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를 잡아라!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책고래마을 20
안성하 지음 / 책고래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과 게임 때문에 싸우는 엄마들이 많다. 게임을 하려는 아이와 하지 말라는 엄마. 서로 양보하는 일이 없다. 엄마는 이런저런 이유를 말하며 게임은 좋지 않다고 말한다. 하지만 가끔은 엄마도 아이가 없을 때 게임을 하는 경우가 있지 않을까. 게임에 빠져 다른 일을 미룰 때도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다 보면 게임을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지루한 시간을 게임으로 채우는 일도 있지만 가끔은 게임에 빠져 중요한 일을 놓칠 때도 있다. 무엇이 우리들을 빠져들게 만드는 것일까. 어른들도 쉽게 빠져드는 게임이기에 아이들이 빠져드는 것을 뭐라 할 수 없지 않을까.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자려고 누워도 천장에 그것이 그려진다고 말한다. 한단계 올라가는 것에 큰 성취감을 느낀다. 이처럼 게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 이어지는 많다. 지민이는 밥을 먹을 때도 게임이 생각난다. 시금치 숲에 몬스터가 숨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고 소시지 보물을 찾았다고 한다. 이런 모습을 보며 엄마는 당연히 잔소리를 한다. 엄마는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이야기하지만 지민이에게는 잔소리로 들린다. 무엇을 하든 게임과 연결된다. 게임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도 그 게임은 이어진다.

 

학원을 다녀오니 엄마가 계시지 않는다. 게임을 할 수 있는 기회이다. 지민이는 망설임 없이 게임을 시작한다. 어떻게 된 일일까. 게임기 안에 엄마가 보인다. 이 모습을 보며 대부분의 엄마들을 웃지 않을까. 엄마는 게임기 안에서도 몬스터들에게 잔소리를 한다. 몬스터들이 참지 못하고 게임기 밖으로 나오는 모습을 보며 엄마들은 공감한다. 우리들의 잔소리는 그 누구도 견디지 못하나 보다^^ 몬스터들이 오히려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몬스터들의 표정을 보면 웃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 장면은 반전이다. 끝까지 웃으며 읽게 만든다. 게임중독이라 말할 정도이니 게임에 빠지면 힘들어진다. 주위 사람들도 힘들어지는 일이다. 책에서 만나는 지민이는 중독까지는 아니지만 게임에 빠져들게 되는 모습을 그려진다. 게임중독의 위험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만 이야기를 만나면서 한 번쯤은 생각해 보게 된다. 재미있는 이야기와 함께 개성 있는 인물들을 그린 삽화들은 무거운 주제를 가벼운 마음으로 만날 수 있게 한다.

 

게임이 부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들의 스트레스를 위해서나 지루한 시간을 즐겁게 보낼 수 있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안 되는 것이다.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는 게임을 무조건 하지말라고 하면 오히려 역효과라는 것을 알 것이다. 책을 보며 지혜롭게 헤쳐나갈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생각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