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익숙하기만 하고 그 진가를 헤아리지 못해서 동아시아 문화를 포함해 우리 문화를 온전히 못누리는 측면이 있지 않을까 는 생각이 든다. 단순히 음양이론적이라거나 고리타분한 성리학이라거나 비과학적이라는 비판들은 오늘날 현대인 관점에서 하는 말이고 동시대인 관점에서 뛰어난 점을 알 수 있어야 타당한 비평을 할 수 있을거 같다.

예~전에 영어논문 글쓰기를 진짜 전문가에게 배운 적이 있었는데, 그 분이 영어작문외에도 문학비평이나 미술비평 분야에도 일가견이 있어서, 근사한 미술비평 글쓰기를 엄청 즐겁게 감상했던 기억이 있다.

또, 잠깐 본 일본만화에서, 박물관과 절을 돌아다니면서 불상을 감상하는 불상동호회를 보고, 와아 이런 건 해볼만 하겠다 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영문학 책들은 단어 찾기가 찾기가 구찮고, 문학이 추구하는 내용들이 계속해서 흥미롭지는 않았다. 미술비평은 서양미술의 접근성이나 담은 내용들이, 잘 모르겠다 싶었다. 그렇지만 동아시아 전통 문화를 포함한 우리문화 감상에 대한 것들은, 많이 본격적이지는 않았지만, 질리거나 지침없이 꾸준히 욕구가 간직된거 같다.

점차 우리문화에 대한 대중서들이 수준이 올라가면서, 다양한 재밌는 비평들을 손에 접할 수 있게 된거 같다. 예를 들어 도올 김용옥의 동양고전 번역도 좋고, 김상섭의 고증주역에 관한 책들도 좋다. 

조선의 정주성리학 얘기는 곧잘 들어왔고, 조선 후기 진경시대 얘기도 가끔 들었다. 마침 배경지식을 주는 책도 읽게 되었다.














하지만, 진경시대에서 대표 미술양식인 진경산수화는 생각보다 흥미로운 대상이었다. 진경산수화에서 '진경'과 '산수화'의 진면목은 정말 상상하지도 못한 일이었다. 















본격적인 조선시대 미술비평이라 할 만한 책을 만나니, 깜짝 놀랐고, 살짝 설레기까지 했다. 이성현의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은 정말 본격적인 조선미술비평이다. 그림은 물론, 한문고전, 당시 정치상황, 화가의 상황까지 모두 끌어모아 진정스러운 주장을 펼치고 논거를 제시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이전 고전해설과 미술비평들의 허술한 점들을 송곳처럼 지적하고 해결로써 자신의 대안과 주장을 차분히 설명한다. 무척 재밌고 통쾌하고 짜릿하다.


성리학과 주자성리학은 인간의 내면중 어떤 것을 잘 잡아놓은 것으로 보여 융의 심리학의 '개성화과정'으로 읽을 수 있다고 많이 생각했고, 수묵화 그림은 주역에서 '상'을 잡는 것 같은 측면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있었다. 아직 생각만이지만, 이런 단초들로 글을 쓰면, 그런 것들이 소소한 동아시아 문화 비평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