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고대의 신들 세미나리움 총서 14
하야시 미나오 지음, 박봉주 옮김 / 영림카디널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사라 알란의 책들은 동아시아 사상의 근본토대를 탐구하려는 열의로 가득하다. 

         

그 중 <공자와 노자 그들은 물에서 무엇을 보았는가?>에서 매우 인상적인 제안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서양사상의 전통은 나무를 이용한 은유이고 동양사상의 전통은 물은 이용한 은유라는 의견이다. 음, 아마 지은이는 태극권을 너무 많이 본 모양이군, 첫 생각은 이랬지만 시간을 들여 읽다보니 꽤 설득력을 갖춘 주장이었다.공자의 글과 노자의 글을 물의 흐름이나 속성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비유와 표현들로 보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서양 사상들이 나무 조각가들이 나무들을 조각내어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꿰맞추는 식으로 표현하는 면이 있다는 말은 신선한 시선이었다. 

하지만, 춘추전국 시대, 서주, 상나라 훨씬 이전은 과연 어떠했을까? 상나라 갑골문자가 문헌 기록의 거의 초기라는 걸 감안하면 그 시대 정신세계를 옅보는 작업은 쉽지 않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그런 신기한 작업을 하는 분들이 있다. 일부 일본 학자들의 고대 중국에 관한 학문은 참으로 많은 즐거움과 깊은 지식과 뜨거운 열정을 느끼게 해준다. 하야시 미나오 도 그런 부류의 학자인 듯이 보인다. 그쪽 전공과 전혀 상관없는 터라 자세한 언급은 할 수 없지만, 상고시대 청동기 철기 유물을 보고 저자가 펼친 주장들은 매우 소중한 문화적 자산임이 분명하다. 상고시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일부나마 설득력있게 보여준다. 동양 고대인들의 신들은 어떻게 그 시대 사람들에게 자리잡았는지 많은 문양의 그림, 사진을 증거로 제시하면 설득력있게 의견을 피력한다. 어떤 면에서는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퓌스텔 드 쿨랑주의 <고대 도시>를 떠 올리게 하는 면이 있다. 물론  제러드 다아안몬드가 <총, 균, 쇠>에서 밝혀냈듯이 물리적이고 지정학적인 인류학 측면에서 기인한 다른 점들은 있지만, 그들 정신세계가 공유하는, 어떤 신적인 대상들에 대한 태도들을 잘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