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자 뺏기 - 제5회 살림 청소년 문학상 대상 수상작 살림 YA 시리즈
박하령 지음 / 살림Friends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제, 자매로 자란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느끼는 감정들이 있다. 부모님들이 나보다는 다른 형제들을 더 좋아한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나만 늘 양보하고 동생이나 언니가 맛있는 것도 더 많이 먹고 예쁜 것도 더 많이 가진다고 생각한다. 우리집에 있는 소녀들도 다르지 않다. 언니는 동생을 더 예뻐하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고 동생은 언니만 예뻐한다고 투정을 부린다. 부모님의 사랑을 받는 아이는 형제 중 한 사람이라 생각한다. 부모님의 마음 속에는 형제의 수만큼 자리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자리가 있어 그 자리를 독차지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의자 뺏기>에서 만나는 은오도 자신의 자리는 없다고 생각한다. 쌍둥이로 태어났지만 부모님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초등학교 5학년때 부모님은 동생이 태어날지 모른다는 이유로 쌍둥이 동생이 지오가 아닌 자신을 외할머니댁에 맡기고 돌아갔다. 우리가 이런 은오의 마음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을까. 가족 중에서 자신만 떨어져 살아야 하는 것이다. 같은 쌍둥이 자매임에도 지오는 선택을 받아 부모님과 서울에 살고 자신만 부산에서 살아야 하는 것이다.

 

다시 쌍둥이 자매가 함께 살게 되었지만 그 이유는 우리들을 슬프게 하다. 떨어져 있는 동안 아빠와 엄마는 이혼을 했다. 어떤 이유인지도 자세히 모르고 나중에 결과만 통보받은 셈이다. 엄마와 이혼을 한 후 아빠는 결혼을 했다. 엄마는 외삼촌과 함께 교통사고를 당해 목숨을 잃는다. 이제 가족이라고는 떨어져 살아 데면데면한 지오와 외할머니 뿐이다.

 

항상 자신의 자리가 없었다고 생각하는 은오. 동생이 태어날지 모른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이 아니였다. 그렇가에 가족들에게 버려진 느낌을 받는 것이다. 가진 것이 없어도 함께 살아가는 가족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오만 챙겨주는 엄마로 인해 자신은 누구에게도 관심을 받지 못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공부 뿐만 아니라 운동까지 잘 하는 지오는 늘 자신만만하다. 그와 반대로 매사 자신감이 없는 은오. 쌍둥이지만 전혀 성격이 다르다. 남겨진 두 아이가 서로 도우며 살아가도 모자란 판에 늘 아웅다웅이다. 늘 무시를 당한다고 생각하는 은오는 가족이 아닌 친구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고 싶어한다. 그렇기에 더더욱 지오와 부딪히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자리를 뺏겼다고 생각하는 은오와 늘 자신의 자리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지오. 자리는 결국 하나밖에 없는 것일까. 하나밖에 없는 의자라면 서로 번갈아가며 앉을수는 없는 것일까. 서로 다른 성격의 쌍둥이 자매가 펼치는 이야기를 통해 성장기 청소년들의 마음을 들여다볼수 있다. 가족뿐만 아니라 친구관계나 학교생활의 모습들이 보이는데 그 안에서 여기저기서 부딪히며 상처를 입기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며 다행이라 생각되는 것은 은오와 지오가 힘든 현실이지만 각자의 방법으로 견뎌내고 있다는 것이다.

 

두 자매의 아웅다웅하는 이야기이지만 그 안에서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날수 있는 것이다. 부모님의 이혼이나 죽음, 친구관계와 왕따 등의 문제를 자연스럽게 이야기속에 담아내고 있다. 표면적으로 나오는 이야기들이라면 다른 이야기들과 별반 다르지 않다라고 생각하지만 그런 이야기들은 작은 상처로 생각할수 있게 지나치게 만든다. 그 문제들을 가볍게 다룬 것이 아니라 감기처럼 가볍게 앓고 지나갈수 있는 아이들로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그 모습을 보는 우리들도 심각하게 생각하기 보다는 비켜갈 수 없다면 당당하게 맞서 이겨낼수 있을거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