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과거 전통인 성리학을 오늘날 독자들에게 설득력있게 전달하는 책들 중 내 마음에 드는 몇몇 책들이 있다.

 수당부터 송명청에 이르기까지 문헌(사상부터 문학서까지도)에 정통한 피터 볼이 내가 좋아하는 저자 중 한명이다. 그의 저서 중 두권이 번역되어있다.

 

 

 

 

 

 

 

 

 

 

 

 

 

 

 

<역사 속의 성리학>과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이다. 앞의 책은 성리학이 북송과 남송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과정을 성리학 외부와 내부 양방향으로 설명한다. 외부로는 수당시대 인물과 남송시대 인물의 가치관과 관심을 비교하며 750년대와 1050년대를 사는 인물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바램을 갖고 사는지 보여준다. 이 간극을 채울, 그 변화를 설명할 내용을 적합해보이는 증거를 통해 증명한다. 단순히 신유학이 개인 수양을 강조했다는 식으로 가치관의 변화나 어떤 정신을 강조하지 않고 그런 가치관이 사람들에 설득력있게 수용되는 과정을 타당하게 보여준다. 그러고 나서 성리학 내부로 돌아와 세부적인 성리학 내용을 말하고 남송이후 원명청대에 끼친 영향까지 살핀다. 이런 흐름이 저자를 좋아하는 이유다.

뒤의 책도 역시 좋다. 여기에서는 정주학이 꽃피기 직전까지, 신유학이 성립하게 되는 과정을 당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온다. 차례를 보면 뚜렷이 알 수 있다.

 2장 사대부의 변화
 3장 당 왕조 초기 조정의 학문과 문장 혹은 문학 창작
 4장 755년 이후 문화의 위기
 5장 문치 정책과 문학적 문화 : 송대 지성적 문화의 시작
 6장 사상가, 그다음이 문학적 작가 : 11세기 중기 지성사적 조류
 7장 완전한 질서를 위하여 : 왕안석과 사마광
 8장 소식(蘇軾)의 도 : 개성을 다하되 전체와 통일을 이룬다
 9장 정이와 도학의 새로운 문화

 

시대 별 특징을 잘 짚어주면서 다음 시대로 이어지는 변화의 원인을 정말 잘 그려낸다. 복잡한 문헌변천사가 잘 정리되어있고, 문헌의 이해를 시대상황을 반영시켜 설명하여 충분한 설득력을 갖는다.

 

이런 설명방식들은 서양수사학전통에서 기인한 논증 형식에서 온다. 보통 다른 입장을 갖는 사람들 간 논쟁과 헷갈리기 쉽지만, 논증은 그런 좁은 행동과 말하기를 넘어, 독자에게 설득력있게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전달하려는 오랜 세월 잘 다듬어진 글쓰기 형식을 말한다. 잘 씌여진 논증의 경우 위와 같이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타당한 구성을 통하여 드러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 학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글쓰기 형식은 달라 보인다. 글의 내용이나 저자의 이해가 문제가 아닌 거 같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흡족하게 드러낼 구성을 잘 못만들어 내는 거 같다.

다음은 김교빈의 <이언적>이다.


 

 

 

 

 

 

 

 

 

 

 

 

 

 

오랜 기간을 준비한 충분한 내공이 녹아들어 있는 멋진 저서다. 그렇지만 그 내공이 구성을 통하여는 볼 수 없다.

 제1부 이언적의 시대와 생애
 1장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2장 사상적 배경
 3장 이언적의 생애와 저술
 4장 이언적 관련 유물과 유적
 제2부 이언적의 철학 사상
 1장 태극논쟁
 2장 <대학자욱> 개정
 3장 단본청원의 심학
 4장 치중화의 경세관
 5장 이언적 철학의 의미
 제3부 이언적의 저술
 1장 시(詩)
 2장 부(賦)
 3장 잡저(雜著)
 4장 무극태극 논쟁 편지

 

제1부에 담긴 내용을 읽어보면 저자가 갖고 있는 중국유학과 한국유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구성이 달랐다면 그 이해를 좀 더 정교하고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었을 거 같다.

구성과 연관된 글쓰기 과정은 결국 글쓰기 전반의 문제이기도 하다. 글을 쓰는 목적, 주제에대한 주장잡기, 읽을 독자를 설정하기, 이런 것들이 모여 구성을 낳기까지 이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이 책은 저자의 깊은 이해와 자료모음과 해당분야에 대한 저자의 주장들이 포석없이 함께 섞인 인상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