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로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

윤정원 대학병원에서는 암환자분들에 대한 호스피스 진료는 거의 하지 않고 대부분 수익이 되는 수술이나 항암치료만 합니다.

정상과 비정상을 판가름하는 의학지식

끊임없이 증명을 요구받는 여성과 소수자의 몸

백영경 특히 여성의 경우 비정규직으로 거듭 단기고용이 되는것이 결국은 산재를 인정받는 데 상당한 장애가 된다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성교육의 부재와 위기의 청소년

4B(비연애, 비성관계, 비혼, 비출산)로 가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자기 몸의 주인으로 살아가기 위해

사람답게 아프고 늙어간다는 것 것

노화의 두려움, 짐이 되는 것의 공포

시대에 따라 달라져온 치매의 경험

어떻게 늙고 어떻게 죽을 것인가

사람중심의료를 합해

누구를 위한 의료인가

자본주의 속에서 왜곡된 전문가주의

코로나19 시대에 시민사회가 실종되다

마을로 간 의사, 문제도 답도 지역에 있다.

전문가가 주도해온 기존의 병원모델은 한계에 도달했고자본의 손으로 넘어가면 더욱 척박해지리란 것도 분명해졌다. 백재중

파출소나 소방서를 짓는다는 개념으로 병원이 지어져야 한다.
돈과 상관없이 누구나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에, 최원영

의료계의 가부장적 구조 속에서 성과 재생산 건강은필수의료가 아닌 부차적인 것으로 다루어져왔다. 윤정원

정상적이지 못한 삶에 대한 두려움이 질병과 노화를 낙인화한다. 이지은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결국 돌봄이 인류의 삶의 중심에 있을 수밖에 없다.
인간은 누구나 취약할 수밖에 없고 상호의존적인 존재라는 점에서출발해야 한다. 김창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