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살고 싶다”

누구보다도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살았을 법한 한 사람의 고백이다. 변호사를 거쳐 현재는 교수로, 법학자의 삶을 살고 있는 인권법 전문가 박찬운 교수님이 쓴 <경계인을 넘어서>의 핵심 메시지이다.

경계인이란 누구를 말하는가? 주류도 비주류도 아니며, 이상주의자도 현실주의자도 아닌, 이들의 경계에 있는 보통의 우리들을 지칭한다. 어쩌면 관점에 따라 상대적으로 좌, 우에 편향되어 보일 수도 있는 우리들은 그 한계를 넘어서야만 비로소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살고 싶다.`
그렇다면 우리는 자유롭지 못하고 독립적이지 않다는 말인가? 사실 그렇다. 놀랍지도 않다. 대한민국은 의존사회다. 자식은 부모에게 의존하며, 빈자는 부자에게 의존한다. 아내는 남편에게 의존하고, 노인은 거꾸로 자식에게 의존하는 사회다. 저자는 복지국가에서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의 답을 찾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선 `신뢰의 정치`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는 롤모델로서의 복지국가의 바람직한 모습만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언급되진 않았지만 그 이면의 단점이나 필요한 노력, 방법은 분명히 있다. 대한민국이 올바른 복지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선 많은 투쟁과 시행착오가 뒤따를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유토피아는 절대 실현될 수 없다는 주장에 한 표를 던진다. 절대왕정 시대, 봉건사회, 민주주의, 공산주의 등 많은 모델들에 장, 단점이 있고 현재의 체제도 새로운 정치, 경제 체제에 그 자리를 넘겨줄 것이다. 정반합의 역사가 반복되듯 현재 체제(또는 기득권)에 반하는 세력이 발생하고, 이것이 합해져 새로운 `정`이 생겨봤자 또 다른 `반`이 생길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포기하고 가만히 앉아 있자는 말은 더더욱 아니다. 잘못된 것은 드러내고 바로 잡아야 하고 권선징악이 구현되어야 나 같은 소시민이 살아 가는데 그나마 덜 억울하지 않을까?

“삶의 여정에서 유혹과 고통을 견뎌내고 소신을 지킨 지식인, 우리는 그런 사람을 존경한다.”
군사정권 시절 학생운동에 열심이었던 사람들 중 일부는 현 여당의 정치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를 거쳐 연이어 일어난 6.25전쟁으로 친일파가 척결되지 못하고, 이들은 오히려 반공논리를 앞세워 기득권이 되었다. 그리고 어처구니 없게도 그 세력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재산과 목숨을 모두 걸고 독립운동에 앞장 섰던 선조들의 비극적인 결말, 그리고 그 후손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과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이런 것을 보면 과연 정의란게 존재할까? 우리가 너무 순진한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더 무서운건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엔 너무 늦은건 아닐까? 라는 회의적인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자유롭고 독립적인 삶을 위해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저자는 다음 세 가지 자세를 강조한다.
첫째, 비판 정신이 필요하다. 비판적인 자세는 삶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둘째, 저항 정신이 있어야 한다. 부당한 권위에 저항할 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노예나 다름 없다.
셋째, 창조 정신을 가져야 한다. 남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고 거기에서 새로움을 창조하는 자세가 경쟁 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원동력이다.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고, 여행은 서서하는 독서다˝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저자는 운동과 독서, 그리고 여행의 중요성으로 맺음말을 전한다. 독서모임이 자유롭고 독립적인 사회가 되기 위한 풀뿌리 정신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여기에 내 생각을 추가 하자면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지만 독서 모임은 앉아서 `함께` 하는 여행이다. 비록 같은 장소를 여행 한다 해도 각자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은 제각각이다. 마찬가지로 같은 책을 읽고 느끼는 각각의 경험들은 함께 나눌 때 비로소 그 즐거움이 배가 된다.

------------------------------------------------------------
하늘고기의 북로그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7143647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근 즐겨 듣기 시작한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있네>와 같은 제목으로 출간한 시리즈 도서로, 2편 ˝이명현의 외계인과 UFO˝를 읽었다. 111페이지의 얇고 작은 핸드북 사이즈의 이 책에는 외계지적생명체, 즉 ET를 찾는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의 한국조직위원장 이명현 박사님과 진행자(파토 원종우님)의 대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에서는 SETI란 어떤 조직이며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전파망원경의 원리와 방법부터 시작하여 명왕성의 발견과 퇴출 배경, 우주선, UFO 같은 소재들을 다루고 있다. 외계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지구 중심적인 사고방식이긴 하나 아직까지는 탄소기반 유기체를 생명체라 보고 있다˝고 전한다. 또 재미있는 내용으로 ˝우주여행에는 원칙이 있다. 우리보다 기술적으로나 힘으로 더 못한 행성에 도착했을 때는 좋은 의도라도 자기 자신을 드러내면 안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본의 아니게 그들에게 영향을 주고 의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에서 외계지적생명체를 찾았다고 해도 빛보다 빠른 이동 방법(가령 웜홀이나 워프 같은)을 강구하지 않는 한 대화조차 어려운 현실이지만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런 저런 단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나 같은 일반인에게 천문학적 관심을 유발하기에는 충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아직까지 읽지도 못하면서 그저 사놓은 것에만 흐뭇해 하고 있는 <코스모스> 뿐만 아니라 천문학 관련 도서들도 다시 꺼내 읽어보고 싶은 동기를 부여해 준다. 이런류의 책들을 읽고 나서 <인터스텔라>, <그래비티>, <콘택트>, <마션> 같은 우주 배경의 영화를 다시 본다면 새로운 시각과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7124695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을 위한 넓고 얕은 과학 지식, 티타임 사이언스.

<티타임 사이언스>는 제목처럼 차를 마시며 가볍게 이야기를 나눌법한 내용이 담긴 책이다. 물론 분야는 과학이다. 과학은 어렵고 나와 별로 관련이 없다는 생각이 들더라도 최근 핫이슈였던 이세돌vs알파고, 지카바이러스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특히 요새는 ‘메르스 사태’와 같은 굵직한 사건이 발생하면 전국민이 전문가 뺨칠 정도로 디테일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메르스에 감염된 젊은 의사가 ‘사이토카인 폭풍’을 겪어 더 위험했다라는 뉴스 기사에서 우리는 새로운 과학 지식을 배웠다. 그런데 누군가 여기에 조금 더 보태 디테일한 과학적 원리와 배경 스토리를 알려 준다면? <네이처>나 <사이언스>지 논문의 핵심을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 설명해 준다면? 검색하고 해석해서 이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주고 이런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알려줘서 고맙다고 해야할 것이다. 물론 평소 궁금했던 주제였다는 전제하에.

이 책은 식품, 의학, 고생물학, 심리학, 신경과학, 천문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등 여러 과학 분야를 다루고 있다. 과학 이론부터 역사, 최신 논문에 대한 설명,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적절하게 소개되어 있다. 또한 많은 그림과 그래프, 사진은 적절한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는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나는 천문학 챕터부터 시작하여 뒤죽박죽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빠른 시간에 책 한 권을 다 읽어버렸다. 그리고 혹시나 건너 뛴 챕터가 없나 하고 마지막 한 방울까지 탈탈 털어 봤지만, 다 읽어버렸다는 것에 오히려 아쉬움이 크게 남았다. 다양한 분야로 구분되어 있지만 실제 다루는 내용은 1~2개 정도 뿐이라서 더욱 그런 것 같다.

과학 전문 기자였다는 화학과 출신의 저자는 그 이력답게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리즈 등 많은 과학 관련 책들을 저술 및 번역 하였다. 이 책은 과학카페 시리즈의 5번째 도서이다. 평소 과학을 좋아하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사실 그의 책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비록 한 권을 읽었을 뿐 인데도 과학 지식에 대한 그의 다채로운 스펙트럼과 집요하게 파고 들어 궁금증을 해결하려는 모습, 그리고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고자 하는 저널리즘 정신에서 신뢰를 느꼈다. 이전의, 그리고 앞으로 출간될 그의 다음 책들도 꼭 읽어보고 싶단 생각이 든다.

‘너에게 좋다고 나에게도 좋은 건 아냐’ 책 중간에 언급된 이 구절처럼, 이 책이 담고 있는 모든 내용이 모두에게 유익한 것만은 아닐 것이다. 또한 저자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무조건 수용이 아닌 비판적 책읽기가 필요한 이유이다. 한 예로, 암 발생 원인에 대한 <사이언스>에 실린 ‘불운bad luck’ 이론에 대해 1년만에 <네이처>에서 반박하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내용 말미에 저자는 ‘귀가 몹시 얇은 필자는 지난해 논문을 보면서 무릎을 쳤지만 이번 논문을 읽으며 ‘이게 훨씬 더 설득력이 있네…’라며 고개를 끄덕였다.’ 라고 고백한다. 전자의 ‘불운’ 이론은 최근 나도 책으로 접하고 흥미롭단 생각이 들었는데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니, 역시 중요한 것은 진리에 가장 근접해 보이는 과학도 불완전 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패러다임의 변화가 새로운 혁명을 이끌어 냈던 것처럼 열린 관점에서 과학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더욱 중요하다.

중간마다, 그리고 아예 마지막 장을 할애해서 소개되는 과학자들 중 많은 사람이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대중을 위한 과학책을 저술 했다는 점이다. 그런 모습에서 무슨 자극이나 사명을 받았는지, 저자도 <네이처>나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들을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노력했다. 그래도 읽다가 너무 어렵다 싶으면 모두 이해하려 들지 말고 가볍게 스토리 정도만 알고 가도 좋을듯 하다. 과학이 어렵게 느껴지는가? 강석기의 과학카페 시리즈, <티타임 사이언스>와 함께 딱 이 정도 교양으로 과학을 시작해보자.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7092066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4.11~14)

최근 몇 년간 큰 열풍을 불러 일으킨 빅데이터 분석은 제품의 개발 단계부터 마케팅, 소비자 대응까지 전방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분석 기법이다. 중요한 것은 ‘소비자의 마음을 읽는다’는 목적의 수단으로써 빅데이터라는 솔루션이 사용되어야 한다. 국내 최고의 빅데이터 전문가로 손꼽히는 송길영씨가 쓴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에서 그는 빅데이터의 목적이 mining minds, 즉, 소비자의 마음을 캐내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기하급수적으로 쏟아지는 정보의 바다 속에서 하루에도 수십만 건의 SNS 데이터가 올라온다. 이중에서 내가 필요한 유의미한 정보, 즉, 잠재적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것이 바로 SNS 빅데이터 분석의 묘미이다. 기업은 제품의 기능을 보고 팔지만 소비자는 효용을 보고 산다. 여기서 효용(utility)이란 인간의 욕망을 채워줄 수 있는 재화의 효능이나 가치를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답(또는 가설)을 검증하려 들지 말고, 우리가 모르는 것을 발견 한다는 자세로 접근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 ‘캠핑이 유행하니 캠핑 관련 제품을 팔자’라는 1차원 적인 생각이 아니라 캠핑이 ‘왜 떴는지’를 분석하고 이것을 활용해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한다. 이제는 기업들도 제품만 보지 말고 소비자를 보고 사람을 보고, 더 나아가 사회를 보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코끼리를 움직이는 것보다는 코끼리에 올라타는 일이 더 쉬울 수도 있다. 소비자라는 코끼리를 우리가 바라보고 분석하는 만큼 소비자도 우리를 관찰하고 행동을 눈여겨본다, 그것도 아주 똑똑하게. 결국 소비자를 이해하고 그들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어떤 효용을 제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 한다. 빅데이터 분석은 여기에 대한 솔루션 중 하나이다.

소비자의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결과가 내 입맛에 맞으면 활용하고 아니면 무시하고 버리는 관습을 버려야 한다. 그런 열린 마음으로, <여기에 당신의 욕망이 보인다>는 마케터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획, 개발, 영업 부서에 종사하는 모든 분들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6854970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3.29~4.7)

인권 이야기, 그리고 <불편해도 괜찮아>라는 제목에 자연스레 ‘장애인 인권 얘기겠구나’ 라고 생각했다. 과연 재미있을까? 의심이 앞섰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나의 선입견이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청소년, 성 소수자, 장애인, 노동자, 인종 등 신분에 따른 부당한 차별부터 폭력, 병역거부, 영화의 검열, 제노사이드까지 우리 사회의 불편한 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기획하고 김두식 경북대 법대 교수가 쓴 이 책은 영화광인 그가 영화 속 인권에 관한 불편한 진실과 그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다. 부제인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는 괜한 소리가 아니다. 재미없었던 영화나 아무 생각 없이 깔깔대며 봤던 영화도 관점만 살짝 달리하면 그 속에 씁쓸한 진실이 있다는 것에 깜짝 놀라게 만들기 때문이다.

불편한 진실이라 표현한 것은 우리 모두 알고는 있지만 굳이 꺼내 말하거나 생각조차 꺼리는 주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역지사지’란 말은 쉽지만 제대로 하기란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 장애인 인권을 훌륭하게 다뤘다고 평가되는 <오아시스>도 전심으로 그들의 입장이 되지 못한 옥에 티를 갖는다. ‘장애인은 사회의 불합리 앞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라는 무의식의 전제조건이 그러하다. 마찬가지로 인종 차별과 편견이 심각했던 시대 속에서 큰 파장과 호응을 일으켰던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는 더 큰 오류를 안고 있다. 소설 속 히어로인 애티커스 핀치 변호사를 통해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기 전에는 그 사람을 판단하지 말라”라는 황금률을 가르친다. 그러나 소설의 핵심 메시지와는 달리 정작 인종 차별의 피해자인 흑인들의 목소리는 작으며, 백인들의 시각에서 바라본 흑인 인권 이야기라는 점에 한계가 있다. 흑인 입장에서 보면 ‘불쌍한 흑인’을 돕는 ‘의로운 백인 변호사’이야기에 불과하다.

‘똘레랑스tolerance’라 일컫는 유럽 문화의 기원을 따져보니 소름 끼친다. 16~17세기에 종교를 이유로 나와 다른 사람들을 너무 많이 죽여서 ‘이러다간 사람 씨가 마르겠다’ 싶어 별 수 없이 관용하기에 이르렀다는 배경을 갖고 있다. 이처럼 우리는 알게 모르게 얼마나 많은 편견과 이데올로기에 갇혀 살고 있는가.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어도 풍덩 뛰어들어 함께 하지 않는 한 전적으로 그 사람의 입장이 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런 문제를 의도적으로 이해하려 노력해야만 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바로 사회적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 사람이 언제든 내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첫 장의 청소년 인권 문제는 바로 내가 지난 시절 겪었던 일이며 노동자 인권 문제는 나와 내 부모의 입장이기도 하다. 그리고 우리가 동남아인들에게 무심코 던진 돌은 우리가 반대로 영어권 국가에 갔을 때 되돌아온다. 유리벽에 막혀 몸부림치는 당사자가 되기 전에 한 번이라도 그들의 처지를 이해해주는 사회가 된다면 양극 간의 차이는 조금 줄어들지 않을까? <불편해도 괜찮아>는 프레임에 갇혀 편견과 무주의 맹시 속에서 당연하다고만 생각했던 우리들을 부끄럽게 만드는 책이다. 이런 불편한 진실을 당연하지 않게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는 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http://m.blog.naver.com/raccoon129/2206791615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