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로 간 토리 단비어린이 그림책
홍민정 지음, 황여진 그림 / 단비어린이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소중하지 않는 존재는 않다. 더구나 우리가 그 기준을 정할 수 없는 것이다. 말을 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들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동물은 장난감이 아니다. 가지고 놀다가 지루하다고 해서 버리는 존재가 아니다. 생명을 존중하지 않고 하찮은 미물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다. 간혹 뉴스를 통해 누구나 말하듯 동물보다 못한 사람들을 만날 때가 있다. 사람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면서 어떻게 그런 일을 저지를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유기견들에 관한 기사를 종종 볼 수 있다. 누군가에게 사랑을 받으며 지냈던 시간들이 있을까라는 의심이 들 정도로 몸과 마음에 상처를 받는다. 사람처럼 말하지 못한다고 해서 그들에게 감정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이기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동물들을 만날 때가 많다.

 

 

<청와대로 간 토리>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 기사를 통해 대통령이 믹스견인 토리를 만나게 된 사연을 보았다.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유기견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물론 그전부터 관심을 가진 분들이 많고 꾸준히 활동을 하는 분들이 있다. 한쪽에서는 무책임한 행동을 보이지만 다른 쪽에서는 끝까지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인다. 생명을 가진 동물과 함께 지내는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있게 생각해본다. 한순간의 감정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어쩌면 선택이라는 말이 맞지 않을지도 모른다. 동물과의 만남과 이별을 우리들이 일방적으로 선택한다는 생각을 버려야하는 것은 아닐까.

 

토리는 밤톨처럼 생겼다 고해서 생긴 이름이다. 토리는 집에서 사는 것이 꿈인 떠돌이 개이다. 떠돌이로 지내다 보니 따뜻한 집에서 가족들과 행복하게 사는 꿈을 꾼다. 어디서든 토리는 환영받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외로운 마음이 커지고 겁쟁이가 되었다. 집으로 데리고 가겠다고 만난 사람은 토리에게 큰 상처를 준다.

 

 

내 몸에는 여기저기 상처가 생겼어.

너무 아팠지만 꾹 참았어.

그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참는 것 뿐이었거든. - 본문 중에서

 

토리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의 상처를 받는다. 토리가 지내던 곳에서 만난 다른 동물들도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그러다 토리가 꿈꾸던 집에 살게 해주고 마음의 상처까지 안아주는 가족을 만난다. 떠돌이 개 토리가 퍼스트 도그가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만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누군가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동물들이 받는 상처는 너무 크다. 그 상처를 평생 안고 살아가게 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버려진다는 것은 슬픈 일이다. 소중한 생명을 가진 존재들은 우리의 소유물이 아니다. 아직도 거리를 떠도는 동물들이 많다. 어쩌면 자신을 가족처럼 대해주었던 누군가를 찾아다니는 것은 아닐까.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무관심이라 생각한다. 우리들의 작은 관심만으로도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을까. 유기동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사람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떠돌이들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