서다가 삶 자체가 붕괴돼버린 과거를 지니고 있습니다. 반면, 집행관들의 타깃은 부와 권력으로 타인의 삶을 짓밟고 자신의 탐욕만을 채웠으면서도 기름장어처럼 법망을 유유히 벗어났던 일명 용서할 수 없는 쓰레기들입니다.

피살자의 정체나 살해방법 때문에 전국이 떠들썩해진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검찰 입장에선 정체불명의 살인범들이 사회적으로 적잖은 호응과 찬사까지 받는 일이 여간 곤혹스러운 일이 아닙니다.

 

난 세상을 바꾸려는 게 아니야. 불타는 정의감 때문도 아니지. 굳이 말하자면... 우리 같은 사람도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어. 분노를 실천으로 옮기는 사람들...” (p161)

 

작가는 집행관들의 리더의 입을 통해 여러 차례 동기를 설명합니다. , 어설픈 정의감이나 영웅심이 아니라 오히려 단순한 이유, 즉 분노를 실천에 옮기겠다는 의지가 집행관들을 움직이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작가가 집행관들의 동기를 엄청난 대의나 정의로 포장했더라면 오히려 현실감 없는 판타지에 머물렀을 텐데, 아마도 그런 이유 때문에 동어반복처럼 순수한 분노와 실천의지를 거듭 강조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쉽고 선명한 이야기 덕분에 페이지는 술술 잘 넘어가지만, 미스터리 혹은 스릴러로서의 완성도는 기대만큼 탄탄하진 않았습니다. 조직의 운용이나 전략, 신입 집행관의 포섭 등 여러 면에서 집행관들의 행동은 허술해 보였고, 지지부진한 수사로 비난받던 검찰이 결정적인 단서를 포착하고 용의자들을 특정하는 과정 역시 다소 안이하고 편리하게 설정돼있습니다.

뒤로 갈수록 이야기의 힘은 물론 집행관들의 매력까지 떨어뜨린 더 큰 이유는 더 이상 공분하기 어려운 집행대상자들의 고만고만한 캐릭터입니다. 물론 집행대상자 모두 정말 나쁜 놈들이긴 하지만 첫 타깃이었던 일제강점기 고등계 경찰처럼 보편적인 분노를 자아내지도 못했고 더 나쁜 놈들이 얼마든지 있을 텐데.”라는 아쉬움까지 들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이 대목에서 그렉 허위츠의 살인위원회가 떠올랐는데 이 작품의 주인공 팀은 자신의 7살 딸을 살해하고도 법망을 피해나간 범인을 응징하기 위해 살인위원회의 멤버가 되기로 결심하고, 이후 위원회의 심판에 의해 유죄로 단정된 자들을 처단하는 일을 맡습니다. , ‘살인위원회는 개인적인 범죄지만 도저히 용서받을 수 없는 짓을 저지른 흉악범들을 집행대상으로 삼은 덕분에 응원하는 마음과 함께 팽팽한 긴장감을 만끽했지만, ‘집행관들은 어느 지점부터인가 그들만의 집행에 매몰되어 독자의 공분을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현실에선 이뤄질 수 없는 정의 실현을 졸필(拙筆)로나마 구현하고 싶은 게 솔직한 심정이다. 아울러 암세포 같은 인간쓰레기들을 철저하게 응징하고 싶은 바람도 부인할 수 없다.”작가의 말은 충분히 공감도 되고 픽션으로서의 매력도 한껏 지닌 일성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론 분노와 의욕이 너무 앞선 나머지 주장만 넘쳐나고 스토리는 허약해진 것으로 보입니다. 탄탄한 문장과 필력을 보면 작가의 다른 작품들이나 차기작이 기대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집행관들이 조금만 더 현실적이었더라면, 조금만 더 독자의 공분을 부추길 수 있는 설정이었더라면, 조금만 더 미스터리와 스릴러 코드를 정교하게 다듬었더라면, 이란 아쉬움이 드는 건 비단 저만의 경험은 아닐 거란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