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적 접근에 관심을 갖게 되면 어디부터 보면 좋을까하는 막연함이 생긴다. 하워드 베커가 '학계의 술책'에서 당부했듯이 실제 연구 일에 뛰어들어 필요한 업계의 술책을 매일 갈고 닦으라는 충고도 있었지만, 뛰어들어갈 현장이 없거나 그런 방법론을 다듬는데 관심이 있을 때는 정량적 접근과 정성적 접근이 구체적으로 얼마나 다른지를 살피는 것이 먼저다.  

레긴이 저술한 비교방법론은 비교사회학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정성적 접근과 정량적 접근을 차례로 꼼꼼히 살피고 있어 언급했던 목적에 도움이 된다. 

       

 

 

 

 

 

 

 

정량적 접근, 정성적 접근, 통계적 분석을 소개하는 좋은 책들이 많이 등장했다. 학계에서 잔뼈가 굵은 능숙한 학자들의 힘과 배려로 초학자나 일반인한테도 도움이 될만하다. 이군희의 저서에는 언제든지 참고하기 쉽도록 고급통계방법이 잘 정리되어 있다. 

 

 

 

 

 

 

 

고급통계기법도 좋지만 기본에 충실하는 것도 이해를 높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겠다. 통계학이 붙으면 반드시 나오는 확률분포를 단순히 추정과 검정의 도구로 이해할게 아니고 통계현상의 어떤 부분을 잡아낸 것인지 이해하는데에는 역사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좋겠다. 

 

 

 

 

 

 

 

 

그럼에도 어떤 경우에 어떤 접근이 더 좋을지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은 하나만 파고들어서는 얻기 어렵다. 특히 정량적 접근의 경우는 다양한 분석방법으로 갈피잡기가 힘든데, 정량적 접근이 밟는 정형적인 단계별로 꼼꼼히 챙기면 도움이 된다. 베커는 '학계의 술책'에서 각 세부 단계에서 빠지기 쉬운 편견이나 거기서 헤어나올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 

정성적 접근 중에 사례연구방법은 이 책을 따라갈 후발주자가 안 보인다. 막연하게 생각되던 사례연구를 풍부한 실제연구와 사례문헌을 통해 차근차근 그 방법을 풀어낸다(책 표지 왼쪽 위의 3은 3판을 번역했음을 가리킨다. 처음에는 시리즈물인가 했다^^)  

 

 

 

 

 

 

 

번역된 사례문헌도 제법 된다. 

 

 

 

 

 

 

 

보통 정량적 접근은 다양한 통계 방법으로 어려움을 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정해진 방법하에서 그 방법을 이렇게 쓸까 저렇게 쓸까의 문제이고, 그래서그런지 대개 이런 정량적 입장에서 정성적 접근을 소개하는 것을 보면 그렇게 탄탄하고 뚜렷한 방법이 없을 때 정성적 입장을 고려해보라는 식으로 자주 표현한다. 하지만 사례연구방법에서 Robert K. Yin이 언급하듯이 정성적 입장에서는 전혀 얘기가 다르다. 정성적 접근은 그런 부수적 보완적 성질을 넘는 독자적인 효용이 있는 우수한 조사방법이라고 얘기한다(뭘 모르는 사람이 그 가치를 못알아본다고 말하면서). 주장만 하지 않고 정량적 접근으로는 엄두도 내기 힘든 다양한 주제를 깊은 이해로 다룬 사례문헌을 들이대고 있다.

이런 정성적 접근이 가능한 토대가 궁금해지기는 하지만 윌리엄스의 '논증의 탄생'에서도 깨달았듯이 글을 쓰기위한 방법이나 개선전략이 언어학, 철학, 논리학 과의 직접적인 연계를 찾는다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떠올리며 약간의 관심만 두는 정도가 적당하리라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