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고대중국사상 읽기야 말로 또 하나의 첨단분야다. 지난 수십년동안 한바탕 사해와 나그함마디의 발견으로 새롭게 조명된 신학이 기독교 전통에 수많은 활기를 불어 넣어준 것처럼 고대중국사상에 관해서도 여러 분야, 고고학, 의례연구, 천문학연구, 전통적인 연구의 진전과 확장으로 계속해서 활기있는 논의가 진행 중인 것처럼 보인다.

 

넓게 보면 동아시아 전통 속 고대 중국사상에 대하여, 좁게 보면 우리 전통 속 중국사상에대한 새롭고 폭 넓은, 그리고 근원적인 방향으로 해석이 꾸준히 넓어지고 있다. 우리문화 속 역학, 한의학, 유학, 정치 사상등이 우리 특유의 배경과 문화 속에서 해석되었다가, 여러 학문의 최신 성과를 통해 충실히 이해되고 해석되는 거 같다. 또한 현재가 그만큼 복잡한 해석을 원하다고도 볼 수 있을 거 같다. 예를 들면, 어떤 면으로 새롭게 편성되는 현재 모계 사회에 고대중국사상이 어떤 의견을 줄 수 있을지도 궁금하다.

 

고대중국사상 읽기에 참여하는 분야는 다양하다. 현대 중국인 학자들이 대거 포진한 선진과 진한 시대로 한정해서 유가를 포함한 제자백가들의 새로운 이해

공자가 기여한 역할을 새롭게 보는 시야

공자 이전 시대의 학문

무 전통과 원시 유가와 관계

무 전통과 노장 사상과 관계

그리고 현대 일본인 학자들이 넓혀놓은 고대 중국

정교한 논증 구조가 인상적인 서양인 학자들이 제기하는 인문 전통과 정치 사상 간 교류

 

 

 

 

 

 

 

 

 

 

 

 

 

 

선진과 진한 시대는 아니지만 정교한 서양인 학자들의 논증이 빛나는 책들이 있다. 독자들을 설득시키는 방식이 무척 인상적이고 그런 논증 결과 저자들이 주장하는 해석들이 참신하다고 느껴지는 책들이다.

 

 

 

 

 

 

 

 

 

 

 

 

 

 

 

앞의 책은 당나라 시대 국가의례를 통하여 들여다 본 당나라 시대 정치적 정체성을 논증한다. 당나라 이 전 시대인 한나라와 남북조 시대와 차별되는 당나라 만의 시대적 요구와 집권세력들의 정치사상을 국가의례를 통해서 새롭게 조명한다.

뒷 책은 송대 성리학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흥미로운 의견으로 . 수많은 고대 인문서적과 정치 사상을 넘나드는 광대한 인용이 감탄스럽다. 당부터 북송까지 인문학자와 사상가들의 계보와 경향을 꿰뚫는 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관점이 좀 다르고, 한나라부터 당나라까지 고대 중국의 조정과 의례를 다루는 작품으로 와타나베 신이치로의 <천공의 옥좌>가 있다. 조정의례를 통해 들여다 본 여러 시대 요구를 절묘하게 세밀하게 그린다.

 

 

 

 

 

 

 

 

 

 

 

 

 

 

 

국가의례를 천문영역. 종교와 관련시켜 보는 국내학자, 김일권의 연구도 있다. 

 

 

 

 

 

 

 

 

 

 

 

 

 

 

 

 

 

단순히 주자역학으로 우리에게 수용된 역학의 광대한 범위. 점서, 의리역, 상수역, 도서역. 우리나라에 전해진 역학은 정이와 주자역학에 한정되어 중국역학 이룩한 여러 성과 중 일부만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역학 이해를 돕는 주역학자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김상섭의 주역연구다. 역경이 성립된 주나라 시기부터 계속해서 진화하고 변화된 역학을 꾸준히 소개하고 연구하며 우리에게 전달해주고 있다.

 

 

 

 

 

 

 

 

 

 

 

 

 

 

 

 

 

 

 

 

 

 

 

 

 

 

 

 

 

 

 

 

김상섭의 주역들은 고증학전통을 따르고 있는데, 성립한 시대에 가장 충실함이 고증학의 방향이 다. <역경>은 주나라 초기, <주역점법>의 점서로서 해석은 춘추전국시대, <역전>은 전국시대부터 한나라 초까지 성립되었는데 역경 텍스트가 똑같은 글자로 이루어졌음에도 목적과 시대배경에 따라 전혀 다른 해석이 나옴을 세밀하게 고증하고 논증한다. 김상섭은 앞으로도 역전해설과 상수역과 도서역에 관련된 책들을 계속해서 낼거라고 포부를 밝혀 기대된다.

 

논어와 공자 연구에서도 고증학 같은 태도들이 보인다. 이택후의 연구는 노장사상 연구로 유명한 유소감의 말대로 재기발랄함이 시선을 잡는다.

 

 

 

 

 

 

 

 

 

 

 

 

 

 

 

일본인 학자들의 공자 연구도 무척 흥미롭다. 특히 한자 기원 연구를 통해 색다른 접근과 해석을 내리는 책이 신선하다. 다만, 지엽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면서 본말이 어색해지면서 전체 그림이 다소 뒤틀린다는 인상이 있다. 가끔 접하는 일본인 학자들의 문체 경향 중 한 면인 것같다.

 

이런 전통 속 중국 불교 읽기. 이런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중국 불교 읽기는 공통되게 소략한다는 인상을 준다. 특히 위진남북조, 수, 당, 오대십국, 송, 원까지는 불교 읽기가 전반적인 시대분위기와 당시 지식인층을 읽는데 무척 필요한 일일텐데, 다른 연구와 균형을 맞춰 접근하려는 책은 잘 안보이는 거 같다. 풍우란부터 그런 경향이 있었던 걸 보면, 어제, 오늘 일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연구들 성과를 보고 있자니 아쉽다.

 

우리 전통속 종교, 불교, 고전 제대로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