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의 탄생 - 한국어가 바로 서는 살아 있는 번역 강의
이희재 지음 / 교양인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 번역을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우리글로 관심이 간다. 내가 번역해 놓은 우리글을 어떻게하면 자연스럽게 개선할 수 있을까 혹은 구사할 수 있을까이다. 먼저 첨가어인 우리글의 강점인 어미와 조사, 접두사를 잘쓰면 글태가 좀나지 않을까하고 이리저리 한글문법책을 들여다보지만 더 이상의 진전은 거두지 못하고 거기서 끝난 경우가 한두번이 아니었다. 

내가 멈춘 지점에서 저자가 모아놓은 알토란같은 어휘와 개선방향은 한참 걸어나가 있었다. 외국어인 영어, 프랑스어, 일어, 중국어와의 비교로, 우리말 원어민인 우리들 관점을 넘어서 거의 글쓰기문법이라고 할 정도까지 내용을 넓히고 가다듬어 실제 글쓰기 개선방법을 짚어 주었다.  

저자는 첨가어로서 우리말, 주어를 밝히지 않는 우리말 경향, 한문위주였던 조상의 글쓰기 문화, 일본어와 영어의 번역투가 넘치는 현재의 우리글, 한자와 순수한 우리말을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번역에 관련된 우리글 대부분을 살피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말하자면 우리 글은 어떻고, 영문은 어떠해서 번역하면 두 글이 충돌한다, 그러면 충돌한 지점을 우리 글의 고유함으로 다듬는다. 그렇게 도착어가 한글일때 번역의 개선전략을 부지런히 펼쳐 보여준다--마음만 먹으면 각 장을 한 권 책으로 만들 수 있을만큼 양으로나 질로나 풍성하다. 몇몇 장은 오히려 그 소재안에서 재구성하여 두텁게 한권 책으로 내셨으면 싶을 정도다.

이런 글쓰기 개선방법은 번역의 문제만은 아니어서 글쓰기 모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독자들이 각 분야 전문가인 학술 글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문법이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