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열심히 읽었던 김재권을 포함한 여러 심리철학 책들; 초기불교, 인도불교사, 중국불교사, 불교논리; 현상학 책들 일부; 신경분야의 코흐의 책들과 이 분야 끝판왕 이나스의 <꿈꾸는 기계의 진화> ; 그리고 고대 중국 사상(노자, 장자, 논어, 회남자, 손자병법)이, 자아 혹은 의식을 바라보는 서양전통, 인도전통, 중국전통인 거 같다. 

이들 모두 자아나 의식을  다루는 정말 다른 방향과 방식들의 책이었만, 웬지 동전의 앞뒤 같은 긴밀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 계속 각 방면 책들을 모아 읽어 보게 되었다. 너무 다루는 소재나 가고자 하는 길이 달라, 이들 모두를 건사해 그 '다름'의 가치를 제대로 챙기고 전달해주는 사람이 있을까 궁금해하던 차에, 그 '색다름'을 전면에 내세워 이들이어떻게 다르고 무엇을 다뤘는지를 소통시키는 책을 발견했다. <몸의 인지과학>이다. '인지과학'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갖고 있는 다양한 입장을 분별하고 구분해준다.















그리고 특히 불교를 다루는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서양인들의 불교에 대한 기술은 자신들이 원하는 부분만 취해 가볍고 어설프다는 생각이 들때가 많았는데, 이 책은 흡족했다. 


이들 저자들이 고대중국사상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면 적당한 정리와 신선한 시선을 줄 수 있을거라는 기대를 걸게 했다. 


자아 혹은 의식을 보는 시선 중에 이들을 얕게 여기고 '신경'을 중심으로 보는 시선이 있는데, 이들은 자아를 부산물 정도로 다루고, 의식과 관련된 여러 중요한 현상들을 깊이 다루지 않고 소홀히 넘기는 듯 보인다(크게 관심이 없어 보인다). 그러다보니 자신들의 신경 중심 논리도 약해지는 지점이 있다. 하지만 이들 중에도 멋진 책이 있는데, 로돌포 이나스의 <꿈꾸는 기계의 진화>는 신경중심시선의 끝판왕이다. 자아에 관련된 부분이 적지 않기는 하지만 이 책도 역시 신경중심으로 기술을 이끌어 가고 있다. 하지만 그 논리전개와 증거제시가 너무 대단해서 자아와 관련된 부분이 별로 신경이 쓰이지 않을 정도다.
















인지과학이나 심리철학 말고도, 의식 자체를 신선한 실험과 해석으로 숨겨진 속성들을 드러내 엄청나게 인상적이었던 <the ego tunnel>이 있다. 의식의 속성을 어떤 조건이면 의식을구현하거나 재현할 수 있을까라는 관점에서 깊이있는 접근을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