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를 바라보는 시선은 종교적이라기보다 거의 문화적이다. 이 문화적인 시선에서 몇몇 모습들은 전형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중세에는 움베르트 에코 <장미의 이름>에 등장하는 여러 수도사들의 모습, 뉴튼같은 교리를 벗어나는 이들에게 생사의 재판을 판결하는 모습, 데카메론에 나오는 타락한 이들이 중세 기독교를 떠올리는 전형들이다. 이런 전형적인 장면들 말고도 잘 알려지지 않은 기독교의 면면들이 지중해와 서유럽 역사에는 가득차있다.

예수 제자들과 교부들에 의한 초기 기독교와 중세 기독교 사이에는 수많은 이야기들이 감춰져 있다. 예를 들면 게르만족에게 기독교란? 로마제국 후 이탈리아에서 기독교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기독교 모습은? 같은 다양한 입장에서 오는 의문들이 있다.

이런 연구에 매진한, 이쪽 방면 유명한 학자로 피터 브라운이 있다. 그의 연구는 로마제국의 후기와 유럽 중세 초기의 종교적 문화와 종교적 변혁에 집중되어 있다. 직접적으로 이 시기를 연구한 저서로는 <기독교 세계의 등장>이 있다.

 

 

 

 

 

 

 

 

 

 

 

 

 

 

 

유럽으로 한데 뭉뚱그려 인식된 기독교 수용과정도 생각과는 다른 여러 경로로 형성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0년부터 1000년 사이 불교가 가져온 정서적인 안정감과 통일성을 떠올리면, 유럽에서 기독교가 근대국가 생기기전까지 기여한 바를 어느정도 느낄 수 있을 거 같다. 경전과 부처, 승단으로 이루어진 불교문화와는 엄청난 차이가 있지만, 국가형성이라는 틀 속에서 기독교의 역할은 얼마간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그 틀에서 지역마다 시대마다 기독교를 수용하고 변화시킨 과정은 지식으로 알고 있는 중세 전의 유럽인의 실제 모습을 느끼게해줄 중요한 원천이고, 불교문화권과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불교 문화권과의 큰 차이점이라면, 불교에서는 처음부터 승단을 위한 '율'이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에 비하여, 기독교에서는 시대마다 맡았던 역활에 따라 요구되던 윤리가 훨씬 더 많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불교 경전과 성경은 내용상으로도 큰 차이점을 보인다. 물론, 불교 경전 중에도 부처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경전도 있지만, 본질적으로 스스로 수행하여 부처가 된다는 내용인데 비하여, 기독교에서는 유일신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며, 이 믿음을 전제로하는 다양한 가치관과 윤리관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신도에게 주어질 선택과 자유로운 영역이 매우 다르고, 그에따라 형성된 문화도 발전되고 심화한 영역이 매우 다르다고 생각된다. 이 측면에서 유교가 보장한 영역도 매우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