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열심히 보고 인상적으로 느끼고, 생각보다 탄탄하지는 않다, 등등 여러 생각이 계속 돌아다니고 있다. 처음 본것도 몇년전인데, 한동안 열심히 보다가 끊겼다가 다시보다가 그런 식이다.















그러다가 이승종의 <비트겐슈타인이 살아 있다면>을 접하게 되는데, <논리철학논고>를 분석해놓은 부분이 주류를 이루고, 거기다 저자가 겪은 논쟁상황을 그대로 옮겨와서, 혼자서 이해할 때(아무래도 비트겐슈타인에 우호적인 입장)와는 다른 관점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논리철학논고> 분석부분에서 형식적 명제론과 의미론적 명제론 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형식과 의미 사이의 여러 관계와 문제점에 꼼꼼하게 다가간다. <논고>자체도 충실하게 보지만, 거의 압축된 느낌마저 주는, 이 초기작품을 비트겐슈타인의 중기, 후기 작품을 통해서도 분석한다. 수학과 논리학에 가까운, 비트겐슈타인의 형식적 명제론이 어떤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인지 설득력있게 제시한다. 결론이 이러하다고 여기서 밝히기 보다는, 내게는 결론에 다다르는 과정이 매우 흥미진진하게 다가왔다. 꼼꼼하면서 <논고>가 언급하고 <논고>를 언급하는 논리학자들의 입장을 잘 정리해서, 제시된 문제를 논증하는 과정에서 흡족하게 제시하는 것이 기분좋게 한다. 이름도 유명한 크립키의 비트겐슈타인 분석도 소개하고, 그에 맞서는 자신의 이해와 주장도 제기한다. 그결과 이해하기 어려웠던 요소명제론도 어떤 위치를 갖게 되는지 알 수 있다.


'형식과 의미 사이'는 그렇게 낯설지 않은 개념이다. 대표적인 부분이 수학과 물리학의 관계처럼 형식과 해석 일 수도 있고, 언어의 지칭 개념을  떠올리게 하기도 하고, 그 유명한 호프스태터의 책을 떠올리게 만든다.















논리학과 수학, 컴퓨터 과학 탐구는 기본이고, 생화학, 음악(바흐), 미술(에셔, 마그리트) 등 수많은 분야에서 형식과 의미 사이를 연구하고, 궁극적으로 우리 의식과 사고, 인공지능에까지 관련된 insight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