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의 강의 '차이나는 도올'을 몇번 재밌게 봤고, 그의 새 책 <도올, 시진핑을 말한다>를 한 번 봐야지하고, 보관함에만 계속 올려놓고 있었다. 그동안 현대 중국사를 다루는 책이 2권 생겨 빠르게 한번 씩 보았다.

 

 

 

 

 

 

 

 

 

 

 

 

 

 

 

스펜스의 책은 현대 중국을 찾기 위해서는 청나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놓고, 만주족이 명나라를 접수하기 시작하는 때부터, 특히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3대 130년간에 걸친 통치기가 특히 청나라와 근대중국의 운명을 좌우했다고 주장한다. 여러 타당한 주장과 증거를 제시하며 중국공산당 집권까지 계속 이어진다.

보겔의 책은, 주제가 정치적인 영역인 것을 감안해도, 등소평의 정치적 활약을 너무 중심에 놓고 집중적으로 700페이지 넘는 책의 많은 부분을 채웠기 때문에, 등소평이란 사람은 잘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오히려 분량은 적은 모택동에 대한 인물 묘사가 더 실감났다. 그리고 아무리 평전이지만 너무 다큐멘터리 느낌이 강해서, 지루한 감이 있었다. 보겔의 이 책을 읽은면서, 내내 중국저자의 고대시대, 중세시대 인물(진시황제, 당태종...)에 대한 평전과 대비되면서, 참 세상은 공평하구나 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중국저자의 평전들은 그 인물에 대한 거의 완벽한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것 같다. 문헌에 담긴 내용을 잘 정리해서 평전을 쓴다. 어떤 면에서는 문헌으로 보는 그 인물에 대한 '고증학'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런데, 그게 다다. 인류학이랄까 그런 측면에 대한 접근이 잘 보이지 않는다. 반면 스펜스의 책이 좀 덜하기는 하지만, 보겔의 책은 중국인들이 스스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보는 등소평에 대한 접근이 잘 보이지 않는 것 같다. 등소평이나 중국인들을 움직이게 하는 중국문화의 방식 같은 것에 대한 이해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중국저자와 다른 방식으로 지루함이 있다.

풍문으로 듣기에는, 도울의 책이 이런 서양인들의 현대중국에 대한 이해를 뛰어넘는 방식으로 시진핑을 잘 전달하고 있다는데, 과연 그럴지 읽어 볼 일이다. '차이나는 도올'을 흥미롭고 인상깊게 즐겼다. 인간 중국인들의 모습을 곳곳에서 확인했던 거 같았고, 시진핑과 현대 중국에 대한 충분한 워밍업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