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는 자극과 휴식, 노력과 게으름 사이의정확한 균형을 제공한다."

"명백해 보이는문제일수록더 시급하게 물어야 한다."

"모든 여행은 정확히 그 속도만큼 더 따분해진다.

다. 속도는 상대적인 것이다.

가끔은 한 번의 산책이 모든 것을 바꾼다.

불규칙적이거나 너무 격렬한 움직임은 우리를 꿈에서 깨어나게 한다."

놀랍게도 철학자이자 황제인 마르쿠스가 대답을 해준다. 상상속에서든 현실에서든 역경을 만나면 자기 연민이나 절망에 빠지지 말고 그저 다시 시작하라. 이런 식으로 바라보면 삶은 더 이상 실패한

걷기는 평등하다.

혼자 걷는다. 집중해서 걷는다.

 걷기는 움직임 속의 성전이다.

소로에게 간소한 삶, 고독, 자연주의는 더 큰 것,
바로 시력을 위한 것이었어요.

숲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에 관한 책이 아니다. 《월든》은 삶을 살아가는 사람에 관한 책이다.

 소로는 그러한 경향을 경계했다. "보편 법칙을 너무 성급하게끌어내지 말 것." 소로는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특수한 사례를 더 명확하게 들여다볼 것." 눈앞에 보이는 것을 바로 규정하지 않고 기다리면 더 많은 것을 보게 된다.

"현실은 너무나도 멋지다."

보는 행위는 의도적이다.

소음에 정신이 팔린 사람은음악을 듣지 못한다.

"삶은 삶을 가장 덜 인식할 때 가장 행복하다."

의지는 끝없는 노력이다.

음악은 다른 예술과 달리 개인적이다.

및 정신 건강에 서서히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서던메디컬저널Southern Medical Journal)에 실린 한 연구에 따르면 소음공해는 불안, 스트레스, 신경과민, 구역질, 두통, 정서 불안, 호전성, 성기능 장애, 기분 변화, 인간관계에서의 갈등 증가, 노이로제, 히스테리, 정신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14 또 다른 연구에서는

"사람들은 해롭지 않은 것을 두려워하고필요하지 않은 것을 욕망한다."

우리는 습관의 폭압에서 벗어나려고 여행을 한다.

삶에 체계를 부여하는 것 중 음식만 한 것은 없다.

장소는 중요하다. 장소는 생각의 보고다.

의 부재다. 쾌락은 고통의 반대말이 아니라 고통의 부재를 뜻한다. 에피쿠로스는 향락주의자가 아니었다. 그는 평정주의자 였다.

"존재하는 데서 오는 순수한 기쁨

고통 없음, 즉 아타락시아에서 오는 쾌락.

"나는 집중하고 있었지만 관심을 기울이진 않았다.
나는 발견하기도 전에 내가 무엇을 찾는지 알았다."

속도는 조급함을 낳는다.

관심의 질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

관심은 집중이 아니다. 

모든 부주의는 이기심의 한 형태다. -

가끔은 시작보다 끝이 더 많은 것을 드러낸다.

‘상실‘은 짧지만 위협적인 단어다.

"모든 폭력은 상상력의 실패를 나타낸다.
비폭력은 창조성을 요구한다.

마음을 녹이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친절은 어떻게 전염될 수 있는가?
누군가는 시작을 해야 한다.

친절은 힘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