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득의 심리학 3 - 작은 시도로 큰 변화를 이끌어내는 스몰 빅의 놀라운 힘, 완결편 ㅣ 설득의 심리학 시리즈
로버트 치알디니 외 지음, 김은령.김호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론적 내용이 담겨 있는 설득의 심리학 1편을 읽은지 꽤 흐른 뒤 실전을 적용할수 있는 2편은 읽지 못한체 완결편인 마지막 이야기를 만났다. 이전의 책들을 읽지 않았다고해서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어쩌면 속성(?)으로 알수 있는 내용일수도 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것은 책에 담긴 내용들을 간과할수 없기 때문이다. 늘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있어 설득은 중요한 것이다. 공적인 업무뿐만 아니라 사적인 것으로도 상대가 나의 이야기에 동조하고 그것을 따르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무조건적인 내 편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이 책의 내용들이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이다.
설득의 심리학 완결편
작은 시도로 큰 변화를 이끌어내는 '스몰 빅'의 놀라운 힘
부제뿐만 아니라 서문에도 작은 노력의 투자는 중요하다라고 말한다. 어떤 일을 할때 갑자기 큰 변화가 생기지는 않는다. 이렇게 작은 노력들이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지금 당장은 모르겠지만 이렇게 작은 것들이 모여 큰 힘을 갖게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투자를 많이 해서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이 아니라 비용을 떠나 작은 변화들로 인해 효율적인 설득을 할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52가지 작은 변화들은 무엇일까. 사람들이 제 때 세금을 내도록 설득한 스몰 빅, 관계와 파트너십, 팀워크를 키우는 스몰 빅, 고객을 매혹시키는 스몰 빅, 창의적인 사고를 격려하는 스몰 빅, 물러섬으로써 앞서가게 하는 스몰 빅 등을 52 Chapter를 통해 각각의 내용들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우리들은 보통 오래된 사람들과 친분이 더 두텁다고 생각하고 아는 것도 많을거라 생각한다. Chapter 07의 내용을 보면 우리들이 알고 있는 것과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된다. 오랫동안 알아온 사람들이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에 대해 잘 알거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2년 정도 알고 있는 사람은 42퍼센트를 예측하고 10년 정도 알아온 사람들은 36퍼센트라고 한다. 오래된 사람일수록 그 사람의 선호도를 예측하는 경우가 낮은 것이다. 책에서 말하는 것은 알아온 시간이 아니라 교류라고 한다. 익숙함으로 인해 그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지 못하므로 정기적으로 교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말한다.
모든 비즈니스 서가에 꽂혀있어야 할 책이라 말하지만 평범하게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지침서 같은 역할을 한다. 누군가를 꼭 설득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상에 적이 많은 것 보다는 내 편이 많은 것이 좋을 것이다. 상대와 적대적인 관계가 아니라 서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계가 필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설득의 심리학을 통해 작은 변화를 위해 한가지씩 실천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