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땅

김명인


이몸으로 나도
절름거리며 가야 한다, 돌부리에 엎어지며
피 흘릴 사랑 없어 갈 길 더욱 아득하고
막막하구나, 하루의 끝은
며칠이고 거듭 웅크려 바라보는 이곳의 바다.

문을 열면 눈 높이에 매달리는 어등도 물거품도
소리 죽여 차가와지는 시간 가까이
보고 싶다, 친구여 보고 싶다, 너의 목소리 떨려도
어느 한 발짝 예서 더 나아갈 수 없는
발 밑에선 네 사랑도 돌아와 파도 깨어진다.

얼어붙은 땅 눈물 비벼 입맞추거든
끌려가리, 따라가진 말고.
지워 버린 뜬 별에도 그리움 몇 개 끌려서
가슴에 품은 칼이 제 살에 아픔이 되는
비비고 또 보는 어둠 속엔 입다문 남자들 몇 명.

흔적은, 꿈꾸지 말아다오.
소름에도 돋는 물방울로 타는 목 축이면서
내 칼 끝 더듬어 내렸던 세상,
더러운 사무침에도 이 미친 몸부림 끝없어
뜨거운 피 더 흘려도 헛된 고향길.




서울에서 나고 자란 나도 고향이 그립다. 단성사와 종각을 사이로 좁은 골목 사이에 있던 증조 할아버지 기와집. 작은 마당에 복순이는 꼬리치고 한쪽 분수에선 금붕어 몇마리 헤엄치고 있던 어린시절의 신창동 집. 사춘기를 보낸 창동 연립주택도. 그리운 건 그것들이 아니라 그 속을 통과했던 시간과 나 자신이지.

어제 읽은 로쟈의 '니체'의 초인이야기와 도킨스의 '무덤덤한 자연'이란 언급이 이 시와 더불어 울린다. 우리의 소임이란 그저 역사라는 전쟁의 총알받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중에 읽어서 더 그런가 보다. 우리는 그저 교량일 뿐이라는. '이것'도 '저것'도 아닌 그저 이것과 저것을 잇는 '다리' 일 뿐이라는.

사실 오늘 아침 이 시를 읽은 건, 이 대목 때문이었다.

"문을 열면 눈 높이에 매달리는 어등도 물거품도 / 소리 죽여 차가와지는 시간 가까이 / 보고 싶다, 친구여 보고 싶다, 너의 목소리 떨려도 / 어느 한 발짝 예서 더 나아갈 수 없는 / 발 밑에선 네 사랑도 돌아와 파도 깨어진다."

보고 싶어도 볼 수 있는 친구가 곁에 없고 보고 싶어도 볼 수 있는 엄마가 더이상 이세상에 없기 때문이었을 거다.

난 아무래도 '먹고자고싸고'로 만족하는 초인은 될 수 없는가 보다. '목적 없는 삶'이라는 걸 잘 알고 있으면서도 '나는 도대체 뭔가..'를 이 나이 이 상황에서 계속 생각하는 자신을 지켜보는 건 정말 짜증나는 일이다. 죽을 때까지 계속 외로울 운명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01-21 00: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23 00: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22 20: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1-23 00:0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