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중국 사상인 도가와 유가에 공통되는 수행하는 사람의 시선(늦게 인도에서 들어온 불교와는 다른)에는 무교의 향기가 짙게 깔려 있다. <장자>, <관자>, <논어>, <맹자>에는 인간의 마음을 살피는 수행자의 시선이 느껴진다. '기, 도, 허, 무, 감응, 성, 명..' 등 불교의 마음읽기와는 다른 류의 마음 살피기가 적지 않은 깊이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고대 중국 사상의 마음 읽기는 무교에서 비롯된다고 많이들 주장한다. 최근에 읽은 정우진님의 <양생>속에, 능숙한 전문가의 논증으로 이루어진, 이 주장에 대한 뒷받침이 있다. 
















무교는 고대 중국과 우리나라 외에도 많은 지역에서 존재했던 종교로, 널리 알려진 '샤머니즘'과 동일어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많은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 게다가 샤머니즘 자체도 지역마다 다른 모습일 수 있어서 약간의 혼란스러움이 있다. 많이 알려진 샤머니즘 책으로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 있다.















우리나라 무당들과 무속세계관에는 일반적인 샤머니즘과는 다른 몇몇 특징이 있다. 분석심리학자 이부영님의 책이 알차다.















일반적인 샤머니즘을 정의하면서 우리나라 샤머니즘의 특징을 짚어준다. 샤머니즘하면, 보통, 빙의나 강신으로 신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큰 특징으로 여기지만, 자신의 몸을 벗어나 하는 영혼여행을 주류삼는 것도 있다. 지옥여행해서 죽은 자의 혼을 만나는 것도 그렇고, 세상여행의 모습도 있다.

그리고 강신의 모습도 우리나라에서는 신을 조심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는데 비하여, 지역에 따라서는 당당한 중개자로서 신을 받고 내고 하는 모습을 보이는 곳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주변국인 중국, 일본, 대만의 무속 모습도 조금씩 비교해주는데, 우리와 다른 모습이 적지 않다.

이부영님의 책에도 조선시대 무당, 무속의 모습이 담겨져 있지만, 초점이 조선시대 무속모습자체는 아니기때문에 조금 아쉬운 점은 있다.

그러고 보면 신라시대 불교수용을 다룬 신종원님의 책은, 관점을 달리 생각하면, 신라시대 무속에 관한 책이라고 볼 수도 있다. 궁중과 민간의 무속이 불교를 수용하는 과정을 담은 책이다. <신라초기불교사연구>다.

그리고 일제시대 어머니 얘기를 그린 만화<내 어머니 이야기>에도 무속과 무당에 관한 얘기가 생생하다.















특히 1편에 나오는 여러 무당이야기들이 생생하다. 그 중 하나는, 동네 무당에게 내림굿을 받아야 된다는 얘기를 듣고 기독교를 받들어 저항하는 여인의 이야기가 있다.


그러니까 생각보다 조금만 과거로 들어가면 곧바로 만날 수 있는 대상이 무속인거 같다.


고대 중국 사상속 무교속에는, 고등종교의 모습인 유가나 도가의 사상으로 변모된 모습도 있지만, 일반적인 샤머니즘과 우리나라 샤머니즘과도 멀지 않은, 공통점과 다른점들이 생생하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