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배 저자의 본깨적이라는 책에서는 읽고 나서 ‘본깨적‘을 강조한다. ‘본깨적‘이란 저자의 핵심을 제대로 보고 그것을 나의 언어로 확대 재생산하여 내 삶에 적용하는 책 읽기를 말한다. 책 속에서 본 것, 깨달으

마음이 중요하지 노트는 어디에 쓰든 상관이 없다.

한 줄이라도 간단하게 남기는 게 중요하다.

일주일 두 권 읽기에 도전하자.

나를 돌아보는 시간이중요하다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책을 읽다.

열등감 유형으로는 현실도피 형, 소극적인 태도형, 유머 속 숨겨진 유형, 우유부단형, 버럭형 등이 있다.

「인간 본성의 법칙」에는 "내가 갖지 못한 것을 소유하고 끊임없는 욕망은 인간만이 가진 두드러진 특징이다. 당신이 처한 환경, 당신의 운명을적극 끌어안아 당신 안의 약점을 극복하라."라는 글이 있다. 우리에게 기

"책은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 한다

책을 읽으면서 생각하는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나만의 시간관리로 승부하자.

시간은 쉬지 않고 끊임없이 흘러가는 귀중한 자원이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그대는 인생을 사랑하는가 그렇다면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시간은 인생을 구성하는 재료니까 똑같이 출발하였는데 세월이 지난 뒤에 보면 어떤 사람은 뛰어나고 어떤 사람은 낙오자가 되어 있다. (중략) 이것은 하루하루 주어진 시간을 잘 이용했느냐 이용하지 않고허송세월을 보냈느냐에 달려 있다."라고 말한다.

시간관리에 실패하는 사람들을 보면 목표와 행동 사이의 간극이 큰 경우가 많다. 계획을 세울 때는 본인이 할 수 있는 범위여야 한다. 능력 밖

우리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모든 사람은 잠재적으로 같은 양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평범한 사람들은 그 에너지를 여러 가지 사소한 일들로 낭비한다. 나는 내 에너지를 단 한가지, 그림에만 집중한다. 그림을 위해 모든 것은 포기한다."
-피카소SN

멘토가 있으면삶이 풍요롭다the ERMpet

사람을 잘 만나야 한다.

멘토란 ‘그렇게 되고 싶은 사람‘이다.

변화는나만의 공간에서 시작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만의 공간이 필요하다.

마크 트웨인은 "20년 후 당신은 했던 일보다 하지 않았던 일로 인해 더실망할 것이다. 그러므로 닻줄을 던져라. 안전한 항구를 떠나 항해하라.
당신의 돛에 무역풍을 가득 담아라, 탐험하라, 발견하라."라고 했다.

글쓰기 하고 싶다면 독서부터 하라.

논리적인 글쓰기의 첫걸음은 테스트를 요약하는 능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