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연구하시는 김상섭님, 고대중국수행문화 살피는 정우진님 이 요근래 내 독서의 최애 저자 2명이지만, 그외에도 몇몇 애정하는 저자들이 있다. 작고하신 피터 드러커, 칼 융 도 있지만, 국학 역구하시는 구중회 님이 그 중 강력한 한 명이다. 구중회 의 출판된 책들을 대부분  봤지만, 논증을 만들어가는 그의 책쓰는 스타일은 뚜렷하게 완결된 주장을 선보이는 것이 목표는 아닌거 같다. 마치 분석심리학 개념의 '그림자'처럼 기존 국학의 그림자진 부분을 파고들어, 기존 전통에 대한 개념들이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을 캐치하는데는 능하지만, 그 캐치한 부분으로 어떤 충분한 서사를 만들지는 않는다.

그래서 재독 삼독을 하는 재미를 만든다. 저자가 충분한 완성개념을 제시하지 않으니까, 그 과정을 독자가 같이 음미할 수 있는 묘미가 있다.

사실 이러한 논증 형태는 전문 영역글쓰기에서는 드물지 않은 형태로, 문제제기 자체가 큰 의미일 수 있는 논증에 해당한다. 그래도 읽음을 하는 일반독자에게는 '솔루션'영역을 상상하고 어떤 통합된 이미지를 추구하는 맛이 있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고, 힘을 빼기도 하고 그런다.

이번에 본 책은 <경책문화와 역사>다.
















직관적으로 무당이 개입하는 '굿'은 익숙하고 큰 설명없이 다가오는 면면들이 많다. 이에 비하여 '독경', '앉은 굿', '설위설경' 으로 불리는 경을 읽어 위세를 떨치는 행위들은 쉽지 않다. 한편으로 우리 전통 행위 보다는 불교나 도교에서 경을 읽어 도력을 펼치는, 

경을 읽어 위력을 떨치는 행위는 여러 매체에서 생각보다 많이 접했지만, 그 행위가 굿과 대등한 무교의 '독경'과 밀접할 수 있다는 생각까지는 미치지 못했다.

옥추경 에 관한 책을 볼 때만 하더라도, 굿하는 무당에 비하여 어떤 신력이 따르지 못하거나 무당을 돕다가 생겨난 일 이 아닐까하는 단순한 생각이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는 아무래도 불교 중심의 기술이고, 그외 어렸을 때 본 전설의 고향에서 경을 반복해서 읽어 도력이 급상승하는 모습, 스님들이 경을 읽어 귀신을 제압하는 광경이 있었다.

이 모든 행위가 '독경'이라는 문화로 조선시대에 자리잡았다. 그래서 넓은 독경이라는 관점으로 볼때, 관련된 독경 행위는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시대 조선초기 까지 기록에 계속 등장한다고 볼 수 있다. 


각 시대의 큰 흐름인 무교, 불교, 유교 의 모습들이, 오늘날 생각하는 종교행위의 영역과 당시 일상으로 자리잡은 종교모습과는 생각하는 기준,범주가 많이 다른거 같다.

의료영역


백년전 백오십년전 생긴 큰 변화로, 오늘날 '전통'이라고 생각되는 것들이 갑자기 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들이 있다: 사주, 독경이 빠진 무가전통, 풍수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