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역사가 1년이라면 - 지구와 인류의 역사를 알아가는 지식의 출발점 푸른숲 생각 나무 4
데이빗 J. 스미스 지음, 스티브 애덤스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분들이 이 책의 제목을 보면서 <지구가 100명의 마을이라면>이라는 책을 떠올릴지도 모른다. 나또한 작가를 유심히 살피지 않았기에 그 책의 제목을 따라한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같은 저자의 작품이기에 당연히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이전에 만났던 책도 아이들이 이해하기 쉬웠는데 이 책도 마찬가지이다.

 

 

지구의 역사가 1년이라면

지구와 인류의 역사를 알아가는 지식의 출발점

 

지구의 역사가 45억 년정도이지만 아이들이 이러한 시간을 이해할수 있을까. 우리또한 도저히 얼마큼 시간인지 가늠하기 어렵다. 평생 셀수도 없는 숫자이고 비교하기도 힘들다. 그런 긴 시간을 1년이라 말한 것이다. 지구의 역사를 1년이라 가정하고 다른 것들을 비교하고 있기에 아이들이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의 역사와 비교하여 만날수 있는 것들이 무엇이 있을까.

 

처음으로 만나는 이야기는 우리 은하에 관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니라 지구가 속한 태양계조차 넒은 우주에 비교한다면 먼지보다 더 작아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곳도 이렇게 넓게 느껴졌는데 우주속에 포한한 우리들은 정말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것이다. 책에서 우리 은하를 접시만한 크기로 비교하여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처음부터 우리가 얼마나 거대한 우주속에 살고 있는지 실감하게 된다.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대륙을 이 책을 펼쳤을 때와 비교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펼치면 가로 476밀리미터, 세로 238밀리리터라고 한다. 책에는 가장 넒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바다가 푸른색으로 넓게 펼쳐져 있고 각 대륙들이 보인다. 각각 다른 색으로 구분을 해 놓으니 각 대륙이 지구에서 얼마만큼을 차지하고 있는지 쉽게 한 눈에 들어온다.

 

 

이 세상의 모든 재산을 동전으로 환산하는 것도 흥미롭다. 동전 100개 중에서 가장 부유한 1퍼센트의 사람들이 40개나 가지고 있다고 한다. 겨우 1%의 사람들이 전 세계의 돈을 반이나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표현을 하니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재산이 얼마인지 피부로 확 느껴진다. 더 슬픈 현실은 전 세계 인구 절만의 사람들이 동전 1개를 서로 나눠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의 현저한 차이를 한눈에 알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대륙별로 동전 100개를 어떻게 나눠가지고 있는지도 그림을 통해 보여준다.

 

이 밖에도 행성, 인류의 역사, 첨단 발명품, 평균 수명, 인구, 인간의 일생 등 다양한 이야기들을 만날수 있다. 아이들이 받아들이기 힘들 정도의 큰 수나 크기 등을 이해하기 쉽게 바꾸어 설명하고 있어 읽어가는데 어려움이 없다.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 힘든 크기나 수를 줄이고나니 아이들이 이해하기 쉬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