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모로 제자백가의 위치를 다방면으로 밝히는 책이었다. 제자백가는 그냥 솟아나온 것이 아니었다. 흔히 제자백가 중 유가를 도드라지게 하는, 즉 공자의 말씀을 속시원하게 세세하게 밝히는 맹자와 순자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 많지만,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현실에 저항하는 새로운 시대를 밝히는 새로운 관점을 모든 제자백가들이 제시했다는 점을, 매우 입체적으로, 혹은 인류학적으로 보여준다.

저자는 남아있는 자료들을 끌어모아 '시', '성,덕', 전쟁주술, 법률 의 새로운 인식을 도모한다.

비합리적인 전통적인 요소들에 저항하는 양상을 설득력있게 제시한다.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는 요소들이. 춘추시대까지는 전연 일상적인 일이 아니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전국시대에 들어서면서 일상이 뒤흔들리면서, 보수적 입장을 견지하던 이들이 순식간이던 점차적이든 몰락하면서, 비합리적이고 주술적이던 일상이 합리적 영역으로 변모하기 시작하고, 진한시대까지 그 변모가 진행되면서, 주술이 합리로 자리 바꿈한 것과 함께, 변모하지 못한 기존의 주술적 영역도 병행하는 양상이 진행되었던 거 같다.

전국시대와 진한시대를 통한 합리로의 변모도, 세월이 흘러 끝내 한계를 드러내게 되는데, 위진남북조 시대의 현학이 그 반발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주술세계로의 역행이나 퇴행과는 다르지만, 또다른 비합리의 세계가 펼쳐졌다.


'시'는 특히 중앙정부의 변모과정을 잘 보여준다. 원시단계나 고대사회에서 '시'는 동방으로 상징되는 신의 강림장소이자 중요행사의 거행장소였다.

원시단계에서는 '조(조정)','시','조(조상)','사'가 미분리였다가, 권력이 씨족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종묘가 사 로부터 분리된다. 

단군신화의 신시 도 그 묘사가 사뭇 위와 가깝다. 신단수 아래 펼쳐진 신시는, 태양이 거처하는 나무에 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그 신의 강림장소와 주변을 성역화하고, 중요 행사와 결정과 의례가 진행되는 등 여러모로 위 시와 가깝다.

주례에서 면조 후시 좌조 우사 표현이 있다. 즉 북쪽에는 시, 남쪽에는 조(조정)를 둔다는 말이다. 이는 시의 미분리된 요소들이 권력집중에 따라 윤곽이 드러나고, 그 위치에 차별을 둠을 의미한다. 실제 한나라 장안성은 그렇게 형성되었다. 북쪽에 동시와 서시가 있고, 남쪽에 조정이 있다.


성인제왕론 도 같은 면모가 있다. 언듯 성인은 합리적임을 가리키는 전형적인 말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 담긴 주술적인 면이 흥미롭다. '성'과 '덕'


주나라를 이상세계로 그린 공자의 주장도, 단순한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주술적 사유에서 벗어나 당시에 통하는 합리적 사유로 옮아가는 과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