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적 수첩 두뼘어린이 5
김미애 지음, 원정민 그림 / 꿈초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이 되어서는 별명을 부르는 일이 거의 없지만 어릴때는 친구들의 별명을 부르고 나도 그렇게 불리는 일이 많았다. 좋은 기억으로 남는 별명도 있지만 별로 불리고 싶지 않은 별명들도 있다. 별명은 좋은점보다는 단점을 가지고 불릴때가 많았다. 친근한 느낌으로 다가가기보다는 놀릴때 많이 사용하기도 했다. 그로 인해 다툼이 생기는 일도 종종 있었다. 지금은 웃으면서 이야기할 수 있지만 그당시 불리기 싫은 별명으로 불린 아이들은 아직도 작은 상처로 남아 있지 않을까.

 

누구나 힘을 가지고 싶어한다. 그 힘을 어떨때 사용할 수 있을까. 약자를 위해 긍정적인 힘을 발휘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일들이 많다. 강한 힘을 빌어 약자를 괴롭히는 일들이 많은 것이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 책을 통해서 힘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아이들은 왜 힘을 원하는 것일까. 그 힘으로 무엇을 하고싶은 것일까. 하지만 진짜 원하는 것은 힘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간다.

 

 

또래 친구들보다 작은 박문수. 간혹 주변에서 옷을 물려받아 입는데 자신이 입는 옷이 나무의 여동생 옷인지 몰랐다. 이런 사실을 다른 친구들이 안다면 창피할 것이다. 또래도 아니고 친구 동생의 옷을, 그것도 여동생의 옷을 물려받아 입었다는 것을 다른 친구들이 안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문수는 이런 사실이 알려지는 것이 두렵다. 그 두려운 마음을 나무는 아는 것이다. 이렇게 문수처럼 약점이라 생각하는 것을 누군가에게 알려지는 것이 싫은 친구들을 이용한다. 그 약점을 이용해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누군가이 약점을 이용하는 것이 얼마나 비겁한 일이라는 것을 아이들은 알고 있을까. 슬프게도 어른들도 그런 모습을 보일때가 많으니 아이들에게만 그러지 말라고 이야기 할 수 없다. 나무의 그런 모습이 싫었지만 어느새 닮아가는 문수. 힘을 얻을수록 잃는 것이 많아진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단지 힘이 있어서 주변의 소중한 것들을 잃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 힘을 부정적으로 사용하고 약자를 이용하기에 소중한 것들을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종종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아니, 없어지지 않는 모습이기에 가볍게 보지않게 된다.

 

무적수첩으로 인해 큰 힘을 갖게 된 문수는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작고 힘이 없는 문수가 무적수첩으로 인해 변해가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의 모습을 반성하게 된다. 이런 부분들 때문에 동화이지만 어른들이 읽으며서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무적수첩이면 모든 것이 해결될수 있을거래 생각했지만 그렇지않다. 문수가 깨달아가듯이 우리들도 내가 가진 힘을 이용해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겠다. 힘이 필요하지만 그 힘을 어떻게 쓸지에 대한 생각은 각자의 몫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